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달

검색결과 17,222건 처리시간 0.042초

유아기 발달에 대한 생애 초기 가족 누적위험요인의 영향 - 가정학습환경을 매개로 - (The Effects of Early Cumulative Risk Factors on Children's Development at Age 3 - The Mediation of Home Learning Environment -)

  • 장영은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4호
    • /
    • pp.79-111
    • /
    • 2016
  • 본 연구는 영유아 시기에 경험하는 생애 초기 가족의 누적위험요인이 가정학습환경을 통해 유아의 언어 및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모델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만 3세 유아의 언어발달은 표현어휘력으로, 사회성 발달은 또래유능성으로 나타내었다. 한국아동패널(PSKC)의 2차년도와 4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1,725가족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및 구조방정식모델링 기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만 1세 누적위험요인과 만 3세 누적위험요인 간 상관관계는 높아, 누적위험요인의 종단적 지속성을 시사하였다. 만 1세 누적위험요인은 만 3세 가정학습환경의 질적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가정학습환경은 유아의 언어 및 사회성 발달 모두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하지만 만 1세 누적위험요인은 유아발달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만3세 누적위험요인은 유아의 언어발달을 직접 예측하였으나 사회성 발달 및 가정학습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만 1세 누적위험요인${\rightarrow}$가정학습환경${\rightarrow}$유아발달의 구조적 관계에서 가정학습환경의 매개적 역할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종합하면, 영아기 가족 내 누적위험요인은 유아기 자녀의 발달을 돕는 가정학습환경 구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유아 발달에 간접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아기 자녀를 둔 위기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조기 중재 및 지원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발달 신경심리학 (NEUROPSYCHOLOGY IN NEURODEVELOPMENT)

  • 신민섭;김현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1호
    • /
    • pp.33-46
    • /
    • 2005
  • 본고에서는 인간의 뇌 발달과 주의력, 지각, 기억, 언어 등 다양한 인지기능의 발달과의 관계를 살펴본 후, Luria의 발달 신경심리 이론 및 그에 입각하여 개발된 아동용 Luria-Nebraska신경심리검사를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국내, 외에서 널리 사용되는 주의력 검사, 시-지각 검사, 시각-운동 협응 능력 검사, 그리고 전두엽의 집행기능검사 등을 포함한 아동용 신경심리 평가도구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 PDF

현대 한국가족의 핵가족화 및 가치관 변화와 청소년 발달 간의 관련성에 대한 탐색 적 고찰 (An Exploratory Study on the Nuclearization Value changes and Adolescent Development in Modern Korean Families)

  • 이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3권2호
    • /
    • pp.1-10
    • /
    • 1995
  • 산업화로 특징되는 사회변동과 전통사회로부터 근대사회로 변화하는 역사적 배경을 주축으로 하는 한국사회의 거시적 맥락이 가족내 청소년 발달이라는 미시적 과정에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탐색해보는 시도로서 핵가족화와 가치관 변화가 청소년 발달에 미치게 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핵가족화는 단순한 가족형태상의 변화로서 청소년 발달에 관련되기 보다 는 산업화 과정에서 다른 가족구상의 변화와 맞물려 청소년 발달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측 면에서 검토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가족가치관의 변화를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하면서 전통적 집단주의 기능성이 이기적가족주의로 변용되어 청소년 발달에 미치ㅔ 되는 역기능적 실상이 학문적 노력과 정책적 주도하에 극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영유아발달 척도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1-36개월 영유아를 중심으로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ant-Toddler Developmental Scale : 1 to 36 Months)

  • 송진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05-41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infant-toddler developmental scale and to examine the demographic variables and infant-toddler development. The subjects were 167 mothers who have infant and toddler from 1 to 36 months of age in Seoul, Daejeon, Chungju, Yeasan, and llsan in Korea. The subscales consisted of language development,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physical development, and cognitive development. Th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are influenced the infant-toddler development were age of infant-toddler and age of father.

  • PDF

발달장애자녀 양육경험이 중년기 어머니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자기이해의 조절효과

  • 이금자;변상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1-156
    • /
    • 2023
  • 대부분의 발달장애를 돌보는 어머니의 양육경험 속에는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 정서 및 우울증을 포함하지만, 어떤 어머니들은 장애자녀로 인해 가족 및 사회적 친화력을 높이고 긍정적인 정서경험을 통해 자신 및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나간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를 돌보는 중년기 어머니들의 양육경험과 우울증의 상관관계에 있어 어머니의 자기자비와 중년기의 신체 및 심리적 특성에 대한 자기이해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수행에 필요한 자료 수집을 서울, 경기를 포함한 전국에 사는 발달장애 중년기 어머니 700명을 대상으로 하며, 자료는 SPSS PC+ Ver 28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주요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변인 간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행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발달장애인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줄이고 건강한 가족회복을 위해 어머니의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자비의 역할과 중년기에 대한 자기이해를 강화하도록 도울 수 있는 장애인 가족지원 정책 및 사회 서비스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다양한 가족에서의 청소년 발달 (Adolescent development in diverse families)

  • 정현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0권spc호
    • /
    • pp.29-45
    • /
    • 2004
  • 청소년의 문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청소년의 중요 발달환경인 가족의 변화를 살펴보고, 다양한 가족구조에서의 경험이 청소년 발달과 문제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부모 및 가족환경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개관하였다. 또한 개인, 가족 및 사회환경의 특성이 아동과 청소년의 제 발달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들을 토대로 앞으로 청소년 발달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2배체와 3배체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의 생식소 발달 (Histological Studies on Gonad and Germ Cell Development of Diploid and Triploid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 김봉석;안철민;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27-341
    • /
    • 1995
  • 유도된 3배체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를 재료로 생식소 발달을 조사하여 2배체와 비교하였다. 난소 외부 형태는 융합된 하나의 낭상으로 복강을 향해 horseshoe shape으로 발달하며 짧은 수란관을 통해 비뇨생식공(urogenital pore)으로 개구되는 구조였다. 3배체 난소는 얇은 나뭇잎 모양으로 2배체에 비해 작고, 미발달되었으며, 정소는 2배체보다 다소 작지만, 외형상 2배체와 유사하였다. 난소 발달 및 난자형성과정은 2배체에서 부화 후 100일에 성숙 난소 및 성숙 난모세포가 출현하는 비교적 빠른 발달을 보인 반면, 3배체에서는 부화후 9개월까지 제1차 성장기의 난모세포가 나타났을 뿐 더 이상 발달하지 않았다. 다만, 조사된 1마리의 5년산 3배체에서는 난소내 성숙 난모세포들이 관찰되었다. 비록 정소발달 및 정자형성과정은 3배체 수컷 역시 2배체와 동일하게 진행되었지만 3배체가 2배체에 비해 각 단계별 발달 시기는 지연되었고, 생식세포 핵의 크기는 크게 나타났다.

  • PDF

지역사회 아동의 Korean-Age and Stage Questionnaire 타당도와 효용성 연구 (A Study on the Validity and Utility of Korean-Age and Stage Questionnaire for Children in Community)

  • 이성아;황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390-339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아동을 대상으로 발달지연 선별검사 중 부모-보고형 검사인 Korean-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K-ASQ)의 타당도와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에서 연구대상은 선별검사에 동의한 229명 아동의 부모들과 유전적 질환 혹은 선천적 발달 지연이 보고되지 않은 3~5세 아동들이었다. 연구결과 K-ASQ는 민감도 0.41%, 특이도 0.76%, 과다의뢰율 0.14%, 과소의뢰율 0.21%이였으며, 지연발달과 정상발달 예측율은 지연 발달에서는 K-ASQ 0.70%, 정상발달 예측율은 K-ASQ 0.77%로 나타났다. K-ASQ의 타당도는 정상아동을 정상으로 선별하는 특이도가 민감도보다 높았으며, 지연발달과 정상발달 예측율에서도 K-ASQ는 70% 이상으로 임상에서 아동발달 선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재래산양에 있어서 난포란의 활성화 처리방법이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 박희성;이명열;김현정;권병철;이윤희;박준규;정장용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68-68
    • /
    • 2003
  • 오늘날 형질전환동물의 생산과 같은 생명공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우리나라 재래산양은 그 모델동물로서 번식 생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유의 유전자원 보존 측면에서도 산양복제와 같은 다양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생명공학기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난포란의 활성화 방법과 단위발생란의 체외발달율을 조사하였다. 성숙한 미경산 재래산양을 공시동물로 하여 CIDR를 이용하여 발정동기화를 시켰으며, 과배란 처리는 FSH와 hCG를 이용하여 과배란 처리를 실시하였고 난포란의 회수는 외과적 방법으로 개복하여 난소의 난포로부터 난자와 난포액을 흡입하여 회수하였다 난포란의 활성화 처리는 전기자극법과 약물처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전기자극방법은 DC 2.36㎸/cm, 17$\mu$sec 전압으로 1회 전기자극을 가하여 활성화를 유도하였으며, 약물처리법은 5$\mu\textrm{g}$/$m\ell$의 ionomycin 용액에서 5min, 1.9mM 6-DMAP용액에서 4시간동안 처리하여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단위발생란의 배양은 10% GS(goat serum)가 첨가된 M16 배양액과 10% FBS가 첨가된 TCM-199 배양액에서 난관상피세포와 6~7일동안 공배양을 실시하면서 체외발달율을 조사하였다. 활성화 방법에 따른 체외발달율은 전기자극 및 약물처리를 하였을때 분할율은 3.1% 및 67.9%였으며, 상실배 및 배반포로의 발달율은 0% 및 7.9%였다. 단위발생란의 체외 발달율은 10% GS가 첨가된 M16 배양액을 사용하였을 때 분할율은 68.0%였으며, 이중 12.0%가 상실배 또는 배반포로 발달하였다. 뿐만 아니라 10% FBS가 첨가된 TCM-199 배양액에 난관상피세포와 공배양을 실시하였을 경우는 72.0%가 분할하였으며, 이중 16.7%가 상실배 또는 배반포로 발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활성화 처리는 ionomycin과 6-DMAP 용액처리가 적합하며, 단위발생란의 체외배양은 보다 적합한 배양조건의 확립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농업분야 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Study on the Creation of Jobs in the Social Farm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임재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466-479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적 농업에서 발달장애인의 일자리 가능성을 모색하여 창출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 사회적 농업 활동 중에서 발달장애인 대상 사례를 참조하였다. 그리고 국내의 사회적 농장 다섯 곳을 방문하여 관찰하고, 담당자를 인터뷰하였다. 연구내용은 발달장애인의 일자리로서 사회적 농업의 의미와 가능성을 파악하고 사회적 농업에서 지속가능한 발달장애인 일자리 창출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의 사회적 농업은 초기단계 있으며, 발달장애인에 대한 치유와 돌봄 중심의 농업체험 중심의 활동이 대부분이었다. 향후 지속적인 농업교육과 활동을 통해서 발달장애인에게 적합한 농업 일자리로서의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농업 분야에서 발달장애인 일자리 창출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일자리 창출모형은 크게 치유중심의 체험형, 돌봄 중심의 보호작업형, 사회적 일자리 모형으로 구분하였고, 사회적 일자리 모형에 스마트 팜 모형과 식물공장 모형을 추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