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반추위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26초

지방산 조성 비율이 다른 유기농 사료 급여가 홀스타인 원유의 CLA 및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양 (Effects of Feeding Organic Diets with Different Fatty Acid Composition Ratio on CLA and Fatty Acid Contents in Raw Milk of Holstein-Friesian Dairy Cows)

  • 남인식;임양천;남기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19-231
    • /
    • 2017
  • 본 연구는 지방산 함량 및 배합사료와 조사료 비율을 기초로 한 유기농 사료 급여가 홀스타인 착유우에서 생산된 원유의 CLA 및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연구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총 290두의 홀스타인 착유우를 산차 및 유량에 따라 3개 group으로 나누었다. 대조구는 C16:00, C18:2 그리고 SFA를 높게 설계하였고, 처리구 1은 C18:1, C18:2 그리고 UFA 함량을 높게 설계하였으며 처리구 2는 MUFA, C18:3 그리고 PUFA 함량을 높게 설계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기농 원유 내 C16:0 함량은 처리구 2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 이유는 반추위 내 미생물의 de novo 생합성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처리구 2의 C18:0 함량은 7.92%로 대조구(11.39%)와 처리구 1(10.88%)보다 높았다(p<0.05). CLA 함량도 처리구 2가 처리구 1이나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원유 내에서 검출된 대부분의 CLA는 착유우 유선조직내의 ${\Delta}^9$-desaturase에 의하여 합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n-3/n-6 비율도 처리구 2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착유우에게 혼합 목건초 등을 급여하면 CLA, n-3 농도는 증가하며 C18:0 농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유기농 인증된 조사료 및 농후사료를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유기농 사료를 사용할 경우에만 원유 내 CLA 및 n-3 농도는 증가한다고 볼 수 없다. 원유 내 고농도의 CLA 및 n-3 지방산 생산을 위해서는 반추위 미생물 및 유선세포의 지방 대사를 통한 CLA 생산 메커니즘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급여 사료 내 지방산 구성 등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목초 사일리지 급여 시 보리와 채종박 보충급여에 의한 제 3위 소화액내 Soluble Non-ammonia Nitrogen Fraction의 Flow 패턴 변화 (Diurnal Patterns in the Flow of Escapable Soluble Non-Ammonia Nitrogen Fractions in Omasal Digesta as Influenced by Barley and Rapeseed Meal Supplementation in Cows Fed Grass Silage Based Diet)

  • 최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341-350
    • /
    • 2007
  • 본 연구는 목초 사일리지를 기초사료로 급여한 젖소에 있어서 보리와 유채박 급여가 제 3위 소화액 내 soluble non-ammonia nitrogen fractions(SNAN fractions; 아미노산, 펩티드, 용해성 단백질 및 total SNAN)의 flow 패턴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반추위 캐뉼라가 장착된 4마리 젖소는 4×4 라틴방각법에 의해 기초사료로 grass-red clover silage를 자유급여하여 사일리지 단독급여구(GS), 기초사료 + 보리6.0kg/d 급여구, 기초사료 + 유채박2.1kg/d 급여구 및 기초사료 + 보리6.0kg/d + 유채박2.1kg/d 급여구로 배치하였다. 제 3위 소화액은 제 3위 소화액 채취기구를 이용하여 사료급여 후 1.5h 간격으로 채취하였고, 그 소화액 내 SNAN fractions 정량은 ninhydrin assa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보충사료 급여는 GS구에 비해 비록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지만 total SNAN flow를 증가시켰다. 제 3위 소화액 내 펩티드 flow 패턴은 12시간 feeding cycle 내내 SNAN fractions 중 양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GS구에 비해 보충사료급여구에서 높은 펩티드 flow 패턴을 보였다. GS구를 제외한 보충사료처리구간에는 SNAN fractions flow 패턴 차이가 없었다. 15N을 이용하여 분석된 사료유래 SNAN fractions flow 패턴에서는 보충사료급여구가 GS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제 3위로 유입되는 펩티드 flow는 전체 SNAN flow 중 양적으로 가장 중요한 N 이며, 보충사료 급여 시 그 펩티드 flow의 증가 가능성을 시사한다.

생태학적 관점에서 조명해 보는 신비로운 사슴의 세계와 사슴뿔의 비밀

  • 황보연
    • 월간한국양록
    • /
    • 제12권2호통권65호
    • /
    • pp.48-55
    • /
    • 2006
  • 사슴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서식지에서 살고 있는 동물이다. 사슴은 남극대륙을 제외한 전 대륙에 걸쳐 살고 있는 동물로 도시 근처의 평지에서 관찰되기도 하고, 넓은 초원과 산악 지역에서 살기도 한다. 사슴이라고 불리는 동물은 전 세계적으로 약 100여 종류가 있다. 하지만 정확한 분류에 의하면 사슴에 속한 무리는 17속 53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소목(Artiodactyle) 사슴과(Cervidae)에 속하는 사슴 종류는 발톱 대신 휘어진 발굽을 가지고 있어 "유제류"라고 하며, 소, 양, 염소와 같이 먹이를 삼킨 뒤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되새김위가 있어 "반추동물"이라고도 부른다. 사슴은 매우 온순한 성격을 가진 동물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사람들 중 일부는 애완동물로 키우기도 하고, 고기와 사슴뿔을 얻기 위해 많은 농가에서 사육되기도 한다.

  • PDF

느타리, 새송이 및 팽이버섯 폐배지의 반추동물 조사료원으로서의 사료 영양적 가치평가 (Evaluation on Feed-Nutritional Value of Spent Mushroom(Pleurotus osteratus, Pleurotus eryngii, Flammulina velutupes) Substrates as a Roughage Source for Ruminants)

  • 배지선;김영일;정세형;오영균;곽완섭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237-24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느타리, 새송이 및 팽이버섯 폐배지를 버섯 종류별, 배지에 이용된 주원료별로 나누어 반추가축 사료로서의 영양적 가치를 구명하기 위해서 화학성분, in vitro 소실율 실험 및 in situ darcon bag 실험을 수행하였다. 버섯 폐배지는 고섬유소(NDF 64~78%), 저단백질(CP 7~11%) 조사료원에 속하였다. 주원료별 폐배지는 섬유소 성분이 가장 높은 톱밥 주원료 폐배지와 비교해서 폐면 주원료 폐배지는 NDF 함량이 낮고(P<0.05), NFC와 ash 함량이 높았다(P<0.05). 버섯 폐배지의 화학적 성분은 전반적으로 버섯 종류보다는 주원료 종류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았다. In vitro DM, NDF 소실율은 분석된 배양시간(24, 48, 72시간) 모두에서 옥공이, 폐면, 톱밥 주원료 폐배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In situ DM, NDF, ADF 소실율은 배양 24시간에서 옥공이, 폐면, 톱밥 주원료 폐배지 순으로 높았다(P<0.05). 톱밥 주원료 폐배지와 비교해서 폐면 주원료 폐배지는 가소화성 분획(NDF, ADF)이 뚜렷이 높고(P<0.05) 비소화성 분획은 현저히 낮았으며(P<0.05), 그 결과 배양 72시간에서의 in situ DM, NDF 소실율(disappearance)과 예상 반추위 분해율(degradability)도 현저히 높았다(P<0.05). 결과적으로 폐면 주원료 폐배지는 톱밥 주원료 폐배지 보다 반추가축 조사료원으로서의 사료영양적 가치가 높아 우선적 이용이 권장된다.

실험적으로 유발시킨 산양의 제4위질병에 있어서 혈액 및 제1위액의 전해질치 변화 (Electrolyte Changes of Blood and Rumen Juice in Experimental Abomasal Diseases of Goats)

  • 권오덕;이주묵;박진호;이현범;장종식;채준석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58-262
    • /
    • 1997
  • 반추수의 제4위질병시 혈액 및 제1위액의 전해질치 변화에 관해 알아보기 위해 산 양을 대상으로 실험적으로 제식위좌측전위, 제4위우측전위 및 제4위염전을 유발시켰다. 혈청내 $Cl^{-}$치는 제실킨좌측전위, 제4위우측전위 및 제4위염전 모두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경향 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제4위우측전위 및 제4위염전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혈청내 $K^{+}$ 룽도는 제4위좌측전위 및 제4위우측전위에서는 실험 120시간 이후부터 감소경향을 나타내었 으며, 제4위염전에서는 24시간 이후부터 심한 감소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청내 $Na^{+}$치는 제4위좌측전위 및 제4위우측전위에서는 각각 48시간 및 72시간 이후부터 감소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제4위염전에서는 24시간 이후부터 유의한 감소경향을 나타내었다. 제1위내 $Cl^{-}$치는 제4위좌측전위 및 제4위우측전위에서는 48시간 이후부터, 제4위염전에서는 12시간 이후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경향을 나타내었으나 $K^{+}및Na^{+}$농도는 유의한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청보리 및 호밀 Silage를 이용한 거세한우 비육중기용 TMR의 소 체내 이용성 조사 (Estimation of Availability of Whole Crop Barley and Rye Silage TMR in the Cattle)

  • ;김광림;김종규;오영균;이상철;송만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43-354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산된 주요 동계 사료 작물인 청보리 및 호밀 사일리지를 이용하여 거세 한우의 비육 중기용으로 조제된 TMR의 소 체내 이용성을 배합사료 및 볏짚으로 구성된 관행 사료와 비교하고자 반추위 누관이 장착된 소 3두를 이용하여 3 $\times$ 3 Latin square design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관행사료 급여구(대조구)에는 1일 두당 7kg (비육 중기용 배합 사료 5.6kg 및 볏짚 1.4kg, 건물 기준)을, 그리고 청보리 사일리지 TMR구(BS-TMR) 및 호밀 사일리지 TMR구(RS-TMR)에는 1일 두당 8kg (건물 기준)을 각각 동일한 양으로 2등분하여 2회(08:00 및 18:00)에 걸쳐 급여하였다. 두 종류의 사일리지 TMR 모두에 각각 기타 원료사료와 사일리지를 80:20의 비율(급여상태 기준)로 혼합하여 조제하였다. 반추위액의 pH는 전체 채취시간에 걸쳐 시험사료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대조구 사료에 비하여 사일리지 TMR 급여구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암모니아 농도 역시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사료 급여 후 3시간부터 청보리 사일리지를 급여한 소의 반추위액에서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반추위액의 총 VFA 농도는 사료 급여 후 6시간 까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호밀사일리지 TMR (RS-TMR)을 급여한 처리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추위액의 acetate의 조성 비율은 반추위액의 모든 채취시간에 걸쳐 TMR을 급여한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구인 관행사료 급여에 비하여 TMR 사료 급여 직전(P<0.005) 및 급여 후 9시간(p<0.048)에서 현저히 높은 비율을 보였다. Propionate 조성 비율의 경우 사료 급여 후 1시간에 대조구 사료에 비하여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소에서 높은(p<0.046) 반면 butyrate 조성 비율은 대조구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사료급여 1시간 후에 TMR 사료 급여구에 비하여 현저히(p<0.029)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사료에 비하여 호밀 사일리지 TMR에서 건물유효분해율(EDDM) 및 조단백질 유효분해율(EDCP)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NDF의 경우 관행사료에 비하여 청보리 및 호밀 사일리지 TMR에서 높은 b 값(p< 0.039) 및 c 값(p<0.006)으로 인하여 TMR의 유효분해율(EDNDF)이 관행사료보다 높은(p< 0.049)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모든 주요 성분(DM, CP, EE 및 NDF)에서 관행사료에 비하여 사일리지 TMR의 전장소화율이 다소 높았으며, TMR 중 호밀 사일리지 TMR (RS-TMR)의 소화율이 NDF를 제외한 성분에서 청보리 사일리지 TMR 보다 소화율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시험 결과를 종합하면, 청보리 또는 호밀 사일리지 TMR의 체내 영양소 이용율이 관행 사료에 비하여 다소 개선된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TMR이 반추위 내 발효 안정화에 기여하였으며 아울러 TMR의 섬유소 소화율이 더 개선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동계사료작물 사일리지의 품질이 사료작물의 수확시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향후 이 점이 고려된 동계사료작물 TMR의 소 체내 이용성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반추위액의 미생물에 의한 In vitro 상에서의 리놀렌산과 리놀산의 Biohydrogenation (In vitro Biohydrogenation of Linolenic and Linoleic Acids by Microorganisms of Rumen Fluid)

  • 이수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985-1000
    • /
    • 2005
  • 리놀렌산(C18:3)과 리놀산(C18:2)의 biohydrogenation 과 반추위 내에서의 이들 지방산의 bypass를 검토하기 위하여 3 구로 나누어 티모시 조사료를 반추위액과 함께 in vitro상에서 39℃, 0, 3, 6, 9, 24, 36 시간 동안 혐기 배양 시험을 하였다. 첫번째 시험의 목적은 C18:2과 C18:3의 in vitro biohydrogenation에 대한 조사료의 성장 단계(stem elongation, early heading, late heading, early flowering)와 질소 시비(0 and 120kg N ha-1)의 영향을 시험하는 것이었다. 수소첨가가능분획(hydrogenable fraction), C18:2과 C18:3의 효과적인 소실과 bypass는 stem elongation 시 수확된 티모시에서 높았고, 성숙함에 따라 일정하게 감소하였다. 질소시비구는 C18:3의 수소첨가가능분획, C18:2과 C18:3의 효과적인 소실과 bypass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C18:2과 C18:3의 소실율은 성숙과 질소시비(P≻0.1)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2번째 시험에서는 in vitro C18:2과 C18:3 biohydrogenation에 대한 티모시 보존 방법의 영향을 보았다. 사일리지는 C18:2과 C18:3를 가장 효과적으로 소실시켰으며, 건초는 가장 효과가 낮았다. C18:2과 C18:3의 biohydrogenation 된 양은 건초에서 보다 헤일리지와 사일리지에서 더 높았다. 티모시 헤일리지와 비교하였을 때 C18:3의 bypass는 신선 목초, 시든풀, 건초에서 더 높았다. C18:2의 bypass는 건초와 헤일리지에 비해 신선목초와 사일리지가 더 높았다. 3번째 시험에서는 C18:2과 C18:3의 소거와 bypass에 대한 티모시 헤일리지와 사일리지에 대한 개미산 첨가와 Lactobacillus plantarum 접종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개미산의 첨가는 헤일리지와 사일리지에 있어서 C18:3의 biohydrogenation 비율을 증가시켰으나 사일리지에 있어서 C18:2의 수소첨가 가능분획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3가지 배양구의 결과는 티모시에 있어 C18:2과 C18:3의 수소첨가 가능분획과 bypass가 성숙도에 따라 감소하였고 질소시비에 따라 증가하였음을 보여 준다. 헤일리지와 사일리지에서 건초에서 보다 C18:2과 C18:3의 더 많은 양이 biohydrogenation 되었으며 C18:3의 반추위 소실은 헤일리지에서 보다 신선목초, 시든풀, 건초에서 더 높았다.

잣나무 生枝葉사일리지 급여가 한우의 영양소 소화율, 사료요구율 및 도체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ne Silage Feeding on Nutrient Digestibility, Feed Conversion and Carcass Traits of Korean Native Cattle)

  • 오영균;정찬성;이상철;김경훈;최창원;강수원;문여황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219-226
    • /
    • 2006
  • 본 시험은 산림 간벌 부산물인 잣나무 생지엽을 반추가축 사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제조된 발효 생지엽(pine silage)의 한우 반추위내 in situ 분해율 및 in vivo 소화율, 사양성적 및 도체분석에 있어서 볏짚 대체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In situ 시험은 nylon bag 시료를 처리 당 4반복으로 하여, 반추위내에서 48시간 동안 발효시켰으며, in vivo 소화시험은 볏짚 급여구와 생지엽 silage구로 나누어 incomplete double turn over design에 의해 처리 당 5반복으로 수행되었다. 사양시험에서는 생지엽 silage에 대한 볏짚 대체비율을 4수준(0%, 25%, 50%, 75%)으로 나누어 한우수소 48두를 처리당 12두씩 완전임의로 배치하였으며, 시험종료 후, 도체분석을 하였다. 반추위내 in situ 조단백질 분해율은 생지엽 silage가 볏짚보다 높았으나(P<0.01), NDF 분해율은 오히려 낮았다(P<0.01). In vivo 건물, 조단백질 및 NDF 소화율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일당 증체량은 볏짚 급여구와 비해 생지엽 silage 25% 대체구를 제외한 모든 생지엽 silage 대체구에서 유의적(P<0.01)으로 높았다. 생지엽 silage 급여 및 급여수준은 사료 효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도체성적에 있어서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나 근내지방도는 50% 생지엽 silage 대체구가 타 처리구보다 수치적으로 높고, 등지방 두께는 생지엽 silage 대체구가 볏짚 급여구보다 다소 두꺼운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생지엽 silage를 한우의 조사료로서 사용할 경우, 볏짚과 50%씩 혼합해서 급여하는 것이 건물섭취량과 일당증체량에서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발효 미역부산물이 반추위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Brown Seaweed Waste (FBSW) on in vitro Rumen Microbial Fermentation)

  • 홍중산;이홍구;이철호;김영성;이상범;강한석;최윤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4호
    • /
    • pp.349-356
    • /
    • 2011
  • DS-01 균주 접종에 의한 미역부산물 발효산물이 분해 정도, 영양소 변화 및 미생물오염 정도에 관한 관찰과 반추위 발효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미역부산물의 저장성 확보와 반추동물의 사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발효단계에 따라 조사하였다. DS-01 균주와 함께 배양된 미역부산물은 발효 1개월부터 현저한 분해율을 보이기 시작했다. 미역부산물중의 영양성분 함량은 발효와 함께 커다란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모든 처리에서 반추동물에 병원성을 가지는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In vitro 실험에서는 발효시간 및 첨가농도에 따른 pH 변화, 암모니아태 질소와 휘발성지방산의 생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pH의 경우 6% FBSW는 1개월 및 2개월 발효조건에서 대조구, 2% 및 4% FBSW 보다 pH 값이 증가한 것을 나타내었다. 암모니아태 질소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1개월 FBSW 경우 실험 3시간 경과 후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지만 시간이 경과에 따라 대조구보다 감소한 경향을 보인다. 2개월 FBSW의 경우 4% 첨가량만 24시간 경과 후 타 처리구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전 발효기간 동안 6% FBSW 처리구가 발효 3시간과 24시간 경과 후 타 처리구에 비하여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휘발성지방산의 경우 발효 1개월 미역부산물의 4, 6% FBSW 첨가구가 6시간 경과 후 총 VFA의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p<0.05), 발효 2개월 미역부산물의 2, 4% FBSW 첨가구가 9시간 경과 후 총 VFA 농도가 6% FBSW 첨가구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p<0.05).

볏짚의 화학적 처리와 사일리지 제조가 화학성분 변화 및 한우 반추위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emical Treatments and Ensiling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Degradation Rate in the Rumen)

  • 이성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77-184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of rice straw after chemical treatments and ensiling on its feeding value, in situ studies using a rumen fistulated Korean cow and nylon bag technique. NaOH treatment greatly improved the degradation the Dry matt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degradation in the rumen but the intake was not affected. Ammonia treatment did not improve the degradation rate of rice straw in the rumen, but remarkably increased the rice straw digestibility and intake by sheep. Making silage of rice straw did not affect its rumen degradation rate, but the digestibility and its take by sheep were greatly improved especially when a little molasses together with Lactobacillus were supplemented. Degradation rate of rice straw in the rumen measured by nylon bag technique was influenced by various treatments but did not appear to coincide with digestibility by sheep. This would be due to the fact that feed intake affect digestibility as well as the degradation in rume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making silage with some molasses and Lactobacillus is one of the easest way of using rice straw for animal feed. (Key words : NaOH, Digestibility, Silage, Molasses )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