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술과 디자인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7초

탈모던 실내공간에 적용된 꼴라쥬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s of collage on post-modern interior spaces)

  • 박혜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155-164
    • /
    • 1998
  • 본 연구는 20세기 순수 미술을 통하여 하나의 조형방법으로 형성된 꼴라쥬 개념의 정립과 특성 분석을 통하여 실내디자인 분야에서의 이의 활용에 대한 제안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꼴라쥬 기법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었던 입체파, 다다, 초현실주의, 팝아트를 중심으로 꼴라쥬의 개념, 형식, 특성들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각 예술이념에 따른 꼴라쥬 특성과 조형효과에 대해 분석한다. 둘째, 탈 모던 실내공간의 제반 이념적 특성과 꼴라쥬 특성과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한다. 셋째, 현대 실내공간에서의 꼴라쥬 효과에 대한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그 적용 성을 입증한다. 본 연구는 꼴라쥬의 개념정립과 특성, 효과에 대한 분석 측면에 비중을 두고 진행하였으므로, 차후 실내공간에서의 꼴라쥬 사례에 대한 보다 광범위하고 집중적인 영구가 이루어져 실내디자인 실무와 교육에서 활용될 수 있는 하나의 방법론적 모델로서 발전되기를 바란다.

  • PDF

가로경관에 환경조형물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 테헤란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culpture For Street Landscape Design -Focusing on Teheran-Ro in Seoul -)

  • 정수진;장영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323-334
    • /
    • 2004
  • 본 연구는 환경조형물이 건축물을 위한 단순한 장식 이상의 것이며 공공성을 가진 미술 작품으로서 가로환경의 디자인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수단 중 하나라는 시각에서 출발하였다. 환경조형물은 설치장소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시각적 대상으로 주변 환경과 장소적 맥락을 가지는 요소로 파악 가능하다. 현장조사의 대상 지는 강남의 중심적인 업무지역이며 대규모 건축물이 집중되어 있는 테헤란로의 삼성역과 선릉역 사이 구간의 가로변에 위치한 28개 환경조형물에 대해 전수조사 하였다. 이들 환경조형물과 가로경관과의 상관관계에 따라 각각 건축물, 보행자, 조형물의 시점에서 분석하였으며, 가로 경관과의 상관성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 환경조형물이 가로경관과 주변 장소성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조형물 주변에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주변의 공간과 결합되는 장소에 설치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환경조형물은 가로의 경관을 조절할 수 있는 요소로 환경디자인의 수단으로 거시적 맥락에서 위치 및 설치방식, 재료 등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 PDF

픽셀화 이미지의 조형 특성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Developing Fashion Design Utiliz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ixelation Image)

  • 김진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3권4호
    • /
    • pp.13-23
    • /
    • 2019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ixel,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onstituting a digital image, draw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ixelation image expressed through non-digital media, and develop fashion desig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s a research method, th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in the present study by involving domestic and foreign publications, related academic journals, and theses and dissertations on the pixel and pixelation image based on a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In addit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cases that borrowed pixelation images in non-digital media like contemporary art and design, etc., an attempt was made to draw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pixelation image. Apparently, six fashion design looks are presented in the present stud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pixelation image include: first, the repeatability that repeats the minimum unit; second, the incompleteness of the shape appearing through the phenomenon of aliasing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xel; and third, the combination that completes the shape through the combination of individual independent pixels. The results of the expression through reflecting them in fashion design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hose one small geometric formative element and presented repeatability by repetitively expressing that element in a textile pattern; second, for incompleteness, this study expressed an incomplete form, handling the edge part of the shape with the method of disentangling the strand; and third, the combination by completing a single look through overlapping of independent textiles and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independent individuals is expressed.

현대 영상작품 속에 활용된 '여백' 의 표현방식에 관한 연구 (Research of the Expression of 'Blank-Leaving' in Modern Films)

  • 장잉팅;이동훈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
    • 제59권
    • /
    • pp.114-127
    • /
    • 2017
  • 현재 여백에 대한 연구는 주로 미술학, 건축학 논저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영상 학술 연구 중에서는 비교적 적은편이다. 그러나 여백은 의미를 표현하는 수단으로서 영상 작품에 독특한 예술적 매력을 부여하며, 영화 예술에 있어 여백 형식의 발전은 능동적인 미학적 영향을 미친다. 영상작품 속 여백사상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위해 본문에서는 먼저 '여백'의 정의에 대해서 논의하고 여백이 생겨난 역사와 사회적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서 여백과 도교(道敎)학설의 관계와 중국화 속에서의 응용을 살펴볼 것이다. 다음은 도교에서 말하는 '여백' 사상을 결합하여 영상예술 속에서의 여백의 기능과 예술적 표현, 그리고 사람들의 사상승화에 미친 영향 등을 분석할 것이다. 여백은 하나의 의미표현 수단으로서 미적 가치를 실현함과 동시에 대중의 영화예술 지각능력을 강화한다. 그러하기에 여백이라는 유구한 미학 사상은 새로운 시대, 새로운 영역에서 지속적인 생기를 발산하게 될 것이다.

미용학(美容學) 관점의 시누아즈리(chinoiserie) 서양화 속 여성 헤어디자인에 대한 요인분석 (In the Western painting of Chinoiserie from the perspective of cosmetology Factor analysis for female hair design)

  • 고희자;박장순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39-144
    • /
    • 2021
  •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는 인간의 행위는 가장 자연스러운 욕구이자 본능이기 때문에 외모의 중요성과 함께 인간의 외모 관리에 대한 미용학적 관심이 날로 증대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미용 트렌드(beauty trend)의 요구가 현시점에서 매우 필요하다. 이에 미용학(美容學)과 연관이 깊은 미술(美術)에서 근원을 도출하고자 18세기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에서 유행한 '시누아즈리' 풍의 서양화 속에 등장하는 여성 헤어디자인의 형태(形態), 질감(質感), 색상(色相) 등에 대하여 그림을 통해 면밀한 연구 및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네 개의 서양화 속 등장하는 여성의 헤어디자인에는 각각의 개성 있는 형태, 질감, 색상의 특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촌각(寸刻)을 다투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를 사는 현대인에게 뉴 모드(new mode)의 헤어스타일 개발의 초석(楚石) 구축과 함께 다양한 미용 콘텐츠(contents) 개발을 위한 시금석(試金石)으로 작용하고자 한다.

비대면 시대 미술관 학교 연계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사용자 경험 연구 (A Study on User Experience of Online Education Programs with Elementary Schools and Art Museums in Non-Face-to-Face Era)

  • 김나연;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311-317
    • /
    • 2021
  • 본 연구는 비대면 시대에 따른 미술관과 초등학교 연계 온라인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디지털 기술기반의 더 나은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사용자 경험 유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국내외 실시하고 있는 미술관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하고 사용자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참여한 어린이와 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1차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2차로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학교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장단점이 존재했다. 이에 부정적인 의견을 토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기반의 온라인 교육을 활성화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향후 초등학교에서 진행되는 비대면 온라인 미술 교육프로그램 사용자 경험에 대한 자료로 활용되고 나아가 실질적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패션디자인의 저작권법상 보호 가능성에 대한 고찰 - 저작물의 성립요건과 보호대상 저작물의 유형 검토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Possibility of Legal Protection of Fashion Designs under the Copyright Law - Based on the Review of the Requisites of Works of Authorship and their types -)

  • 조경숙
    • 복식
    • /
    • 제64권1호
    • /
    • pp.123-135
    • /
    • 2014
  • The author has explored whether legal protection of fashion designs is possible under the current Korean Copyright Act with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legal principles of the copyright law among fashion professionals. It examined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copyright law as well as the requisites for establishment of "works of authorship" and the types of protection stipulated by the copyright law, which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possibilities of legal protection for fashion designs under the law. It then analyzed several leading cases in the fashion designs sector for the interpretation of related legal principles. The Copyright Act defines "works of authorship" for protection as the creative works that express human ideas or emotions. Works to be legally protected under the law include artistic works that are equipped with the prerequisites for establishment of "works of authorship", or fashion designs that are equipped with the prerequisites for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applied artistic works whose originality is distinguishable from articles.

과정접근적 순수미술 전시가 관람자의 관심도와 감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a Process approach to Fine Art Exhibit Design on Visitor Interest and Appreciation)

  • 김주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호
    • /
    • pp.33-37
    • /
    • 1994
  • Increasing interest and providing educational experience for the public have long been a major ARt Museum goal. This interest raises the question of how visitors respond to museum exhibits. Much researches have been done which indicate the newer and more interactive exhibits are indeed more didactic and enjoyable than conventional exhibit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rt exhibits which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creative process of developing a work art along with the final work of art to test if they results in more viewer interest and greater appreciation of the final work of art than those which display only the final work of art. In the early part of the 1991 spring, a counterblancing AB/BA quasi-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e Jhnson Museum of Art, Cornell University. Methods used to collect and measure visitory interest and appreciation were unobtrusive observation and survey questionnaire. As the indirect measurement of visitor interest, attracting power and holding power were measured by unobstrusive observation of visitor time spent, while the direct measurement of visitor interest and appreciation, visitor's interest, understanding , and degree of favorableness were measured by survey questinnaire. Data analysis reached conclusion that the process approach fine art exhibit designs significantly resulted in more viewer interest and greater appreciation of art work than the conventional fine art exhibit design.

  • PDF

예일 영국미술센터의 공간구성 방식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of Yale Center for British Art)

  • 김낙중;정태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69-7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ior characteristics of the Yale center for British art by Louis I. Kahn. As his last realized project, the Yale center for British art shows Kahn's latter architectural thoughts about exterior/interior, space/structure and theory/practice. Kahn arranged unit space(room) around two interior courts and laminated them vertically. This spatial configuration is the result of solving the urban context which needed the continuity of street and complicated program including art museum, retail shop, studio and library. Although Kahn adpted severe formal configuration, he added changes to spatial relation. The visualization of architectural system is realized by revealing the relation of the unit space and structure. And this emphasized the presence of the center. The emphasis of tectonic expression is also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in that structure is the logical part of whole building system rather than concealing object for the exterior of buildings. In the Yale center for British art, interior characteristics are summarized as spatial configuration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unit space and two courts, the visualization of structural ord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 and light.

미술 전시를 위한 건축 공간 설계 사례 분석에 관한 연구 - 레미 조그(Rémy Zaugg)의 이론을 적용한 스위스 미술관들을 바탕으로 - (A Study on the Exhibition Space Design for Visual Art - Based on Rémy Zaugg's Writings -)

  • 윤재원;최춘웅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299-306
    • /
    • 2013
  • While artists and architects both recognize the importance of well-designed exhibition spaces, they have rarely shared, through direct and open communication, their thoughts on what constitutes an ideal architectural context for art. Remy Zaugg's text offers a rare and valuable insight on artists' conception of an ideal space for art, and his words and diagrams have directly influenced some of the successful architectural projects for art in the recent past. By analyzing the original content of Zaugg's writings, and highlighting Zaugg's key design elements from three sample projects, all of which mention Zaugg's text as a direct reference, we can compile a list of core design elements for constructing an ideal space for art. Three museums closely incorporated all but two of Zaugg's seven core planning elements, and the remaining two recommendations on the luminous ceiling and gallery distribuition were more subjectively interpreted. These deviant components in turn become unique features to each project, suggesting proper areas of intervention for architects as auth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