• Title/Summary/Keyword: 발생양상

Search Result 3,73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xpression of rpr, grim, dcp-1, diapl, and diap2 during Drosophila Development (노랑초파리 발생과정에서 rpr, grim, dcp-1, diapl, diap2의 발현)

  • Park, Ji-Gweon;Chung, Ki-Wha;Kim, Se-Jae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v.5 no.2
    • /
    • pp.131-136
    • /
    • 2001
  • The developmental profiles of rpr, grim, dcp-1, diapl, diap2 transcripts, which were involved in programmed cell death, were analyzed using competitive RT-PCR in whole animals during Drosophila development. The fluctuation patterns of transcript levels of the apoptotic initiators(rpr and grim)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ecdysone titer in Drosophila life cycle. The transcript of dcp-1, which is considered as effector caspase, was expressed strong1y at early embryo and female adult stages. However, the transcript levels of anti-apoptotic factors diap1 and diap2, showed the reverse pattern comparing with those of apoptotic factors(rpr and grim). Also, the transcript levels of rpr, diap2 and dcp-1 were quantified in the salivary glands and wing discs dissected from the wandering late third instar larva. The transcript levels of rpr and diap2 were changed reversely each other in both tissues from wandering stage to puparium form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ressions of cell death related genes are regulated by the ecdysone signals during normal development.

  • PDF

Analyses of drought propagation characteristics and damage pattern using meteorological, agricultural, and hydrological drought indices (분야별 가뭄지수를 활용한 우리나라 가뭄 전이 특성 및 가뭄 피해 양상 분석)

  • Ho-Jun Son;Ji Eun Kim;Mi ju Oh;Tae-Woo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21-321
    • /
    • 2023
  • 가뭄은 수개월 혹은 수년간 지속적이며, 점진적으로 광범위하게 피해를 미치는 자연재해이다. 강수 부족과 같은 비정상적 기상환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상학적 가뭄이 지속되어 토양 수분량 감소 및 식생에 영향을 미치는 농업적 가뭄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하천유출량 및 가용수자원이 감소하는 수문학적 가뭄으로까지 진행된다. 이처럼 분야별 가뭄이 장시간 지속됨에 따라 다른 종류의 가뭄을 발생시키는 현상을 가뭄 전이라고 하며, 가뭄이 전이되지 않은 비전이 사상보다 지역에 큰 피해를 야기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가뭄 전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상학적, 농업적 및 수문학적 가뭄에 대한 가뭄 전이를 모두 고려하여 가뭄의 전이 및 비전이사상간의 피해 양상을 비교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단위의 시군구별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GI(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 및 PHDI(Palmer Hydrological Drought Index)를 사용하여 각각 기상학적, 농업적 및 수문학적 가뭄을 판단하였다. 각 분야별 가뭄간의 시간적 중복여부를 통해 가뭄의 전이 여부를 판단하고, 가뭄의 전이 특성(풀링, 감쇠, 지체, 연장)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가뭄 전이 사상과 비전이 사상이 발생한 시기의 가뭄 피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지역별 가뭄 전이 사상 및 비전이 사상간의 피해 양상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과거 충청북도 충주시는 2011년의 기상학적 가뭄(비전이 사상) 발생시 피해 인구가 없었으나, 2019년의 기상학적 가뭄에서 수문학적 가뭄으로 전이가 발생하여 999명의 피해 인구가 발생하였다. 즉, 동일한 지역에서 다른 시기에 발생한 가뭄 피해 및 동일한 연도에서 인접한 지역의 가뭄 피해를 분석한 결과, 비전이된 가뭄 사상에 비해 전이된 가뭄 사상에서 더욱 큰 피해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rainfall pattern generation method by johnson distribution (Johnson 분포를 활용한 강우양상 생성 기법에 관한 연구)

  • Han, Kun-Yeun;Ahn, Ki-Hong;Lee, Jin-Young;Ryu,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44-148
    • /
    • 2009
  • 지구온난화로 인한 홍수빈도 및 강우강도의 증가로 홍수피해의 규모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방재대책도 발생한 피해에 대한 복구를 주된 정책으로 하던 소극적 자세에서 벗어나 과학적 공학적 접근을 통해 재해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적극적 홍수방어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설계빈도의 무조건적인 상향조정에 따른 확정론적인 방법에 의존하기 보다는 추계학적 방법을 도입한 수문량 확충 및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분석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수공구조물의 설계 시에는 설계홍수량을 사용하는데 이는 홍수특성, 홍수발생빈도, 홍수발생 가능성 등을 수공구조물의 규모와 파괴 시 예상되는 피해 정도에 따라 요구되는 안전성을 함께 고려해 수공구조물의 설계기준으로 활용된다. 설계홍수량은 지속시간과 재현기간을 사전에 지정하여 빈도분석을 통해 설계강우량을 산정하고 이를 강우-유출 분석을 함으로써 산정된다. 설계강우량은 빈도분석을 위해 선택된 강우형태에 따른 수문학적 무작위성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시간적 변동을 고려한 적절한 강우양상 형태의 선택은 수문학적으로 안전한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평가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현재의 경우는 강우형태에 대한 선택이 경험에 의해 임의로 이루어지므로, 토목공학자는 여러 가지 발생 가능한 강우형태에 따른 시간적 분포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Huff분위에 따른 무차원 누가 강우곡선을 이용해 강우변동양상 생성을 위한 제약조건을 log-ratio 변환을 이용해 극복하였으며, 결과의 통계 특성치를 Johnson 분포를 통해 표준정규분포로 변환시켰다. 무작위 변수 발생 후 강우양상별 표준정규값의 상관행렬을 이용하여 상관성이 있는 무작위변수로 변환하였다. 얻어진 상관성을 갖는 무작위변수는 log-ratio 역변환을 통해 상관성을 갖는 변수로 재변환해서 무차원화된 강우곡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Incidence of Polyphagotarsonemus latus (Banks) (Acari: Tarsonemidae) on Green Perilla(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잎들깨에서 차먼지응애의 발생특성)

  • Seo, Youn-Kyung;Ann, Seoung-Won;Choi, Yong-Seok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9 no.2
    • /
    • pp.145-152
    • /
    • 2020
  • The populations of Polyphagostarsonemus latus (Acari: Tarsonemidae) peaked two times on green perilla grown in greenhouses of Geumsan-Gun, Chungchungnamdo. The first peak of P. latus was in the middle of June, after it was first detected in late May. The population of P. latus peaked for the second time in mid July as its density stared rapidly increasing in early July. The application of chemical pesticides and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the two management methods used to control P. latus on green perilla, did not alter the occurrence patterns of P. latus; population size of the mite was much larger in greenhouses using chemical pesticides than in the ones using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This difference might be cuased by continuity of the management methods. Chemical control of P. latus should be limited owing to pesticide residue. The highest density of P. latus on green perilla plants was observed after 25 days after inoculation. The density was the highest in mid-aged leaves (e.g., the largest leaves) and the lowest in newly developed leaves (e.g., smallest leav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P > 0.05) correlation between leaf size and density of P. lat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eaf size (e.g., leaf age) did not affect the occurrence of P. latus. Thus, any leaf of a green perilla plant is available as a sample unit for P. latus.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Rainfall Duration up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Variation (강우 지속기간 변화에 따른 공간규모 분포 및 변동특성 분석)

  • Moon Jangwon;Yoo Chul-Sang;Kim Joong-Hoon;Lee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588-592
    • /
    • 2005
  • 강우는 시간적인 분포특성과 함께 공간적인 분포특성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 기상현상이다. 강우 발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간적인 분포특성에 대한 분석과 함께 공간적인 발생양상에 대한 분석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 Coverage 개념을 이용하여 공간규모의 분포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지속기간의 변화에 따라 공간규모 분포가 어떠한 변동특성을 나타내는 지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대상유역으로 한강유역을 선정하였으며, 한강유역 내에 위치한 39개 강우관측소의 시간강우자료를 이용하였다. 강우의 지속기간별 공간규모 변동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0가지 경우의 지속기간(1, 2, 3, 4, 6, 8, 12, 16, 24, 48시간)에 대해 자료를 구성한 후 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을 통해 강우 공간규모의 발생양상에 대해 개략적인 파악이 가능하였으며, 지속기간 변화가 공간규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유역면적을 3가지 경우로 나누어 동일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면적 변화에 따른 공간규모변동을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강우발생 시의 공간규모에 대한 보다 명확한 분석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ies on Insect Diversity Related to Genetically Engineered Vitamin A Rice under Large Scale Production (비타민 A 강화 벼의 대규모 GMO 포장에서 곤충다양성 분석)

  • Kim, Kyung-Min;Ryu, Tae-Hun;Suh, Sang Jae
    •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 /
    • v.42 no.2
    • /
    • pp.157-162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of macro-protocol and the biosafety guide for 'Nakdong', and 'Golden Rice' (genetically modified vitamin A rice) by large scale field trial of GM crops. Typically, when a new GM crop is created, breeders should conduct field test to make sure the GM crop is safe, and provide some information on GM crops for approval. A total of isolated 4,700 $m^2$ field for trial of GM crops were prepared, and 'Nakdong' and 'Golden rice' were cultivated by standard method of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Field studies indicated that the population densities of insect pests and natural enemies have no difference between two varieties. While insect pest density on 'Nakdong' was slightly higher than on Golden Rice, but natural enemy density on Golden Rice was a little higher. These results provided the insect diversity for risk assessment analysis of Golden Rice and suggested that the macro-protocol could be useful to detect GM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