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병률

검색결과 481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인의 10대 질병부담, 그 예방과 극복-제5편-심근경색

  • 이상훈
    • 건강소식
    • /
    • 제32권6호
    • /
    • pp.6-11
    • /
    • 2008
  • 매스컴을 통해 유명인사의 갑작스런 죽음에 대한 소식을 접하곤 한다. 그중에는 암이나 교통사고 등이 원인인 경우도 있으나, 최근에는 급성 심장사 또는 급성 심근경색증이 원인인 경우도 많다. 굳이 연예인을 예로 들지 않더라도, 지난 10년 간 심장병 사망률은 약 3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는 대부분 동맥경화성 혈관 변화에 의한 급성 심근경색증이나 급성 심실성 부정맥으로 발생한 급성 심장사가 주 원인이다. 우리나라는 이런 심장병의 발병률 또한 점점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실제 미국에서는 지난 10년 전과 비교하면 심장병의 발병률은 정체 상태이고, 사망률은 약 30% 정도 감소하였다. 물론 우리나라 국민들도 예방을 위해 식이요법, 운동요법, 금연 등 건강관리에 힘쓰고 있지만, 아직 발병률이나 사망률은 줄이지 못하고 있다. 아마도 사회가 너무 빨리 서구화 되고 인구가 고령화되어, 이러한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참깨 주요 병해의 저항성 품종 선발과 발병환경구명 (Varietal Evalution of Resistance and Developing Conditions on Sesame Disease)

  • 김흥배;김용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7-71
    • /
    • 1984
  • 참깨의 주요병해인 역병에 대한 품종선발시험과 엽고병에 대한 발병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포장과 온실을 이용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중요 사항이 관찰되었다. 1. 역병에 대한 저항성품종은 Orotall. Suweon 7, Suweon 27 및 조치원이 저항성 품종으로 나타났고 PI 280795, IS 103도 다소 강한 품종으로 보였다. 2. 참깨 엽고병예 대한 발병률은 고온인 3$0^{\circ}C$에서 광의품종이 15%, 김포품종이 25%의 병반면적률을 보였고, 저온인 17$^{\circ}C$에서는 광의가 50%, 김포가 70%로 높은 이병성을 보였다. 3. 참깨 엽고병의 발병률은 다습조건에서 품종 광의가 55%, 김포가 80%의 병반면적률을 보였고. 건조조건에서는 광의와 김포품종이 각각 10%와 15%의 병반면적률을 보임으로서 다습조건에서 심한 발병현상을 보였다. 4. 엽령별 엽고병 발병정도를 보면 6엽기와 개화기에 각각 20%와 52.5%의 병반면적률을 보여 심한 발병현상을 보였고, 10엽기와 20엽기에는 이보다도 낮은 발병률을 보였다.

  • PDF

고령 환자에서 위암 발병 감소를 위해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를 해야 하는가? (Do We Have to Treat Helicobacter pylori for Elderly Patients to Prevent Gastric Cancer?)

  • 박선영
    • 대한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5-216
    • /
    • 2018
  • 위암의 발병률이 감소하고 있기는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여전히 연 100만 명 이상이 새롭게 위암으로 진단되고 있으며, 앞으로 향후 몇십 년 동안은 인구의 고령화로 인하여 위암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지 않을 것으로 추측된다. 최근 메타분석에서 Helicobacter pylori 제균 치료가 위암발병을 33~47% 감소시킨다고 보고하였으나, 중국에서 시행된 무작위 대조 연구에서는 제균 치료가 위암의 전구 병변 감소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보고하고 있어 위축성 위염이나 장상피화생을 동반한 경우 제균 치료가 위암 예방에 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위축성 위염이 있는 경우가 많은 고령 환자에서는 과연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가 도움이 될 것인가? 저자들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가 위암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과 연령에 따라 분석하였다. 2003년부터 2012년까지 'Hospital Authority'에 등록된 clarithromycin 포함 3제 요법을 받은 환자들에서의 위암 발생률과 2003년부터 2013년까지 'Hong Kong Cancer Registry'에 등록된 성별과 연령이 일치된 대조군에서의 위암기대 발생률(expected incidence)을 비교하였다. 3제 요법을 받은 73,237명의 환자들을 확인하였을 때, 평균 7.6년의 추적기간 중 200명(0.27%)에서 위암이 발생하였다. 연령에 따라 40세 미만, 40~59세, 60세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위암발생률을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60세 이상 환자군에서만 standardized incidence ratio (SIR)가 0.82로 감소하였다. 치료 성공여부에 따라 위암 발생률을 분석하였을 때, 제균 치료에 성공한 60세 이상 군에서 SIR이 0.78로 감소하였으나 재 치료를 받은 40~59세 군에서는 SIR이 2.43으로 증가하였다. 제균 치료시점이 위암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제균 치료 후 10년 미만에서의 위암 발생률에는 큰 영향이 없었으나 10년 이상 경과한 경우 60세 이상 군과 40~59세 군에서의 위암 발병률이 대조군의 위암 예측 발병률보다 낮았다.

기상요인과 식중독 발병의 연관성에 대한 빅 데이터 분석 (Big Data Study about the Effects of Weather Factors on Food Poisoning Incidence)

  • 박지애;김장묵;이호성;이해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319-327
    • /
    • 2016
  • 본 연구는 2011년 1월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의 기상변이에 관한 빅 데이터와 보건의료의 빅 데이터를 융합하여 식중독 발병률 변이에 기상요인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여 국민건강예방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분석도구 R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와 Lasso 로지스틱 회귀 총 2가지 분석을 하였고, 식중독을 발생시키는 주 원인균을 분류하여 세균성 원인균과 바이러스성 원인균에 의한 식중독 발병률 변이를 확인하였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결과, 세균성 원인균에 의한 식중독 발병률에는 평균기온, 일조량편차, 기온편차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바이러스성 원인균에 의한 식중독 발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인은 최소증기압, 일조량편차, 기온편차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상요인과 식중독 발병률이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두 가지 원인균에 의한 식중독 발병률이 같은 기상요인에 영향을 받더라도 원인균들의 특성에 따라 식중독 발병률에 반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린키위 품종 헤이워드와 골드키위 품종 해금의 주요 병 발병률 (Incidence Rates of Major Diseases on Green-Fleshed Kiwifruit cv. Hayward and Yellow-Fleshed Kiwifruit cv. Haegeum)

  • 김경희;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24권3호
    • /
    • pp.175-181
    • /
    • 2018
  • 2013년과 2014년 자연감염된 과수원에서 재배되는 국산 골드키위 품종인 해금에서 발생하는 궤양병, 세균성점무늬병과 과실무름병의 발병률을 그린키위 품종인 헤이워드와 비교하였다. 2013년과 2014년 P. syringae pv. actinidiae biovar 2 (Psa2)에 자연감염된 키위 과수원에서 함께 재배되고 있는 헤이워드 품종에서궤양병발병률은각각18.5%와17.3%인반면에해금 품종에서 궤양병 발병률은 1.2%와 0%였다. 2013년과 2014년 A. valerianellae에 의한 세균성점무늬병 발병률은 63.5%와 16.2%였으나 해금 품종에서는 전혀 발병되지 않았다. 2013년 관행방식에 의해 함께 재배되고 있는 과수원에서 헤이워드와 해금 품종에서 과실무름병 평균 발병률은 각각 24.2%와 6.3%였으며 2014년에는 각각 20.5%와 4.4%였다. 두 품종 모두에서 과실무름병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병원균은 B. dothidea로 확인되었다.

Decrease in Incidence of Febrile Seizure following Social Distancing Measures: A National Cohort Study in South Korea

  • Park, Kyu Hyun;Choe, Young June;Shim, Youngkyu;Eun, Baik-Lin;Byeon, Jung Hye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8권3호
    • /
    • pp.144-148
    • /
    • 2021
  • 목적: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비약물적 조치는 아동기 질병 발병률 감소를 포함하여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에 대하여 한국의 국가 데이터를 사용하여 열성 경련 발병률과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한국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청구 데이터를 사용하여 2010년 1월부터 2020년 9월까지 0-5세 사이의 아동에서 열성 경련 진단을 받은 모든 입원 환자가 포함되었으며, 2010-2019년 1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2020년 같은 기간동안 인구 100,000명 당 발병률을 추정하기 위해 월별 사례 수를 집계하였다. 결과: 2010-2019년 열성경련의 발병률은 1월 100,000명 당 116명에서 9월 101명 이었으나, 2020년 2월 사회적 거리두기 이후 열성 경련의 발병률은 1월 100,000명당 113명에서 9월 27명으로 감소하였다. 결론: 2010-2019년에 비해 2020년 열성경련의 발병률 순 감소는 -38% 였으며, 사회적 거리두기가 열성 경련의 발병률 감소에 기여했음을 시사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에이즈의 경제적 비용 -국민의료비의 $8\%$ 차지-

  • 양봉민
    • 레드리본
    • /
    • 통권63호
    • /
    • pp.10-13
    • /
    • 2005
  • 증가하는 HIV/AIDS 감염과 그로 인한 파괴적 결과는 세계적 관심사가 되었고, 발병률이 높은 지역에서 AIDS는 보건의료 문제를 넘어서 국민총생산을 감소시키는 사회경제적 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은 상대적으로 HIV감염 AIDS 발병률이 낮은 나라지만 당초 예상과는 달리 그 발병률이 둔화되고 있지 않으며, 1999년 이후 최근에는 감염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세계 다른 나라들이나 아시아의 주변국의 사정을 보면 우리나라도 결코 안전한 권역에 계속 머물러 있으리라는 장담을 하기가 어렵다. 특히 근년에 경제적 생산력이 왕성한 $20\~30$대 남성에서 HIV/ADIS 증가하고 있어, HIV/AIDS감염의 사회적 비용, 그 중에 특히 경제적 영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HIV/AIDS의 경제적 비용을 추산함으로써 증가하는 HIV/AIDS감염의 경제적 의미를 찾을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경제적 비용의 추산에 앞서 우선 우리나라 HIV/AIDS 감염자 수를 추계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 PDF

지혜 깊어지는 건강 - 활기찬 실버 세대 - 노인성폐렴 작은 세균이 부르는 치명적 질병

  • 백경란
    • 건강소식
    • /
    • 제36권1호
    • /
    • pp.24-25
    • /
    • 2012
  • 여러 가지 실버 세대 질환 중 폐렴은 발병률이 높고 발병시 사망률도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실버 세대에서 폐렴의 위험이 높은 이유는 면역기능의 저하, 인후부반사기능의 저하, 점액섬모운동의 기능 저하 및 여러 가지 심폐기능부전 등에 관여하기 때문이다. 노인성폐렴에 대해 알아보자.

  • PDF

고추냉이 먹들이병(Phoma wasabiae)의 종자소독 효과 (Disinfection of Seed Borne Black Leg Disease(Phoma wasabiae) in Wasabi(Wasabia japonica Matsum.))

  • 문정섭;김형무;최동칠;홍윤기;성문호;장영직;고복래;오남기;최영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80-183
    • /
    • 2003
  • 변색된 종자에서 분리된 P. wasabiae에 접종된 종자는 평균 52.4%의 낮은 발아율을 보였으나 benomyl 침지처리에 의해 발아율이 83.3%로 향상되었다. 멸균 토양에 파종된 접종종자는 28.0%의 먹들이병, 12.7%의 모잘록병 발병률을 보였으나, benomyl로 침지처리된 종자는 먹들이병 6.0%, 모잘록병 4.7%의 낮은 발병률을 나타냈다. P. wasabiae가 접종된 토양에 공시 약제로 처리된 종자를 파종한 결과 먹들이병 발병률은 약제를 처리하지 않은 종자의 32.0%에 비해 benomyl 침지처리에서 12.0%로 발병이 억제되었고, 모잘록병은 10.7%의 가장 낮은 발병률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