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학적 관점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6초

게임의 미학적 잠재성과 가치 특성 (Aesthetic Potential and Value Characteristics of the Game)

  • 이장원;윤준성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31-148
    • /
    • 2016
  • 게임의 문화적 위상에 관한 논의는 언제나 다양한 예술 영역들과 비교되고 있으며, 게임의 등장 이후부터 현재까지 지속하고 있다. 같은 기간 동안 게임의 문화적 영향력은 점차 증가한 것에 비해, 대중적 인식은 게임의 예술적 가치를 상당히 저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지속해서 게임이 문화적 영향력을 유지하고 우리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평가의 변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게임의 관점에서 자신만의 미적 가치를 증명하는 연구가 요구되며, 이에 대한 사회적 동의를 끌어내야 한다. 본 논문은 게임과 예술의 관계와 다양한 유사성에 관한 논의를 통해 게임의 새로운 미학적 잠재성을 탐구한다. 게임아트와 아트게임의 현황 분석을 통해 예술적 관점에서 게임에 대한 견해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 견해와 견주어 게임적 관점에서 게임의 미학적 대상과 그 가치를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정보미학과 생성미학의 특성을 기반으로 게임미학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융합공학기술에 고려된 신학적미학의 관점연구 (A Perspective Study of the Theological Aesthetics considered in Convergency Engineering Technology)

  • 홍진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신학적미학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 신학적 미학의 기준으로 인간의 가치 기준의 표준이 되는 성경으로부터 근거를 조사한다. 다른 관점에서 동물과 식물의 유일한 설계가 미학이라는 견지에서 살펴보았다. 우리가 고안하고 창조할 수 있는 또다른 다양한 아름다움을 가지는 적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런데 이러한 설명은 사물을 설계하고 만들기 위해 적용되고 실용가능한 적용 뿐 아니라 아름다움을 위해서도 인지된다. 이런 관점으로부터 우리는 신과 창조세계 그리고 신학적 미학의 관련성을 유추할 수 있다. 우리는 인간이 만든 그리고 만들 융합공학기술과 신학적 미학이라는 함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왜 융합공학기술에 신학적 미학이라는 도구가 필요한지 그리고 중요한지 라는 문제를 논의하였다. 우리는 이 사회에 보다 건강하고 도덕적이며 윤리적인 융합공학기술을 개발하여, 인류에게 보다 가치있고 건강한 미래의 삶을 제공하기 위해, 신학적 미학이 함의된 기술 진보라는 측면에서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시각특수효과를 이용한 영상재현에 관한 이미지사례 연구 (A study of Humanities about reflex reappearance that use Visual special effects)

  • 정태섭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11-11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계속 발전하고 있는 영상기술에 대한 것을 인문학적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시각특수효과의 기술적인 부분보다는 미학적 의미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미학의 접근과 재현의 의미와 사례를 통하여 기술적 부분보다는 해석적 의미에서 접근을 하였다.

  • PDF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정치적·미학적 가능성과 그 실천에 관한 분석틀 제안 (An Analytic Framework for the Political and Aesthetic Possibility of Interactive Documentary and Its Practice)

  • 권호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84-193
    • /
    • 2021
  •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는 창작자와 수용자가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재료로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해 만들어내는 새로운 양식의 다큐멘터리를 말한다.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는 공론장을 형성하고 상호작용성에 기반한 경험을 통해서 수용자들로 하여금 사회 변화에 직접 참여하도록 매개하는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이론적 관점에서 그 가능성이 체계적으로 탐색되지 못했고, 실천적 관점에서 가능성을 실현하고 발전시킬 방법에 관한 고려가 부족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 기반으로서 발터 벤야민의 정치 미학, 특히 예술의 정치화에 관한 논의들을 정리하고,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매체적 특징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 둘을 서로 연결하여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정치적·미학적 가능성의 지도를 그려보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작품에서 그 가능성이 어떻게 실현되었고 한계는 무엇이었는지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정치적·미학적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마련했다는 가치를 갖는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트랜스미디어 액티비즘으로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실천적 전략을 고민하고 실용성 있는 분석 및 기획 방법론을 개발할 것이다.

현대무용 작품에 나타난 신체 미학 연구 중국 타오 댄스 시어터(TAO DANCE THEATER)작품을 중심으로 (Style on the Aesthetics of the Body in Contemporary Dance Works Focusing on the Works of TAO DANCE THEATER in China)

  • 진유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611-619
    • /
    • 2022
  • 본 논문은 슈스터만의 신체미학적 개념과 현대무용 초기 댄서의 심미적 특징을 결합하여 타오 댄스 시어터를 연구 대상으로 무용의 신체관념적 특징과 신체 미학적 특징을 연구에 출발점으로 하여 타오 댄스 시어터의 신체언어에 대해 이들이 표현하고 전체적인 연구를 진행하며 미니멀리즘과 추상적 미학적 관점에서 타오 댄스 시어터의 신체미학을 분석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타오 댄스 시어터의 작품 <10>의 창작의도, 작품내용, 신체미학적 요소, 복장무대 등의 요소를 분석하고자한다. 이에 작품을 통해 이가 주장한 신체 미학적 개념을 이해하며 예술사조의 변화에 따른 현대무용예술의 발전 현황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생태미학 연구의 개념화 및 방법론 탐구 (Establishing a Research Framework for Ecological Aesthetics: A Methodological Review)

  • 이종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71-80
    • /
    • 2017
  • 환경설계는 우리 사회의 생태적, 미적, 사회적 가치들의 조율을 추구하지만, 생태적 가치와 미적 가치는 쉽게 조율되기에는 복잡한 관계를 지닌다. 생태미학이라는 분야는 생태적으로 건강하고, 미적으로도 매력적인 경관설계를 그 목표로 경관의 지속가능성과 미학의 관계에 대해 탐구한다. 이러한 복잡한 관계를 다루는 학문 영역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극히 일부의 연구들이 생태미학과 관련된 주제를 경험적 방법을 통해 연구했다. 본 연구는 생태미학의 기존 개념을 정리하고, 이를 연구방법론과 연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첫째, 경관과 대중의 인식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적 틀을 생태 미학적 관점에서 재정의했다. 이 관계에서 특히 디자인 및 정보가 개입하여 나타나는 조절 효과에 대해 보여준다. 이 틀로부터 도출되는 세 가지 하위 주제는 다음과 같다. (1) 생태적 기능과 경관 선호도의 상호관계, (2) 경관중재: 생태적 기능도 보호하고, 미적 가치도 확보할 수 있는 절충된 디자인 전략, (3) 정보중재: 생태에 대한 정보가 미적 경험에 미치는 중재 효과가 그것이다. 세 가지 주제는 개념적 틀에서 보여지듯,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이며, 각 영역의 연구 시 다른 영역의 고려가 필요하다. 세 가지 하위 주제에 따라 기존의 이론적, 실증적 연구들을 방법론적 관점에서 검토하고, 한계를 지적하며, 보완 가능한 방법론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 동안 해석적이고 이론적인 담론에 그쳐왔던 생태미학을 개념적 틀을 통해 정리하고, 각 영역을 넘어선 방법론적 고려를 제시함으로써 생태미학의 방법론을 보완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현대 예술 작품에 나타난 죽음의 미학 (The Aesthetics of Death of Works of Comtemporary Art)

  • 왕형우;김현주;윤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439-451
    • /
    • 2020
  • 본 연구는 현대 예술에서 나타난 죽음 미학의 의미를 깊게 이해하기 위해, 먼저 예술 작품에 담긴 죽음의 미학적 발전 과정을 통시적 관점으로 정리하고, 다음으로 현대 예술 작품에서의 죽음의 미학을 분류하고 의미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의 미학적 표현 형식은 죽음의 재현과 죽음 상징의 두 가지로 구분한다. 죽음의 재현은 실질적 대상 재현, 상상의 대상 재현을 포함한다. 죽음의 상징적 표현은 외면적 표현 상징과 내면적 표현 상징으로 나눌 수 있다. 둘째, 현대 예술에서 죽음의 재현성 표현은 죽음의 장면에 대한 묘사를 통해 죽음으로 인한 다양한 문제 및 철학적 의미를 더한다. 셋째, 현대 예술에서 죽음의 상징적 의미는 죽음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뿐만 아니라 죽음에 따른 다양한 심리상태를 표현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예술 작품에서 죽음의 미학에 대한 작가의 시각적 표현과 그에 따른 심층적인 의미 변화를 진행할 것이다.

컴퓨터 기반의 레이어(layer)에 대한 매체미학적 분석 (Media-Aesthetical approach to the Computer-based Layer)

  • 이병주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471-478
    • /
    • 2004
  • 현대미학의 논의는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한 예술과의 상호 관계, 즉 매체에 대한 새로운 미학적 해석으로 시작된다. 과거 선형적 사고체계의 문자시대와 비교할 때 매체는 반드시 현존을 증거하는 수단에 불과하였으나 이제 그것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 있어서 그 자체로서 하나의 창조적 행위이며 그 안에 미적 관념 자체를 내포하고 있는 역동체인 것이다. 매체 미학의 대표적인 이론가인 볼츠는 새로운 매체 시대의 예술은 '이미지의 복제'가 아니라 '이미지의 변형'이 주요한 관건이며, 이 예술형식은 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전달하는 것이 아닌 그 자체만이 존재하는 대상 없는 이미지가 중심을 이루어지므로 결국 비선형적인 사고체계가 지배하는 기술적 환경에서의 창의성이란 선택적 테크닉의 한 효과라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컴퓨터 환경의 레이어(layer)가 그러한 이미지 변형의 핵심적인 기술중심의 예라고 상정하고 위에서 언급된 매체 미학적 관점들을 검증하고자 했으며, 나아가 작업자인 디자이너의 창작과정에 그것이 어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이는 새로운 시대의 미학적 개념은 새로운 미디어가 지배하는 '디자인의 과학'으로 정의되어야 한다고 하는 볼츠의 매체미학과의 조우를 통해서 디자인의 학문으로서의 이론적 토대를 확장시키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말할 수 있다.

  • PDF

애니메이션 제작기법의 미학적 접근 방법연구 (Research on the expression of aesthetics in Animation)

  • 주영숙;김치용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49-254
    • /
    • 2005
  • 현대는 점점 더 복잡하고 다양한 의미를 생산해내는 문화가 지배해가고 있으며,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애니메이션은 독특한 자기영역을 확보하고 발전하는 하나의 문화코드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실사영화에 반영되는 영상 미학의 기본적인 정의와 표현 기법을 살펴보고 기본적인 영상미학에 근거한 애니메이션 미학의 기본적인 속성을 구체적인 기법을 중심으로 자세히 살펴보았다. 또한 애니메이션의 속성상 실사영화와 차별성을 갖는 몇 가지 차이점을 살펴보며, 애니메이션의 특성을 제작기법의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애니메이션의 강력한 특징(장점)을 확인하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 우리가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갖는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위하여 기울여야 하는 노력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