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숙

검색결과 2,379건 처리시간 0.036초

전자선 조사 동결건조 김치분말의 품질 특성 (Effect of Irradia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yophilized Kimchi Powder)

  • 홍상필;김은미;양지나;안동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14-618
    • /
    • 2007
  • 미숙성김치와 숙성김치를 동결건조한 후 방사선량 별로 나누어 이에 대한 이화학적 분석, 잔존 미생물수 분석 및 관능평가를 통하여 김치의 양념소재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미숙성김치와 숙성김치는 pH 및 적정산도는 차이가 있었으나 이의 동결건조물의 방사선 조사 처리구들 간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을 조사하기 전 숙성김치의 색도는 미숙성김치에 비해 L, a 및 b값에서 다소 높은 값을 보였으며, 조사처리 후에는 조사선량의 강도에 의한 영향은 거의 받지 않았고 미숙성김치는 숙성김치보다 색상에서 다소 변화를 보였다. 미숙성김치분말보다 숙성김치분말은 미생물에 대한 방사선 조사에 의한 살균 효과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30 kGy 조사 시에는 특히 총균수와 젖산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숙성김치분말에는 ethanol, 1-propene-3-methyl, disulfide dimethyl 및 disulfide methyl propyl 등의 휘발성 성분이 다소 많았고 특히 disulfide dipropyl 성분은 숙성김치분말에만 존재하는 특성을 보인 반면 그 외의 성분에서는 오히려 미숙성김치분말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을 조사함에 따라 숙성김치분말에서는 2-butanone과 acetic acid, 핵산 및 butanal 2-methyl 성분 등이, 미숙성김치분말에서는 hexane 및 butanal 2-methyl 성분이 새롭게 생성되거나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황화물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한 김치분말에 대하여 이미, 이취 및 매운맛에 대한 관능평가결과 모두 조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미와 이취는 증가하였으나 조사랑 30 kGy 까지는 수용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Green and Ripened Pumpkin(Cucurbita moschata Duch.))

  • 조규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57-662
    • /
    • 1997
  •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의 일반성분, 유리당, 아미노산, 지방산, 무기성분 조성등의 화학성분을 비교 조사한 결과, 호박은 성숙함에 따라서 성분이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숙호박 및 완숙호박의 과육중에는 당질 $70.95{\sim}70.65%$과 단백질이 $14.0{\sim}15.20%$ 많았고, 호박씨중에는 단백질 35.74%이 가장 많고, 다음은 지질 29.45%과 당질 28.39%이 많았다.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의 과육에서 sucrose, glucose, fructose, maltose, lactose 등의 유리당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유리당들은 sucrose와 fructose는 성장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glucose, maltose, lactose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maltose는 완숙호박에서만, 호박씨중에는 sucrose만이 확인되었다.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의 단백질중에는 15종의 아미노산이 확인되었으며, 호박은 성장함에 따라 Thr, Ser, Gly, Ala, Val, Met, Ile, Leu, Phe, Lys등은 감소하였으나, Asp, Tyr, His, Arg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호박씨 중에는 Glu, Asp, Leu가 많았다. 지방산은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에 palmitic, linolenic, linoleic acid가 많았다. 호박은 성장함에 따라 palmitic acid의 함량은 유사하였으나, stearic, oleic acid는 감소하고, myristic, linoleic, linolenic acid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호박씨중의 지방산은 linoleic, palmitic, oleic acid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arachidic acid도 확인 되었다. 미숙호박과 완숙호박, 호박씨중의 무기성분은 K가 가장 많았고, Ca, Mg, Na, Fe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호박은 성장함에 따라 Ca, Mg는 감소하는 한편 K, Na, Fe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전기투석에 의한 미숙온주밀감 주스의 탈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eacidification of Premature Citrus Juices by Electrodialysis)

  • 고원준;양민호;강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02-208
    • /
    • 2006
  • 제주지역에서 8, 9, 10월에 수상 적과하여 폐기되는 감귤 미숙(청)과를 자원화하기 위해 전기투석을 이용하여 착즙주스의 과도한 유기산을 제거하고,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적 특성에 대한 전기투석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착즙주스의 100분 전기투석 결과 총 산도는 3.15(8월), 1.62(9월), 1.45%(10월)에서 2.37(8월), 0.86(9월), 0.74%(10월)로 감소하였으며, $^{\circ}Brix$도 약간 감소하였으나 결과적으로 당산비는 각각 9.4%, 59.7%, 70.6% 증가하였다. 그러나 pH, 환원당 및 색도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착즙액의 유리당은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유기산 함량은 상당히 감소하였다. Flavonoids인 narirutin, hesperidin의 함량도 전기투석에 의해 약간 감소하였지만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측정된 이온성분 중$K^+,\;PO_4\;^{2-},\;SO_4\;^{2-},\;Cl^-$의 함량은 전기투석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K^+$이 60% 이상으로 감소율이 가장 컸다. 그러나 $Na^+$함량만은 2.5-3.5배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전자공여 작용은 전기투석에 의해 각각 감소하였으나, 아질산염 소거효과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미숙감귤착즙원액과 100분 전기투석한 미숙감귤착즙액을 가지고 색, 향, 맛,종합적기호도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100분 전기투석한 미숙감귤착즙액이 종합적 기호도가 더 좋은 것 으로 조사되었고, 100분 전기투석한 미숙감귤착즙액을 가지고 $12^{\circ}Brix$로 가당을 한 후 기호성을 조사한 결과 산 함량이 적당한 9월 미숙감귤착즙액이 가장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숙아 어머니의 출산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스트레스 양상의 변화 (The Change of the Mother's Stress Pattern with Time Elapse after Giving Birth to Premature Babies)

  • 민혜숙;손민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265-1276
    • /
    • 2004
  • Purpose: This study tries to explore mothers' stress patterns and the related factors influencing mothers' stress over time after giving birth to premature babies. Method: Eighty four mothers who had given birth to premature babies were selected from Hospitals in B city.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that the mothers' stress level. Result: The mothers' stress after giving birth to premature babies gradually diminished and the stress pattern of mothers changed over time. Mother's age, occupation, income level, gestational period of the measures baby, weight at birth, nutrition type, lactation mode, number of complications, and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an operation were analyzed as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mother's stress. Conclusion: The stress pattern of mothers giving birth to premature babies changed overtime.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reduce the stress of premature baby's mothers with time elapse.

네오레게리아 기내배양시 변이발생과 기외 생육 (Variation of the Regenerated Plantlets from in Vitro Culture of Neoregeria carorinae 'Tricolor' and in Vivo Growth of Regenerated Plantlets)

  • 정향영;한봉희;신학기;김의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73-276
    • /
    • 1995
  • 네오레게리아(Neoregeria carorinae 'Tricolor')의 기내배양시 무늬소실을 줄일 수 있는 재료의 채취시기와 발근을 위하여 기내에서 처리된 오옥신이 온실에 이식된 식물체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 화아분화 4주후(III단계)에 미숙화기를 배양한 것이 분화된 식물체 중 정상 식물체가 67%로 가장 많았고, 화아분화 직후 및 화아분화 5주후에 배양한 것은 모두 반입이 소실되었다. 미숙화기와 액아를 배양하여 나온 식물체중 정상식물체 획득율은 미숙화기 배양에서는 67%, 액아배양에서는 56.2%였다. 미숙화기를 배양하여 얻은 식물체가 액아를 배양하여 얻은 식물체보다 온실재배에서 생육이 월등이 좋았고, 개화율도 미숙화기를 배양하여 얻은 식물체는 27.8%이었으나 액아를 배양하여 얻은 식물체는 전혀 개화하지 않았다. IBA 0.5 mg/L가 첨가된 배지에서 발근시킨 식물체의 기외생육이 왕성하였으며, 기내에서 처리한 오옥신 종류와 농도는 온실에서 재배되고 있는 식물체의 변이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 PDF

뇌실 주위 백질연화증이 있는 간질 환아에서 조산 및 만삭 출산군 간의 간질 발작 유형의 비교 (Comparison of Epileptic Seizures between Preterm and Term-born Epileptic Children with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 정희정;이은실;문한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1호
    • /
    • pp.1225-1231
    • /
    • 2005
  • 목 적 : 뇌실 주위 백질연화증(periventricular leukomalacia)은 동맥혈의 허혈로 인하여 뇌실 주변에 백질 괴사가 초래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미숙아와 만삭아 모두에서 관찰될 수 있으며 간질 발생의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뇌실 주위 백질연화증이 관찰된 간질 환아에서 재태 연령에 따라 간질 발작의 임상적인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 뇌 자기공명영상으로 뇌실 주변부에 T2 강조 영상으로 고신호강도의 병변이 관찰된 108례(미숙아군 79례, 만삭아군 29례) 중 2회 이상의 간질 발작을 보이고 6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37례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를 다시 재태 기간이 37주 미만의 미숙아군(27례)과 37주 이상의 만삭아군(10례)으로 나누어 두 군을 비교하였다. 각각의 증례별 병력 기록지를 조사하여 두 군간의 간질 발작의 초발 연령, 첫 간질 발작의 유형, 뇌파 소견 및 항경련제에 대한 치료 반응을 비교하는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결 과 : 첫 간질 발작은 미숙아군의 경우 평균 $22.2{\pm}18.3$개월, 만삭아군의 경우에는 평균 $26.9{\pm}21.1$개월에서 시작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05). 첫 간질 발작의 유형으로는 미숙아군의 경우 영아 연축이 11례(40.7%), 단순 또는 복잡 부분 발작이 7례(25.9%), 이차성 전범화의 부분 발작이 6례(22.2%), 그리고 전신성 발작이 3례의 순으로 많았다. 만삭아군에서는 단순 또는 복잡 부분 발작이 7례(70.0%), 전신성 발작이 2례(20.0%) 그리고 지발형 영아 연축이 1례(10.0%)의 순으로 많았다. 뇌파 소견으로 미숙아군에서 고부정 뇌파가 11례(40.7%), 국소성 간질파가 6례(22.2%), 다초점성 간질파가 4례(14.8%)의 순으로 많았고, 만삭아군에서는 국소성 간질파가 5례(50.0%)였으며 3례(30.0%)에서 간질파가 관찰되지 않았다. 항경련제에 대한 반응은 추적 관찰 기간 동안 간질 발작의 재발을 보이지 않았던 경우가 미숙아군은 27례 중 16례(59.3%), 만삭아군의 경우 10례 중 6례(60.0%)였으며 난치성 간질은 미숙아군에서 6례(22.2%)가 있었으나 만삭아군에서는 1례도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뇌실 주위 백질연화증을 가진 간질 환아에서 영아 연축과 같은 중증 간질은 미숙아군에서 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난치성 간질은 미숙아군에서만 관찰되어 만삭아군과 임상적으로 간질 발작의 유형이나 치료에 대한 반응 등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뇌실 주위 백질연화증의 정도나 발생 기전에 대해 두 군간의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두 군간의 간질 발작의 임상적 차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2009년 한국 시도별 미숙아, 저체중출생아의 빈도 및 신생아중환자실의 현황 (Regional Analysis on the Incidence of Preterm and Low Birth Weight Infant and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in Korea, 2009)

  • 강병호;정경아;한원호;심계식;장지영;배종우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70-75
    • /
    • 2011
  • 목적: 한국에서는 최근 저 출산율의 지속과 더불어 미숙아 및 저체중출생아의 출생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신생아중환자실의 병상수가 부족한 상태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09년 국가통계포털의 통계청 자료에 의거한 총 출생아 수, 미숙아, 저출생체중아 수 NICU 등록 병상 수를 행정지역별로 검토하여 보다 나은 NICU 운영 및 미숙아 신생아의 생존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통계포탈에 공개된 2009년도 인구통계 중 미숙아수, LBWI, 출생통계부분, 총 출생 수, 미숙아 수, LBWI 수, VLBWI 수를 얻었고, 전국 및 지역별 NICU 병상 수의 자료는 한국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획득하였다. 한국의 행정구역 지역별, 미숙아 수, LBWI 수, VLBWI수에 따른 병상수의 비와 각 평균에 대한 부족 지역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2009년 전체 출생 수 444,849명 중 미숙아 25,374명(5.7%), LBWI 21,954명(4.9%) 이었으며 미숙아나 LBWI 의 빈도가 평균보다 높은 지역은 부산, 인천, 광주였다. 2009년 NICU 총 병상 수는 1,284병상 이었으며 1병상 당 미숙아나 LBWI의 비율이 평균보다 높은 지역은 인천, 대구, 울산 이었다. 2009년 조사된 NICU 병상보유율은 87.5% (1,284/1,486)로 2005년보다는 증가하였으나 12.5%인 184병상이 여전히 부족하다. 특히 경기도는 159병상이 부족하였다. 결론: 신생아는 환자의 특성상 출생 후 이동의 어려움이 있어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처치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전국적으로 균형 잡힌 NICU의 지역화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를 통해 NICU의 현황 및 시도별 단위에 대한 부족 병상 수에 대한 기본 자료를 제시하는 바이다.

베일리영유아발달검사 제3판(Bayley-III)의 미국 규준 적용의 문제: 미숙아 집단을 대상으로 (The Clinical Utility of Korean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III - Focusing on using of the US norm -)

  • 임유진;방희정;이순행
    • 한국심리학회지ㆍ일반
    • /
    • 제36권1호
    • /
    • pp.81-107
    • /
    • 2017
  • 베일리영유아발달검사 제3판(Bayley-III)의 미국 규준이 영유아의 발달수행을 과대추정하고 발달지연율을 과소추정 한다는 논란이 있어서, 본 연구는 발달지연의 고위험군인 미숙아를 대상으로 미국 규준 적용시 Bayley-III의 임상적 유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생후 1개월부터 24개월(교정원령)의 미숙아(재태기간 37주 미만)와 만삭아 93명을 대상으로 Bayley-III와 한국형베일리영유아발달검사 2판(K-BSID-II)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숙아/만삭아 각 93명을 대상으로 혼합설계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재태기간(경증미숙아, 중증미숙아, 극중증미숙아, 만삭아)에 따른 Bayley-III의 발달지수 및 척도점수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경증미숙아 집단 내에서는 발달영역(인지, 언어, 운동)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둘째, Bayley-III와 K-BSID-II을 모두 실시한 미숙아(n=79)를 대상으로 환산점수 평균 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Bayley-III의 발달지수는 K-BSID-II의 발달지수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달지연률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ROC 분석을 통해 발달지연 변별에 대한 Bayley-III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분석하고 Bayley-III의 임상적 절단점을 탐색한 결과, Bayley-III의 하위 척도 모두 우수한 수준의 변별정확도를 나타냈으나, 미국 규준 적용시 절단점은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국 규준을 사용하여 Bayley-III를 임상 현장에 적용할 때 점수 해석의 주의를 알리는 실증적인 자료로서, 한국 규준 마련시 표집 문제와 관련된 논의를 제공하였다.

한국인의 영어 어두 유성파열음의 습득과 후속모음 높이와의 관계 (Acquisition of English Voiced Stop in Word Initial Position: Correlation with Vowel Height)

  • 윤수연;서민경;송윤경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9권 1호
    • /
    • pp.321-324
    • /
    • 2000
  • 한국어는 어두에서 유성파열음이 나타나지 않고 약한 기식이 있는 연자음으로 실현되므로 영어의 유성파열음을 발음하기 어렵다. 한국인이 어두 유성파열음을 습득할 때 후속하는 모음의 높이가 영향을 미치리라 가정하고 /이, 에, 어, 우/ 4개의 모음을 선택하여 어두유성파열음 의 VOT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단독단어와 문장에서 살펴보았다. native, 숙련자, 미숙련자의 세 그룹으로 나누어 실시한 결과 native의 경우 후속하는 모음이 어두파열음의 VOT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숙련자 그룹에서도 지켜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미숙련자 그룹인 경우 고모음이 저모음에서보다 VOT가 현저하게 길었고 통계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고모음에서 유성발음을 잘 못함을 알 수 있었다. native와 숙련자 그룹은 intermediate phrase(이하 iP) initial인 단어나 iP medial인 문장에서 VOT가 거의 유사한데 비해 미숙련자 그룹에서는 문장 내에서 VOT가 조금씩 짧아졌고 이 경향은 고모음에서 두드러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PDF

미숙아에서 시행된 동맥관 개존증 결찰술 10례에 대한 고찰 (Surgical Experiences of Ten Cases of Patent Ductus Arteriosus Ligation in Premature Infants)

  • 우건화;이홍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2호
    • /
    • pp.153-156
    • /
    • 1996
  • 최근 3년 6개월동안, 재태 연령 37주 미만의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 환아 10명에서 생후 평균 30일경 결찰술을 시행하여, 수술시 사망은 없었으며, 수술후 2개월간의 수술과 관계없는 만기 사망 1례를 제외한 나머지 9례 모두에서 2∼26개월의 추적관찰기간동안 양호한 경과를 보였기에, 중증의 증세를 보이는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에 있어서 수술적 결찰술이 가장 근치적이고 유용한 치료법으로 생각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