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민간안전요원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Strategies for Public Health Service Development in the Times of Local Autonomy (지방자치시대의 공공보건사업 발전 전략)

  • 박정한
    •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
    • v.12 no.3
    • /
    • pp.1-22
    • /
    • 2002
  • Health is a fundamental human right and a sine qua non for happiness of people and for national development. Government has a responsibility for the provision of health services for their people. Recent changes of disease pattern, i.e. decrease of Infectious diseases and increase of chronic and degenerative diseases Including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together with universal coverage of health insurance and improved living standard have prompted medical care utilization and skyrocketed the national health expenses. The goal of national health policy i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betterment of health level.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healthcare system for lifetim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healthcare delivery system, and to strengthen the public health services for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The current public health service programs are Inefficient due to an inconsistent policy for health service program, lack of health information system, irrational health program planning and evaluation, and Inadequate training of health workers. Local government has a legal responsibility for health service program planning and promoting the competence of health workers. Thus, municipal and provincial health departments should expand their roles and strengthen their function. The strategies for developing public health service programs at local level are ${\circled}1$ stipulating the goals of health policy, ${\circled}2$ promoting the ability for health program planning and evaluation, ${\circled}3$ establishing health information and surveillance system, ${\circled}4$ training of health workers, ${\circled}5$ establishing an institution fo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and training of health workers, and ${\circled}61$ collaboration with local universities.

A Study on Response System of Marine Pollution Accident by Chemicals in United States (화학물질 해양오염사고에 대한 미국의 방제체제 연구)

  • Choi, Jong-Wook;Lee, Seung-Hwa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7.11a
    • /
    • pp.61-67
    • /
    • 2007
  • With an entering into force of OPRC-HNS started in June 14th 2007, establishment of response system in a nationwide scale to take care of accidents is required to respond rapidly and effectively. This necessities drove us to analyze national contingency plan for chemicals including national response system against accidents, which is in operation in the US. Main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are well described as an integrated incident command system with a cooperation of responsibilities facilities, manpower, and technical support. In addition, state anψor local authorities tend to have responsibilities on management of disaster with its response activities. Polluters are also charged to pay expenses 3 times expensive provided state or local authorities are conducted. In general, response activities are conducted by private sectors. However, the government will take action with Superfund if the response capacity is over than the polluters can. However, safety are regarded as a primary factor to be considered in the response activities, and try not to recover any pollutants. Personals belonging to USCG and EPA are required to complete specialized courses to promαe professional skills, and are also welcomed to participate in "certification program"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 guard Accomplishment Personality and Stress Coping Behavior (민간경호${\cdot}$경비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의 반향관계)

  • Gong, Bae-Wan;Kim, Chang-Ho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10
    • /
    • pp.15-34
    • /
    • 2005
  • 1.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coping behavior. (1) Type A Group used more problem-focused and emotion-focused coping style than Type B Group (2) Non-sociable group used more emotion-focused coping style especially 'escape-avoidance' behavior than sociable group (3) Emotionally unstable group used more emotion-focused coping style especially 'distancing' and 'escape-avoidance behavior than stable group. 2.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stress coping effect except emotional stability. 3. There was same inter-correlations among personality, coping style, and coping effect, (1) Type 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ociability but not with emotional stability. (2) Problem-focused coping sty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focused coping style. (3) Coping effect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ping style and personality traits accept emotional stability. 4.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ppraisal and coping style. (1) When they appraised the event 'could change or did something about it,' that used more problem-focused coping style than appraised 'had to accept.' (2) When they appraised the event ' could control before it occures.' they used more problem-focused and emotion-focused coping style than appraised it 'could not control'. (3) When they appraised the event 'had to gold back.' they used more problem-focused and emotion-focused coping style than appraised it 'had not to hold back.' (4) When they appraised the event 'happened by me.' they used more problem-focused coping style than appraised it 'happened by others.' (5) When they appraised the event 'needed to know more, 'they did not significantly use more coping behavior than appraised it 'needed not to know more.'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two cases in cognitive appraisal to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he two cases were as follows: (1) Sociability group appraised the event 'had to accept.' while non-sociability group appraised it 'could change or did some thing about.' (2) Emotionally stable group appraised the event 'happened by others.' while emotionally unstable group appraised it "happened by me".

  • PDF

A Study on Modernization of International Conventions Relating to Aviation Security and Implementation of National Legislation (항공보안 관련 국제협약의 현대화와 국내입법의 이행 연구)

  • Lee, Kang-Bin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30 no.2
    • /
    • pp.201-248
    • /
    • 2015
  • In Korea the number of unlawful interference act on board aircrafts has been increased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growth of aviation demand, and there were 55 incidents in 2000, followed by 354 incidents in 2014, and an average of 211 incidents a year over the past five years. In 1963, a number of states adopted the Convention on Offences and Certain Other Acts Committed on Board Aircraft (the Tokyo Convention 1963) as the first worldwide international legal instrument on aviation security. The Tokyo Convention took effect in 1969 and, shortly afterward, in 1970 the Convention for the Suppression of Unlawful Seizure of Aircraft(the Hague Convention 1970) was adopted, and the Convention for the Suppression of Unlawful Acts Against the Safety of Civil Aviation(the Montreal Convention 1971) was adopted in 1971. After 9/11 incidents in 2001, to amend and supplement the Montreal Convention 1971, the Convention on the Suppression of Unlawful Acts Relating t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the Beijing Convention 2010) was adopted in 2010, and to supplement the Hague Convention 1970, the Protocol Supplementary to the Convention for the Suppression of Unlawful Seizure of Aircraft(the Beijing Protocol 2010) was adopted in 2010. Since then, in response to increased cases of unruly behavior on board aircrafts which escalated in both severity and frequency,, the Montreal Protocol which is seen as an amendment to the Convention on Offences and Certain Other Acts Committed on Board Aircraft(the Tokyo Convention 1963) was adopted in 2014. Korea ratified the Tokyo Convention 1963, the Hague Convention 1970, the Montreal Convention 1971, the Montreal Supplementary Protocol 1988, and the Convention on the Marking of Plastic Explosive 1991 which have proven to be effective. Under the Tokyo Convention ratified in 1970, Korea further enacted the Aircraft Navigation Safety Act in 1974, as well as the Aviation Safety and Security Act that replaced the Aircraft Navigation Safety Act in August 2002. Meanwhile, the title of the Aviation Safety and Security Act was changed to the Aviation Security Act in April 2014. The Aviation Security Act is essentially an implementing legislation of the Tokyo Convention and Hague Convention. Also the language of the Aviation Security Act is generally broader than the unruly and disruptive behavior in Sections 1-3 of the model legislation in ICAO Circular 288. The Aviation Security Act has reflected the considerable parts of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legislation under the Beijing Convention and Beijing Protocol 2010, and the Montreal Protocol 2014 that are the modernized international conventions relating to aviation security. However, in future, when these international conventions would come into effect and Korea would ratify them, the national legislation that should be amended or provided newly in the Aviation Security Act are as followings : The jurisdiction, the definition of 'in flight', the immunity from the actions against the aircraft commander, etc., the compulsory delivery of the offender by the aircraft commander, etc., the strengthening of penalty on the person breaking the law, the enlargement of application to the accomplice, and the observance of international convention. Among them, particularly the Korean legislation is silent on the scope of the jurisdiction. Therefore, in order for jurisdiction to be extended to the extra-territorial cases of unruly and disruptive offences, it is desirable that either the Aviation Security Act or the general Crime Codes should be revised. In conclusion, in order to meet the intelligent and diverse aviation threat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review closely the contents of international conventions relating to aviation security and the current ratification status of international conventions by each state, and make effort to improve the legislation relating to aviation security and the aviation security system for the ratification of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legislation under international conventions.

The research for the yachting development of Korean Marina operation plans (요트 발전을 위한 한국형 마리나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Jeong Jong-Seok;Hugh Ihl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8 no.10 s.96
    • /
    • pp.899-908
    • /
    • 2004
  • The rise of income and introduction of 5 day a week working system give korean people opportunities to enjoy their leisure time. And many korean people have much interest in oceanic sports such as yachting and also oceanic leisure equipments. With the popular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equipments, the scope of oceanic activities has been expanding in Korea just as in the advanced oceanic countries. However, The current conditions for the sports in Korea are not advanced and even worse than underdeveloped countries. In order to develop the underdeveloped resources of Korean marina, we need to customize the marina models of advanced nations to serve the specific needs and circumstances of Korea As such we have carried out a comparative analysis of how Austrailia, Newzealand, Singapore, japan and Malaysia operate their marina, reach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in marina operations, in order to protect personal property rights and to preserve the environment, we must operate membership and non-membership, profit and non-profit schemes separately, yet without regulating the dress code entering or leaving the club house. Secondly, in order to accumulate greater value added, new sporting events should be hosted each year. There is also the need for an active use of volunteers, the generation of greater interest in yacht tourism, and the simplification of CIQ procedures for foreign yachts as well as the provision of language services. Thirdly, a permanent yacht school should be established, and classes should be taught by qualified instructors. Beginners, intermediary, and advanced learner classes should be managed separately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dinghy yacht program for children. Fourthly, arrival and departure at the moorings must be regulated autonomically, and there must be systematic measures for the marina to be able, in part, to compensate for loss and damages to equipment, security and surveillance after usage fees have been paid for. Fifthly, marine safety personnel must be formed in accordance with Korea's current circumstances from civilian organizations in order to be used actively in benchmarking, rescue operations, and oceanic searches at times of disaster at sea.

Ubiquitous Sensor Network Application Strategy of Security Companies (시큐리티업체의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USN) 응용전략)

  • Jang, Ye-Jin;An, Byeong-Su;Ju, Choul-Hyun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21
    • /
    • pp.75-94
    • /
    • 2009
  • Since mechanical security systems are mostly composed of electronic,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they have effects in the aspects of overall social environment and crime-oriented environment. Also, the importance is increasing for wireless recognition of RFID and tracing function, which will be usefully utilized in controlling the incomings and outgoings of people/vehicles or allowance, surveillance and control. This is resulting from the increase in the care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overall social environment, namely, the aging society, and the number of women entering, as well a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einous cr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ubiquitous sensor network and present a direction for securities companies for their development by focusing on the technological and application areas. To present strategies of response to a new environment for security companies, First, a diversification strategy is needed for security companies. The survival of only high level of security companies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liberal market competition will bring forth qualitative growth and competitiveness of security market. Second, active promotion by security companies is neede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we are living in the modern society in the sea of advertisements and propaganda. The promotional activities that emphasize the areas of activity or importance of security need to be actively carried out using the mass media to change the aware of people regarding security companies, and they need to come up with a plan to simultaneously carry out the promotional activities that emphasize the public aspect of security by well utilizing the recent trend that the activities of security agents are being used as a topic in movies or TV dramas. Third, technically complementary establishment of ubiquitous sensor network and electronic tag is needed. Since they are used in mobile electronic tag services such as U-Home and U-Health Care, they are used throughout our lives by forming electronic tag environment within safe ubiquitous sensor network based on the existing privacy guideline for the support of mobile electronic tag terminal commercialization, reduction in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usage costs, continuous technical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of privacy protection, and the system of cooperation of academic-industrial-research needs to be established among the academic world and private research institutes for these parts.

  • PDF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