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세 이물질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4초

미세 이물질이 혼입된 볼베어링의 고장 진단을 위한 정량화 열화상에 관한 비파괴평가 연구 (Quantitative NDE Thermography for Fault Diagnosis of Ball Bearings with Micro-Foreign Substances)

  • 홍동표;김원태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05-310
    • /
    • 2014
  • 본 고에서는 미세 이물질이 삽입된 볼베어링에 대하여 비파괴평가를 제안하였다. 비파괴평가 연구로서 동적인 하중조건하 회전체의 동작에 따른 고장 진단을 위해 비접촉식 정량화된 적외선 열화상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로부터 볼베어링에 대한 적정 체결조건을 설정하였고 고장 상태감시에 대한 수동형 열화상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적외선 열화상 시험은 조기의 결함 진단을 평가하기 위해 정상 및 이물질이 삽입된 시편들로부터의 온도 프로파일링을 비교, 분석되었다. 연구의 비파괴검사 평가의 결과로써, 고장에 이르는 이상단계에 따른 볼베어링의 온도 특성이 정량적으로 분석되었다.

Multi-scale CAM을 이용한 X-ray 이물질 분류 신경망 성능 향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X-ray Foreign Matter Classification Neural Networks Using Multi-scale CAM)

  • 이성주;조남익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07-310
    • /
    • 2021
  • X-ray 영상 검사·검출 문제에 기존 딥러닝 모델을 사용하려는 시도들이 존재해왔고, 합성곱 신경망의 강력한 표현력 덕분에 대체로 준수한 성능이 보장되었다. 그러나 문제의 특성에 따라 기대한 만큼의 분류 및 검출 성능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는 1) 검출 대상의 스케일이 다양하거나, 2) X-ray 영상은 흑백 영상으로 미세한 특징을 학습하기 어렵거나, 3) 지도학습을 하기에는 학습 데이터의 양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이 주요 원인들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스케일의 특징맵을 추출하여 종합적으로 학습하는 신경망을 통해, '생선살 X-ray 영상' 데이터셋에서 '생선 가시' 이물질 class가 모델 내에서 어떻게 학습되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X-ray 영상의 경우, 이물질 class를 크기별로 새롭게 labeling하여 성능 개선이 일어날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Multi-scale CAM을 통해 class에 따른 활성화 정도를 시각화하여 모델을 직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 PDF

공기 청정 기능을 가진 산업용 로봇청소기 (Industrial Robot Vacuum Clean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 박차훈;이지후;이건형;윤태현;장우성;이학범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437-438
    • /
    • 2022
  • 현재 산업현장은 작업한 인부들이 작업을 마치고 청소하는 식으로 현장의 청결을 유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현장의 청결을 보다 깨끗하고 안전하게 유지하여 안전사고 발생의 요인이 되는 것을 제거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현재 상용화 되고 있는 로봇청소기와 아두이노를 이용한 센서를 적용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기존의 로봇청소기에 미세먼지 센서와 유해가스 센서를 탑재하여 산업현장의 환경을 감지하도록 한다. 산업 현장의 미세먼지 농도가 일정 수치 이상이면, 로봇청소기를 작동하도록 한다. 로봇청소기에 공기청정기와 전자석을 추가하여 산업현장의 공기를 쾌적하게 조성하며, 미세 금속 이물질을 처리하는 기능을 탑재하여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보다 쉽게 처리하도록 한다. 유해가스 농도가 일정 수치 이상이면, 부저를 통해 경보를 울려 산업현장 내부에 유해가스가 유출되고 있다고 알려준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센서의 값을 확인하여 DC모터, 공기청정기, 전자석 등을 수동조작해 청소되지 않은 부분을 청소하도록 할 수 있다.

  • PDF

신문지 재활용 공정의 일차 점착성 이물질 실시간 정략을 위한 새로운 방법

  • 김동호;류정용;김용환;송봉근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6-48
    • /
    • 2002
  • 본 연구는 신문지 고지의 점착성 이물질 중 Primary Stickies의 정 량에 관한 것으로 서, 실제 신문지료를 화상분석하여 실시간으로 매크로크기의 점착성 이물질올 측정할 때 효율적인 측정조건을 탐색하여 제지공정의 l 현장에서 일차 점착성 이물질을 정량 하는 새로운 측정기의 측정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물질이란 제지공정에 의도적으로 첨가되지 않은 불질의 총칭으로 dirt 및 각종 점착 성 이물질 즉, stickies를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스틱키{stickies}란 부드럽고, 점착성을 나타내는 이물질의 총청으로 주로 점착제와 확스에 의해 형성된다. 스틱키는 고지 재활 용의 효율성을 가장 크게 저해하는 이물질로 와이어, 펠트 및 기타 공정요소에 부착되 어 초지 시 지절을 발생시킴으로써 생산성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외관상 상품가치와 인쇄적성올 저하시키며, 최종 제품의 강도적 물성 및 가공적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 히 국내에서는 원가절감을 위해 고지의 재활용율올 증대시키고자 전력을 다하고 있으 며 환경보호 및 용수 절감올 위해 공정수를 절감하고 궁극적으로는 무방류화를 목표로 하고 있어 토지 계 내의 점착성 이물질의 투입과 농축 현상이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초지공정에서 발생하는 스틱키 즉 점착성 이물질은 미세한 스크린의 슬롯 폭인 0.15 - -0.3mm 이상의 크기를 가져 스크린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매크로 스틱키{macro s stickies}와 이보다 작은 마이크로 스틱키(micro stickies)로 크게 분류된다. 즉 매크로 스틱키는 스크린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나 마이크로 스틱키는 스크린을 통하여 기계적 으로 분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스틱키는 또 거동 특성에 따라 primary s stickies와 secondary stickies로 구분할 수 있다. primary stickies는 펄핑과정에서 점착 성 이물질이 파괴됨에 따라 나타나지만, secondary stickies는 지류 제지공정의 백수에 용해 되거나 분산된 상태인 1때1 이하의 콜로이 드로 폰재 한다. 이 러 한 secondary stickies 는 pH, 온도의 변화나 각종의 첨가제에 의해 웅집이나 홉착 등을 발생할 수 있는 잠재 적 문제점 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양성 고분자의 첨가는 펄프 섬유를 웅집시킬 뿐 아니라 지료에 함유된 secondary dtickies의 안정성을 저하시켜 응집, 침적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분리가 어렵고, 제지공정에서 문제를 일으키기 쉬운 2차 스퇴키를 적절히 제어하기 위한 기술 개발은 용수절감 뿐 아니라, 초지공정의 침적물 절감을 통 한 공정개선에도 매우 중요한 요소기술이라 할 수 있다.

  • PDF

천연가스 공급기지내 가스필터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on improvement of efficiency of gas filter at the natural gas valve station)

  • 조용범;전경수;허재영;유경훈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7-52
    • /
    • 1998
  • 천연가스 공급배관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한국가스공사에서는 현재 250um 공극 크기를 갖는 금속 스트레이너형의 필터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배관내의 이물질 크기를 조사한 결과 필터 공극 크기보다 작은 이물질이 상당량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따라서 이들 이물질로 인하여 필터 후단부의 각종 밸브류나 계 량 측정 기기들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미세한 크기의 이물질들을 없애기 위해서는 필터의 공극 크기를 줄여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필터 전, 후단의 차압발생으로 인하여 원하는 유량의 가스를 공급하기 어려운 일이 생길 수 있으므로 차압발생을 신중히 고려하여 필터 공극 크기를 결정하여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손실계수 K를 이용하여 가스필터의 성능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RGP Contact Lens 표면 미세구조에 대한 사용 효과의 연구 (A Study of the Effects of Use upon RGP Contact Lens Surface Ultrastructure)

  • 김덕훈;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1-7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한 RGP 콘택트렌즈의 표면 미세구조의 분석을 한 것이다. 조사를 위해 RGP콘택트렌즈는 피검자에 의해 1개월, 6개월 그리고 1년 사용한 것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RGP 콘택트렌즈의 전후 표면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RGP 콘택트렌즈 사용 1개월 후 전면과 후면의 표면은 선명하고 깨끗하였다. 2. 6개월 사용 렌즈의 전방 표면은 심한 반흔, 상처 자국, 파손 그리고 긁힘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후방 표면은 심한 이물질과 미생물 등이 나타났다. 3. 1년 사용렌즈는 좀더 심한 큰 반흔 손상과 많은 이물질들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RGP 콘택트렌즈의 연장착용은 렌즈표면의 미세구조의 증가된 물리적인 손상과 심한 이물질의 누적을 나타내었다.

  • PDF

살균제 제형에 따른 포도의 과분 변화 (Change of Epicuticular Waxes by Formulation of Fungicides in 'Campbell Early' Grapes)

  • 신경희;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762-767
    • /
    • 2010
  • 본 연구는 병해충 방제에 사용되는 살균제의 제형이 포도 '캠벨얼리' 과분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무봉지 재배와 봉지 재배로 나누어 각각 수화제, 액상수화제, 유제를 만개 후 15일과 변색기(만개 후 48일)에 살포 후 수확기에 외관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변색기의 수화제와 액상수화제 처리에서 만개 후 15일보다 흰색의 약제 흔적이 두드러지게 관찰되었으며, 수화제, 액상수화제, 유제의 순으로 약제의 흔적이 발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과분의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세 가지의 제형 모두 과분의 미세구조를 손상시켰으며, 수화제와 액상수화제의 경우 이물질이 관찰되었으며, 유제 처리구는 과분의 미세구조가 녹은 것처럼 관찰되었다. 또한 무봉지 재배 시에는 육안상으로 약제의 흔적뿐만 아니라 많은 이물질이 과립상에 같이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봉지 재배 시에는 약제의 흔적만 관찰되었다.

이미지 정합을 이용한 COG 불량 검출 (The Faulty Detection of COG Using Image Registration)

  • 주기세;정종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08-314
    • /
    • 2006
  • 수 마이크로 단위로 계측되는 반도체 COG의 검사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라인스캔 카메라가 이용된다. 여러 가지 불량 요인 중 이물질 검출은 COG 패턴이 미세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불량 자동 검사 단계에서 가장 어려운 기술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매칭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2단계 영역분할 템플릿 매칭 방법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수 마이크로 단위의 이물짙 검출을 위하여 그라디언트 마스크와 AND 연산을 이용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2단계 템플릿 매칭을 사용한 방법은 기존의 상관 계수 이용법 에 비해 0.3-0.4초 매칭 속도를 향상시켰다. 그리고 제안된 마스크 적용 이물질 검출방법은 기존 마스크를 이용하지 않은 방법에 비해 불량 검출률을 $5-8\%$ 향상시켰다.

쌀의 청결 가공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clean-milling system for rice)

  • 최희석;정성근;박회만;홍성기;금동혁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9-214
    • /
    • 2002
  •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쌀의 표면에는 육안으로 잘 보이지는 않지만 가공과정에서 발생된 미세 쌀겨나 이물질이 다소간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로 인해 저장성 저하를 초래하고, 또 소비자가 밥을 짓기 위해서는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물론 미곡가공시설들이 깨끗한 쌀을 공급한다는 취지에서 연미기를 통과한 것을 청결미라는 브랜드로 보급하고 있지만, 이 쌀들이 과연 어느 정도의 청결도를 갖는지에 대해서는 생각해볼 여지가 많다. (중략)

  • PDF

ESD와 점착 롤 제진을 이용한 LGP 건식 세정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LGP Dry Cleaning Equipment using ESD and Adhesive Roll)

  • 구자일;전성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8호
    • /
    • pp.195-20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도광판(LGP, Light Guide Panel)의 미세먼지 세정을 위해 건식 점착롤 제진과 코로나 대전을 이용한 제전(ESD, electrostatic discharge) 방식을 적용한 건식 세정 장치를 개발한다. 이를 위해 점착롤 제진과 제전 방식을 혼합 적용할 수 있는 세정 메커니즘을 설계하고, LGP를 자동으로 로딩/언로딩 및 이송할 수 있는 장치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그리고 이물질 및 미세먼지 세정 실험을 통해 개발된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