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밀기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2초

자발적 혀 저항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Effects of a Tongue Self-Resistance Exercise on the Swallowing Function of Patients With Stroke: Case Report)

  • 남경완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4호
    • /
    • pp.43-55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자발적 혀 저항 운동을 적용하여 삼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2년 9월 3주간, 2014년 2월 3주간 각각 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례연구였다. VFSS검사 이후 환자의 동의를 받고 매일 1회기씩 주 5회로, 3주 동안 진행하였다. 자발적 혀 저항운동은 혀 내밀기, 혀 옆으로 밀기, 혀로 입천장 밀기로 구성하였다. 중재는 한 회기 당 각각 운동별로 10회를 1세트로 총 3세트를 진행하였다. 결과: 자발적 혀 저항 운동 프로그램은 삼킴 장애 정도에서 VFS점수가 하강한 것으로 보아 삼킴 기능이 향상되었다. 둘째 자발적 혀 저항 운동 프로그램은 FOIS점수가 향상된 것을 바탕으로 구강섭취능력이 향상되었다. 결론: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환자 스스로 저항을 적용하는 자발적 혀 저항운동을 제공하였을 때 이들의 삼킴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해동어육의 저온저장중 선도 변화 (Changes in the Freshness of Frozen-thawed Fish Fillet during Cold Storage)

  • 박찬성;최경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53-558
    • /
    • 1997
  • 냉동상태로 포장하여 판매되고 있는 생선(대구살)을 대구지역 수퍼마켓에서 구입하여 냉장(R:refrigerating), 냉동(F:freezing), 냉장과 동결을 반복(RFR:repeated freezing and refrigerating)하는 3군으로 나누어 저온저장하면서 저장중의 중온균과 저온세균의 수, free drip량과 pH의 변화를 측정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저장직전의 해동어육의 생균수는 중온균이 6.5$\times$104, 저온세균이 7.4$\times$103cells/g이었으며 냉장한 시료에서는 저장 8일, 냉장과 동결을 반복한 시료에서는 저장 16일 후에 107cells/g을 초과하여 초기 부패에 도달하였다. 동결시료의 경우에는 46일간의 전 저장기간 동안 저장 28일째에 약 106cells/g으로 생균수가 가장 많았으며 신선한 상태가 유지되었다. 저온저장 중 저장초기에는 중온균의 수가 약간 많았으나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저온세균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여 저장밀기에는 저온세균의 수가 중온균의 수보다 증가하였다. 저장 중 pH의 변화는 생균수의 변화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r=0.73-0.96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저온저장 중의 drip량은 냉장시료에서 27.06$\pm$9.75, 냉동시료에서 27.56$\pm$8.02%로서 전 저장기간 동안 drip량은 큰 변화가 업이 두 시료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냉장과 동결을 반복한 시료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drip량이 증가하는 경향으로서(r=0.84) 전 저장기간 동안의 평균치는 33.97$\pm$10.70%로서 냉장과 냉동시료에 비하여 20%정도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냉장 및 냉동시료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다면재활프로그램이 산업재해근로자의 다차원 심리상태, 역량강화, 직업복귀준비 및 작업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ultifaceted Intervention Program on Multi-Dimensional Psychologic Condition, Empowerment, Work Readiness, and Functional Capacity in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 노동희;송문희;조은주;강성구;김경화;감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93-301
    • /
    • 2018
  • 본 연구는 다면재활프로그램이 산업재해근로자의 다차원 심리 변화와 역량강화, 직업복귀준비 및 작업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7년 3월부터 9월까지 경남 창원에 위치하는 C병원에 입원한 산업재해근로자 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다면재활프로그램으로는 주 2회 2시간씩 8주 동안 희망찾기프로그램과 주 5회 3~4시간씩 8주 동안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을 병행 실시하였다. 이 때 중재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다차원 심리검사, 역량강화척도, 직업복귀준비도 및 작업능력평가를 실시하여 윌콕슨부호순위검정으로 전 후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차원 심리검사에서 불안, 우울, 신체화, 사회적 지지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반면(p<.05), 분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역량강화척도와 직업복귀준비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작업능력평가에서는 바닥에서 허리높이로 들기, 허리에서 어깨높이로 들기, 바닥에서 어깨높이로 들기, 옮기기, 밀기 및 당기기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본 연구는 사회심리적 요소와 신체적 측면을 함께 고려한 다면재활프로그램이 산업재해근로자의 직업복귀에 있어서 다차원 심리의 긍정적인 변화, 역량강화, 직업복귀준비 및 작업능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직업재활의 효과적인 방법임을 제안한다.

밀기증후군을 가진 뇌졸중 환자에 대한 임상 실기와 문서화: 사례보고 (Physical Therapy Clinical Practice and Documentation for Pusher Syndrome in Stroke Patients: Case Report)

  • 황기경;송수영;두영택;윤세원;이정우
    •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1-49
    • /
    • 2011
  • This study purposes to conduct visual feedback and body posture control training on stroke patients with pusher syndrome in order to reduce their pusher syndrome. This study also examines changes resulting from the training and applies the guidelines necessary for documentation of patient/customer management. The participant for this study was one patient with pusher syndrome. The study progressed from a medical examination of the subject followed by evaluation, diagnosis, prognosis, intervention and treatment plan, and finally re-examination in order of precedence. Problems in the participant's functional activities, difficulties in changes from sitting postures into standing postures, and maintaining standing postures were determined as primary restrictions on activities and the improvement of these activities was set up as a goal through discussions with the patient. Interventions were mainly implemented to reduce the pusher syndrome with visual feedback provided using mirrors and exercises focusing on leaning in order to maintain posture while sitting. Changes from supine postures to sitting postures and the degree of changes in maintaining standing postures were compared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by measuring times in the same environment and the degree of pusher syndrome was measured using the SCP tool. The process of this clinical practice was documented. The SCP score that indicates the degree of changes in the participant's pusher syndrome changed from 3.75 points to 0.8 point indicating a decrease in pushing. Among functional activities, posture changes from sitting postures to standing postures and maintaining standing postures wer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patient could maintain standing postures, the patient could walk indoors. In this case study, mirrors and body posture control training used as interventions to relieve pusher syndromes can be easily applied in clinics to examine the form of functional recover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se intervention methods were effective and thus it is thought that th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utilize these intervention methods diversely. In addition, the documentation of patient/client management was applied as actual documentation in Korean and based on the results, we could show decision making processes for patients' functional goals and objectively explain problems, prognoses and changes made through the interventions.

항만공사용 사석 고르기 수중로봇의 제어 및 지형인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ntrol and Topographical Recognition of an Underwater Rubble Leveling Robot for Port Construction)

  • 김태성;김치효;이진형;이민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7-244
    • /
    • 2018
  • 수중에서 로봇으로 사석 고르기 작업을 실시할 경우 로봇 주위의 지형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야 원격조종이 가능하다. 현 위치로부터 주변지형의 높낮이를 보여줘야 운전자가 작업 계획을 수립하고, 전복과 같은 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지형인식은 멀티 빔 소나에 의해 이뤄졌는데 이는 작업 전후의 품질을 평가하는 용도만 사용되었지 원격조종에서 필요한 실시간 정보로는 사용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수중 사석 고르기 작업을 위한 실시간 지형인식 방법을 개발한다. 버킷이 지면을 누를 때 전달되는 힘을 측정해 접촉여부를 판단하고, 실린더의 길이를 읽어 접촉위치를 계산한다. 버킷의 위치제어를 위해 가변 뱅뱅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숙련된 굴삭기 운전자의 작업패턴을 프로그램화해 지형인식, 긁기, 밀기, 전진 등의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개발된 방법은 로봇 몸체로부터 버킷의 거리에 따라 3차원 격자 지형을 상대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작업자가 쉽게 지형을 인식하고 지형에 따라 작업계획을 세우도록 한다.

게임 기반의 자세수직 훈련이 급성 뇌졸중 환자의 밀기행동, 자세조절, 그리고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사전연구 (Effects of Game-based Postural Vertical Training on Pusher Behavior, Postural Control,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A Pilot Study)

  • 안창만;노정석;김택훈;최흥식;최규환;김경모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7-66
    • /
    • 2019
  • Background: Visual and somatosensory integration processing is needed to reduce pusher behavior (PB) and improve postural control in hemiplegic patients with acute stroke. Objec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me-based postural vertical training (GPVT) on PB, postural control, and activity daily living (ADL) in acute stroke patients. Methods: Fourteen participants with acute stroke (<2 months post-stroke) who had PB according to the Burke lateropulsion scale (BLS) (score>2)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GPVT group ($n_1=7$) and conventional postural vertical training (CPVT) group ($n_2=7$). The GPVT group performed game-based postural vertical training using a whole-body tilt apparatus. while the CPVT group performed conventional postural vertical training to reduce PB (30 minutes/session, 2 times/day, 5 days/week for 3 consecutive weeks). The BLS was evaluated to assess the severity of PB. And each subject's postural control ability and ADL level were assessed using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 balance posture ratio (BPR), and Korean-modified Barthel index (K-MBI). Outcomes were measured pre- and post-intervention. Results: Comparison of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assessment results showed that both interventions led to the following significant changes: decreased severity of PB scores and increased PASS, BPR, and K-MBI scores (p<.05). In particular, statistical analysis between the two groups, the BLS sco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PVT group (p<.05). And PASS, BPR, and K-MBI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GPVT group than in the CPVT group (p<.01,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GPVT lessened PB severity and improved postural control ability and ADL levels in acute stroke patients.

자호(紫胡)뿌리 분말 첨가전료(添加錢料)가 육계(肉鷄)에 생산성(生産性)과 장기발육(臟器發育) 및 체액조성(體液造成)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 of Root Powder Addition of Bupleurum falcatum on Broiler Productivity, Serum Contents and Development of Organs)

  • 조성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87-194
    • /
    • 1995
  • 초생웅리(初生雄離)Hibreed Ross P. S 120 birds) 120수를 철제(鐵製) 케이지에서 6주간(1994년 6월 24일TEX>${\sim}7월 4일) 수용하여, 전후기(前後期) 육계사료(肉鷄飼料)에 자호근부(紫胡根部)를 분말화하여 0.0, 0. 2, 0. 5, 1. 0 %씩 밀기율과 대체(代替)하여 급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호근부(紫胡根部) 첨가부(添加區)의 사료섭취양(飼料攝取量)을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나 기호성(嗜好性)은 좋았다. 2. 증체양(增體量)은 시호근부 1. 0% 첨가구에서 1, 845g으로 대조구의 1, 619g보다 수당(首當) 226g 높아14% 이상 증체효과(以上 增體效果)가 나타났다 3. 사료요구율(飼料要求率)은 대조구에서 2. 02로 가장 높았고 1. 0% 시호근부 첨가구에서 1.81로 유의(有意)하게 낮았다 (P<0,01) . 4. 도체양(屠體量)은 시호근부 1.0% 첨가구에서 높았고, 도체율(屠體率)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 01). 5. 가슴고기 생산량은 1.0% 시호근부 첨가구에서 253g으로 대조구보다 42g이 더 많았으머 생체중(生體重)에 대한 가슴고기량의 비율에서도 높았다. 6. 다리고기 생산량은 시호근부 첨가수준이 증가될수록 향상되는 경향을 보여 시호근부 1.O% 첨가구에서 높았으며 생체중에 대한 다리고기 비율도 우수 하였다. 7. 간장(肝臟), 비장(脾藏), 심장(心臟) 및 근위(筋胃)의 중량은 생체중이 무거울수록 각 장기 중량도 높아지는 경향으로 나탸나 시호근부 1.0% 첨가구에서 무거웠다. 8. 복경(腹經)과 근위주위(筋胃周圍) 축적 지방은 시호근부 1.0%첨가구에서 50.21g으로 높게 측정 되었다. 9. 혈청(血淸) 총(總) 단백질(蛋白質) 함량은 대조구예서 가장 높았고, 시호근부 첨가수준이 증가 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혈청 cholesterol과 triglyceride 함량(含量)은 생체중에 대한 지방축적률(脂肪蓄積率)이 높아짐에 따라 이들의 함량도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分析)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