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민속의상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5초

민속조사를 통해 본 인천지 역의 의생활( I ) - 통과의례복식 중심 - (Ethnographies of Clothing in Incheon Province( I )- Focus on passage ritual clothes -)

  • 장인우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1-60
    • /
    • 2005
  • This ethnography is on the passage ritual clothes in Incheon province. This ethnography invatigates in two villages of people who has same family name -Family 'Cheung' (from Young-il) in Yeonsoo-dong and Family 'Lee'(from Cheun-joo) in dongyang-dong- in August to December 2003. The object of examination is 80's and 70's old women who have lived and had lived up to recent in two villages. (grand mother Sung, Cho, Cheung and yoon) The clothes of passage ritual are Baenaeoht is the first clothes of the newborn baby(swaddling), A wedding ceremony clothe is the clothing for the coming-of-age ceremony, Honryebouk is the clothing for wedding, Sangbouk in the clothing for mourning, shroud is the clothing for the dead, sacrificial robes. The result of ethnogrphy is the passage ritual clothes in Incheon Province similar with other Provinces in aspect of the name and the form and wearing of the clothes. there are remarkable differences in making method from making by oneself to purchase(swaddling$\cdot$shroud), westernize(clothes for wedding and mourning), simplification (sacrificial) between ritual for their parents and their husband and children.

  • PDF

단청 문양을 활용한 자카드직물 가방 상품개발 (A Study on Jacquard Fabric Bags of Fashion Merchandise using Danchung Patterns)

  • 송하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01-110
    • /
    • 2009
  • Danchung(丹靑) is the traditional Korean patterns that are decorated with various colorful patterned paintings upon each sections of wooden architecture. Although Danchung consists of variety patterns with the meaningful signs and symbols, as an accomplishment of Korean traditional images, there is a few fashion merchandise by Danchung patter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bout to design Jacquard fabrics, and to develop bags of Jacquard fabric by Danchung patterns, as a differentiated cultural Fashion Merchandise.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researched for the geometric image of Danchung patterns on the basis of the basic elements, compositions and symbolic meanings of Danchung. The geometric image of Danchung patterns, which had the shape of circle, triangle, square and hexagon, was designed to the surface design by Jacquard CAD system(i.e., EAT Designscope by Germany) and woven into Jacquard fabrics by Stabuli electronic Jacquard system. Danchung patterns for fabric design in this study was mainly focused on 'ChipJaGum', 'SamJiChangGum', 'ShouSulGum', Moro patterns of lotus flower(蓮花), Rok-Wha(綠花) and so on. To development bags of jacquard fabric, those woven jacquard fabrics were manufactured to bags by applying the selected of twelve bag-designs among the current bag styles. These manufactured bags of jacquard fabrics in geometric Danchung patterns were appeared a contemporary yet ethnic feeling so that they can be used for the unique korean cultural products to further commercialization.

  • PDF

한국적 문양의 자카드직물 개발에 의한 한스타일 교복 연구 (A Study on the Han-style School Uniforms by Development of Jacquard Fabrics Using Korean Textile Patterns)

  • 김병미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23-132
    • /
    • 2009
  • Our government has declared the "Synthetic Project for Promoting Han-style" to industrialize and globalize the original form of Korea traditional culture. Han-bok, our traditional folk costume is one of the main subject of this project. However it is the global trend not to wear their traditional folk costume. And so, the number of people wearing Han-bok, our traditional folk costume is also getting gradually decreased in Korea. For Han-style Promoting Project in the future, it is one of the most efficient way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motivate and increase the interest about Han-style and Han-bok as the middle and high school uniforms. Adolescen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nk very important their appearance. Especially,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pend a lot of time in school, and so school uniforms are very influential in their mental and physical aspects. Fabrics for this study, they were woven twill with 3 kinds of fabric patterns from the motif of Baekje relics. The colors of fabrics is the blue and brown used in general school uniform, the yellow and red used in Han-bok. Considering the school uniforms, fabric patterns adapted the similar color matching method for not to be found cleary and designed the fabric pattern's one-repeat size is $4{\times}4cm$.

  • PDF

중국 산시성 피영극 복식의 유형 및 표현 특징 (Types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Shadow Puppetry Costumes, Yingxi)

  • 서승희;장천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2호
    • /
    • pp.110-128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Chinese shadow puppetry costumes. Literature study and case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books, research papers, and materials from the Xi'an shadow puppetry museum. Based on the Chinese traditional costumes, the shape characteristics are utilized with the intaglio and embossing techniques, and the complex and unnecessary details are omitted to express the costume image in a characteristic and simple manner. Second, colour was use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Chinese symbolic colour concept, and the brighter the colour, the higher the role's status. The colour was also used to express identity and character. In addition, relatively vivid and highly saturated colours were used for the transparent effect of the shadow puppetry. Third, a role's status is indicated by the density and completeness of the patterns; the higher the role's status, the more complex and sophisticated the patterns, and the lower the status, the simpler the patterns or no patterns are used. Fourth, the faith for blessing expressed in the shadow puppetry is a representative folk auspicious culture. The repertoire of the shadow puppetry and the patterns on the costumes worn by the puppets, express the culture in an implicit way to symbolize the meaning of auspicious things.

산시성 피영극 캐릭터 조형예술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 Modeling Art in Shanxi Shadow Puppetry)

  • ;임희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666-672
    • /
    • 2024
  • 피영극(皮影戏)은 중국 전통 민속예술로서, 2011년 유네스코 세계인류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연극이다. 본 연구는 중국 북부지역의 산시성의 전문서적에 수록된 캐릭터 조각 및 색채, 문양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산시성(山西省)의 피영극은 두 종류로, 산시성 북부의 '효의(孝义)'는 주로 『봉신연의(封神演义)』의 스토리 인물 캐릭터로 피영극의 주요 특징은 음각과 양각 조각의 사용과 색채가 어두우며, 종이스크린의 배경을 사용한다. 산시성 남부의 '후마(侯马)' 피영극은 산시성의 전통 연극인 '진극(晋剧)'의 영향을 받았으며 캐릭터의 특징은 생(生), 단(旦), 정(净), 추(丑) 4가지 역할로 망사스크린의 배경을 사용한다. 피영극은 송나라, 명나라, 청나라 시대의 의상과 신앙, 생활습관, 신분, 사회제도 및 유교문화 등을 음각과 양각의 조형적인 요소를 사용하여 표현하며, 전통적인 오행색(五行色)으로 색채를 연출한다. 본 연구는 산시성 피영극의 조형예술의 특성 이해 및 전통 공예의 특징 유지와 애니메이션, 영화 등 혁신적 요소를 더하여 아동 청소년들에게 피영극 문화의 전통적 가치를 전파와 계승 발전을 기대해 본다.

에스닉 테마를 주제로 한 유행경향 예측에 관한 연구-‘97 F/W 로스엔젤레스 시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rend Forecasting of the Ethnic Theme-Concentrating on Los Angels Market in '97 F/W-)

  • 김혜영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99-208
    • /
    • 1998
  • 본 연구는 Los Angels 중심의 서부지역 시장을 중심으로 에스닉 테마의 유행정보를 시장조사를 통해 예측한 연구이다. 연구의 진행은 먼저 에스닉 테마의 출현 배경을 고찰하고 전문점과 백화점 그리고 hadquarter의 현황을 조사한 수, Zip code를 통한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의 분석을 통하여 시장에 적합한 패션경향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997년 가을.겨울 소매 상가들에서 두드러진 경향은 에스닉이다. 이는 복잡한 현대 생활에 대한 반동으로서 기본 생활의 단순성, 자연에 대한 올바른 평가로 되돌아가는 것을 상징한다. 이런 에스닉한 민속 디자인들의 전형은 자연의상, 원시예술, 동족문화와 아프리카 테마주변에서 확인된다. 이런 에스닉 패션을 요약하자면 단순성, 자연성, 편리성, 자유로 나타내진다. 한편 이런 경향의 hadquarter라 할 수 있는 Broadway와 Robinsons-May와 같은 일반 백화점에의 기준은 다양한 스타일로 다양한 고객들을 충족시켜야 하는 것이다. Broadway의 에스닉 성향의 상품은 아직 도입단계로 정상에 오르지 못한 상태이다. 이 상품의 판매를 높이려면 VMD를 통한 판매 홍보와 다양한 에스닉 성향의 상품제시, 노력이 필요하다. 이 밖에 대표적인 상가 중심지인 Beverly Center Broadway의 고객을 분석했을 때 이 상품을 살만한 고객은 25-34세와 35-44세의 나이 분포를 지닌 대부분의 전문 직종의 젊은층과 사회적 지위를 성취하고자 하는 이들이었다. 이들의 라이프 스타일은 직업 지향의 활동들, 유행에 뒤지지 않은 복장, 모든 면에서 세련된 생활을 강조한다. 이 중 특히 중요한 것이 있다면 이미지이다. 그들은 남과 구분되는 개성을 원한다. 이미지들은 이국적인 것에서부터 단순함, 순박함과 섹시함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따라서 이상의 시장조사를 통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킨 유행경향 제시는 패션시장에서 그 무한한 가능성을 창출하도록 할 것이다.

  • PDF

조선 말기 이후 첨모직 깔개에 관한 연구 (Study on Pile Cloth Rugs Produced after the Late Joseon Period)

  • 박윤미;오준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1권4호
    • /
    • pp.84-107
    • /
    • 2018
  • 첨모직은 표면에 짧은 파일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선시대 후기에는 첨모직 깔개를 지칭하는 용어로 채담이 사용되었으며, 20세기 초에는 융전과 단통, 양탄자 등으로 불리었다. 조선 말기 이후의 여러 문헌이나 신문기사, 그리고 각종 사진자료를 통해 첨모직 깔개가 왕실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사용하였고 당시 국내에서 제작하였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 말기 이후의 첨모직 깔개 6점을 실물 조사하였는데 5점은 페르시아매듭의 컷파일이며 1점은 루프파일의 기법으로 제작되었다. 컷파일의 깔개는 크기가 가로 72~98 ${\times}$ 세로 150~156cm의 직사각형이며, 나비, 사슴, 호랑이, 그리고 십장생 등의 주 무늬를 중앙에 배치하고 卍자를 가장자리에 배치하였다. 컷파일의 소재는 지경사는 모두 면사이며 지위사는 3점은 면사, 1점은 모사, 그리고 1점은 면사와 비스코스레이온의 혼섬사이다. 지위사는 4점이 S꼬임의 실 여러 올을 합쳐 Z방향으로 합사한 실을 사용했다. 파일위사는 4~6가지의 색이 사용되었는데 홍색을 제외하고 모두 염색을 하지 않은 자연색 그대로의 모섬유가 사용되었다. 그리고 S나 Z꼬임의 모사를 2올 이상 합하여 반대방향으로 꼬임을 주었는데 굵기에 맞춰 올수를 합하였다. 깔개의 위아래 가장자리는 위사를 6올 이상 넣고 남은 지경사는 몇 올씩을 한데 묶어서 정리하였으며, 좌우 가장자리는 3올 이상의 면사를 가운데 놓고 수평으로 감아 마치 둥근 막대처럼 만들며, 가장자리에서 2~3번째 지경사를 징거서 튼튼하게 고정하였다. 루프파일은 경사방향으로 고리를 만든 경첨모직이며 지경사와 지위사는 면사, 파일경사는 모사로 추정된다. 소재의 성분 분석이 가능했던 깔개는 3점으로 파일위사는 판단이 불명한 것을 제외하고 염소와 비미종 양으로 판명되어 첨모직 깔개에 다양한 종류의 동물털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6점의 깔개는 1800년대 말부터 1900년대 초에 제작되었다고 추정된다. 깔개의 정확한 제작지는 확인할 수 없었으나 당시 국내에서 첨모직 깔개를 제작하고 있다는 문헌기록과 깔개의 문양의 조형성을 고려한다면 우리나라에서 제작된 것으로 본다.

고성오광대 연희용 탈의 변화 양상 (A Study on the Change of Masks for Goseong Ogwangdae Play - Before and after the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 남진아
    • 공연문화연구
    • /
    • 제41호
    • /
    • pp.257-284
    • /
    • 2020
  • 고성오광대는 1950년대 말부터 학술조사가 시작되어 1964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지정 당시까지는 종이탈을 사용하였으나 1965년에는 이미 나무탈로 바뀌었으며 이후 탈의 변화 양상이 매우 크다. 1960년에는 9개의 탈을 사용하였는데 문둥이, 초란이, 말뚝이, 청보양반, 젓양반, 할미, 제밀주 탈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여기에 소무는 제밀주와, 청보양반과 비비양반은 영감과 탈을 겸용하기도 하였다. 황봉사와 상주는 탈을 쓰지 않고 맨얼굴로 등장했다. 1965년부터 고성오광대 연희용 탈은 전체가 나무탈로 바뀌었다. 상주, 마당쇠, 상두꾼을 제외한 전 배역이 탈을 쓰고 있는데 비비, 홍백양반, 봉사 탈은 1964년까지는 등장한 적이 없는 탈이다. 초라니는 종가도령으로 바뀌었고 청보양반은 원양반으로 대체되었다. 1969년을 기점으로 연희용 탈은 종류가 현재와 같아지는 안정기에 들어선다. 비비양반과 소무를 제외한 모든 등장인물들이 개별탈을 사용하여 총18점의 탈을 사용한다. 양반들은 적제양반까지 확실하게 분화되어 총 7명의 양반이 등장한다. 이렇게 탈의 종류와 재질 및 표현법에 변화가 큰 것은 1세대 탈 제작자가 사망하면서 탈 제작의 전승이 끊어진 이유도 있겠으나 지정 이후 연희자들이 맞닥뜨려야 했던 연희환경의 극심한 변화에도 그 원인이 있다. 연희자들의 자족적인 놀이였기 때문에 세부 사항에서는 엄격한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유동적인 놀이였으나 민속예술경연대회에 참가하면서 점차 공연을 위한 준비로 바뀌었다. 춤이나 의상, 소품들도 점차 화려해졌고 시각적인 효과와 짜임새 있는 연출을 시도하면서 연희 전반의 변화와 함께 탈의 변화를 가져왔고 이를 보존회 내부에서도 수용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