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생물활성

검색결과 3,250건 처리시간 0.025초

테트라싸이클린 및 테트라싸이클린-구연산 혼합젤로 처리한 치근면의 항 미생물 활성 변화에 관한 연구;In Vivo Study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oot Surfaces Treated with Tetracycline-containing gel and a Mixture of tetracycline and citric acid-containing gel;in vivo study)

  • 정희선;한수부;남석우;심창구;계승범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7권1호
    • /
    • pp.79-9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ubstantivity of experimentally developed gel type tetracycline HCl and a mixture of tetracycline-citric acid gel, and compare to those of solution type tetracycline HCl. 11 extracted anterior teeth were subjected to this study. After scaling and root planing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treatments groups : group 1; 3 teeth were irrigated with tetracycline HCl(50mg/ml) solution , group 2; tetracycline gel (5%) was inserted in the periodontal pockets of 3 teeth, group 3; a mixture of tetracycline and citric acid gel was inserted in the pockets of 3 teeth. And 2 teeth treated in 0.9 % sterile saline served as controls. After 5-minute exposure, each tooth immediately extracted and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for 22 days in tris-buffered saline as a desorption media. The total volume of TBS was removed and replaced with fresh TBS, at 24-h intervals. Removed desorption media transferred to a sterile vial and stored at -70 oC. This procedure was repeated every 24 h throughout the 22-day desorption period. Using Porphyromonas gingivalis as an indicator organism, a microtiter assay was used to evaluate antimicrobial activity desorbed from the teeth. 1. 50mg/ml tetracycline HCl solution exhibited the l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Compared to saline treated group,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day 1 and day 2 desorption period. 2. The ODs of 5% tetracycline gel and a mixture of tetracycline-citric acid ge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uring the first 24 hour only.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he day 3 between the groups.(p<0.05). Despite our expectation a mixture of tetracycline-citric acid gel did not show longer antimicrobial activities than those of tetracycline gel, and the solution type exhibited the longest activities. Because the gel type agents may stay in the subgingival environment longer than the solution, if the teeth were not extracted immediately after the delivery of the agent, the result could be different. hus this result suggests the possibilities of practical use of these kind of gel type agents.

  • PDF

박피 유무에 따른 전처리 연근의 이화학적 특성 (Effect of Peeled Lotus Root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 황동주;강은정;김진숙;김경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93-801
    • /
    • 2014
  • 본 연구는 혈관벽 강화,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위벽보호, 해독작용, 치매예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연근을 식품소재로써 활용하고자 가공 전처리한 연근의 성분을 분석하고, 분말 이용성을 조사하였다. 박피 여부에 따른 연근분말의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한 결과, 박피하지 않는 연근이 이화학적 성분 항목에서 박피한 연근보다 함량이 높았다. 색도의 경우, 박피하지 않는 연근의 밝기와 황색도는 감소하였으나, 적색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무기질 함량은 박피하지 않은 연근분말에서 마그네슘, 칼슘, 철, 나트륨이 더 높게 검출되었고, 박피한 연근분말은 칼륨이 더 높게 검출되었다. 박피하지 않은 연근분말의 경우, linolenic acid와 behenic acid 함량이 박피한 연근보다 높았다. 유리당 함유량은 박피하지 않은 연근분말의 총 유리당 함량이 더 높게 검출되었는데, 이는 fructose, sucrose 및 maltose의 경우에 차이가 있었고, glucose는 함량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산 함유량은 박피로 인해 전체 함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유리 아미노산 함유량에서도 필수, 비필수 아미노산 모두 박피한 연근이 더 높게 검출되었다. 하지만 박피하는데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고, 박피 시 연근의 조직 손상이 많으며, 미생물의 오염에 노출되어 있고, 껍질에 다량의 영양 성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박피하지 않은 연근이 맛에 관련된 품질요소 및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것이라 사료되어 추후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산란 성계육과 기계발골 계육으로 제조된 냉동 떡갈비의 품질에 미치는 진공포장 효과 (Effects of Vacuum Packaging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Tteokgalbi Made from Spent Laying Hen Meat and Mechanically Deboned Chicken Meat)

  • 송기창;김형준;이근택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7-2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냉동 산란 성계육을 이용하여 떡갈비를 제조함에 있어서, MDCM의 다양한 첨가 수준에 따른 품질 특성 차이와 함기 및 진공포장으로 포장형태를 달리하여 3개월 간 냉동저장($-18^{\circ}C$)하는 과정 중 제품의 품질 변화를 파악하였다. 기계골발 계육을 20% 첨가 시 품질적으로 대조구와 뚜렷한 차이가 없는 떡갈비 제품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냉동 상태에서는 미생물과 효소의 활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부패 및 산화적 대사에 의한 떡갈비 제품의 품질 저하가 크지 않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계적으로 압착 및 골발육이 포함된 산란 성계육 떡갈비 제품의 경우에는 3개월이상 장기 냉동 저장시 단백질 분해 및 조직감과 관능학적 품질 등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진공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용매별 후발효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from Korean Fermented Tea)

  • 손미예;김성희;남상해;조영숙;박석규;성낙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44-549
    • /
    • 2004
  • 자연 유래의 미생물 효소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후발효차의 주요성분과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후발효차의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 함량에서 각각 ethanol 추출물($481.4\;{\mu}g/g$, 33.5 g/100g)이 가장 높았으나, 1년 저장한 시료에서는 ethyl acetate 추출물($495.2\;{\mu}g/g$, 39.5 g/100g)이 다른 모든 추출물보다 가장 높았다. 후발효차의 catechin류는 EGC, GC, catechin, catechol 및 EGCG가 검출되었으며, 열수 추출물에서는 EGCG가 검출되지 않았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모든 추출물에서 그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증가하였는데, 저장하지 않은 후발효차와 1년간 저장한 것의 ethanol 추출물에서는 각각 $72.4\%$$80.9\%$였다. 금속 화합물 형성에 대한 환원력의 효과는 에탄올 추출물 $500\;{\mu}g/mL$에서 0.78과 0.88(1년 저장)의 환원력을 나타났고, ${\beta}$-carotene-linoleate system에서 ethyl acetate 추출물 $3000\;{\mu}g/mL$의 항산화능은 $86.6\%$$73.7\%$(1년 저장)를 나타내었다.

내냉성미생물인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에 의한 gouda cheese의 지방의 변화 (Changes in Fat in Gouda Cheese by the Psychrotrophic Bacterium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

  • 신용국;오남수;이현아;남명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4-179
    • /
    • 2015
  • 본 연구는 내냉성 미생물이 Gouda cheese의 지방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지방분해 효소 활성이 가장 높은 내냉성미생물인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을 원유에 접종하여 3일과 6일 냉장 보관 후 제조한 Gouda cheese는 숙성 6주 경과후 총고형분과 지방 성분은 대조군에 비해 각각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접종 3일후 원유로 제조한 Gouda cheese는 대조군에 비해 SCFFA는 1.35배, MCFFA는 1.42배, LCFFA는 1.44배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또한 총유리지방산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1.68배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접종 6일 후 원유로 제조한 Gouda cheese는 대조군에 비해 SCFFA는 1.45배, MCFFA는 1.28배, LCFFA는 1.38배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또한 총유리지방산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1.34배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내냉성미생물이 생산하는 지방분해효소에 의해 얻어진 지나친 유리지방산은 이취를 유발할 수 있어, 유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독립영양 방식으로 퍼클로레이트를 분해하는 농화배양 내 고세균 군집 분석 (Analysis of Archaeal Community in Autotrophic Perchlorate-degrading Enrichment Culture)

  • 김영화;도상현;소현승;빈준원;성해찬;지성찬;손명화;안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35-441
    • /
    • 2017
  • 퍼클로레이트($ClO_4^-$)는 토양, 지하수, 그리고 지표수의 신규 오염물질이다. 원소 황을 전자공여체로 이용하여 퍼클로레이트를 분해하는 농화배양에 존재하는 세균 군집에 대한 정보는 이전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 및 정성적인 분자기법으로 이 농화배양 내 고세균 군집을 조사하였다. 농화배양 내의 16S rRNA 유전자 copy수를 실시간 정량 PCR로 조사한 결과 고세균의 이 유전자 copy수는 세균의 1.5%를 나타냈다. 그래서 이 농화배양 환경에서 적응하는 고세균의 수가 적어 세균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GGE 밴드패턴을 통해 농화배양과 식종균으로 이용한 활성슬러지의 고세균 군집조성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농화배양의 가장 우세한 DGGE 밴드는 Methanococci와 연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 우점 고세균 개체군의 대사적 역할이 규명되면 퍼클로레이트를 제거하는 농화배양 내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Bifidobacteria의 allergy 면역 조절과 synergism (Allergy Immunity Regulation and Synergism of Bifidobacteria)

  • 조광근;최인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82-499
    • /
    • 2017
  • Allergy 질환은 지난 십여년 동안 개발도상국을 포함해서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Allergy 염증 반응은 수지상 세포와 같은 항원제시 세포에 의한 allergy 항원섭취를 시작으로 하여 Th2 면역 반응에 의해서 일어난다. 장내 미생물은 신체의 대사나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고, 생애 초기의 면역 체계 성숙과 일생 동안 면역 체계 항상성 및 상피세포 총체성에 기여한다. Bifidobacteria는 Th1/Th2 balance에 strain-specific 한 면역 자극 특성을 가지며, TSLP와 IgE 발현을 억제 시키고 Flg과 FoxP3 발현을 촉진 시켜 allergy를 완화시킨다. 또한 Unmethylated CpG motif ODN은 B 세포와 수지상 세포의 TLR9에 의해 인식 되어 선천성과 적응성 면역 반응을 유도하고, Clostridium butyricum에 의해서 생산된 butyrate는 수지상 세포의 anti-inflammatory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기 위해 GPR109a signaling pathway를 활성화시키고, GPR43 활성화를 통하여 tTreg 세포 proliferation을 직접 자극하거나 HADC 활성을 억제시켜 Foxp3 gene intronic enhancer의 histone H3 acetylation을 통해 naive $CD4^+$ T 세포를 pTreg 세포로 분화시킨다.

마늘 중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알린의 분리 및 정량과 Alliin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효과에 관한 연구 (Isolation of Alliin in Garlic and Its Quantitative Determination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Efforts of Alliin and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Garlic(Alliium sativum L.))

  • 위성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6-302
    • /
    • 2003
  • 본 연구는 마늘속에 alliin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함량을 알고 이들이 에탄올추출물에 향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했다. HPLC를 이용하기 위하여 메탄올로 Alliin을 추출하고 유해세균에 대한 향균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Alliin을 에탄을 추출물 시료를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마늘에는 alliin의 함량은 0.34 ∼0.73% fresh weight를 나타내고 에탄을 추출물의 시료에서 동결건조 시료수율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효소적 분해가 최소화되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탄을 추출물의 향균효과는 Table 3에서 각 균주에 대하여 억제효과는 각 균주에서 50∼80% 효과를 보았고, 각종 균에 대한 억제차원에서 향균성을 달리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유해세균에 대한 향균작용이 마늘 추출물은 미생물의 발육저지력이 강하고 지속적으로 인체에 무해하므로 보존료 개발이 바람직함을 알았고, 독특한 향미를 주는 황화합물이 많아 산도의 증가와 관계없이 항균력이 강함을 보았고, 각종 균에 대한 항균성을 달리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마늘성분중 선택적인 항균물질의 개발이 요구됨을 알았다.

제과공장 폐수의 화학적 응집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Chemical Coagulation for Wastewater Treatment in a Confectionery Factory)

  • 금승해;장규섭;송경빈;안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18-323
    • /
    • 1995
  • 제과회사 폐수처리의 화학적 응집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미처리 폐수의 $COD_{Mn}$과 총 고형분은 각각 $200{\sim}820ppm$$860{\sim}1360ppm$이었다. 폐수의 총 고형물의 성분은 당 40%, 단백질 10%, hexane-soluble 20%, 회분 30%였다. 650 nm에서의 turbidity와 suspended solid(SS)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므로, turbidity는 폐수의 on-line 측정도구로 사용할 수 있었다. 여러 응집제 중에서 $COD_{Mn}$과 SS 제거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Al_2(SO_4)_3:Ca(OH)_2$의 조합 사용이었다. 최적의 $Al_2(SO_4)_3:Ca(OH)_2$ 농도는 480 ppm : 200 ppm이었다. 최적의 폐수처리 시간은$(Al_2(SO_4)_3$ 첨가 : $Ca(OH)_2$ 첨가 : 응집 숙성) 2 : 2 : 10분이었다. 이러 번의 $Al_2(SO_4)_3:Ca(OH)_2$ 처리공정은 gelatin과 계면활성제의 응집저해 현상을 극복할 수 있었으며, 미생물 슬러지의 첨가는 이 응집저해 물질들 제거에 도움이 되었다.

  • PDF

고추냉이 수용성 추출물의 나노 입자화를 통한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Nano-Encapsulated Horseradish Aqueous Extract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 서용창;최운용;김지선;조윤윤;이춘근;안주희;신일식;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89-397
    • /
    • 2010
  • This work was to improv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horseradish by encapsulated with edible biopolymers such as lecithin and gelatin since it has been difficult to directly use horseradish extracts into foods and food containers due to its strong and undesirable flavors. It was shown that most of the nanoparticles containing the extracts were well formed in round shape with below 400 nm diameter as well as fairly stable and less odd flavors in various pH ranges by measuring zeta potentials. The encapsulation efficiencies of nanoparticles were estimated as 66.6% and 53.4% for lecithin and gelatin, respectively.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both nanoparticles against G(+), Listeria monocytogenes and G(-), Salmonella typhimurium were also measured as 79 ppm based on AIT concentrations in the extracts, whose activities were about 65% higher than the case of adding crude extract. It was also found that the nanoparticles efficiently penetrated into the cell membrane and started to destruct the cells after 6 hours cultivation under Transmision Electron Microscopy observation. These results prove that the nano-encapsulation of the horseradish extracts can be employed to directly treat into the foods and food containers for antimicrobial purposes with the aids of aerosolization system, by using small amounts of the extracts and having less flavors due to masking effects of nanop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