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디어 이용 시간

Search Result 1,76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미디어 대체에 관한 연구: 전통적 미디어에 대한 인터넷 이용의 영향을 중심으로

  • Kim, Jin-Yeong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24
    • /
    • pp.37-67
    • /
    • 2004
  • 본 연구는 인터넷 이용수준이 전통적 미디어의 이용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수용지들의 미디어 소비 패턴에 대해 살펴보았다. 미디어 대체이론, 이용과 충족이론,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를 바탕으로 인터넷 이용이 전통적 미디어의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개인들의 정보와 오락 미디어 레퍼토리, 인터넷 레퍼토리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심리/태도적 변인과 인구통계학적 특징 등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있는 18세 이상 성인들을 대상으로 성별, 나이별, 지역별 층화표집방법을 이용해 표본을 추출하고 500개의 유효 서베이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데이터의 분석결과, 인터넷 이용정도가 다른 매체에 미치는 영향은 각 미디어별로 세 가지 다른 양상을-상호보완적 영향, 대체 치환의 영향, 그리고 영향을 받지 않음-보였으나 대체로 인터넷은 다른 미디어의 대체 미디어라기보다는 보완적인 매체로 현재 이용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 전반적인 미디어 이용시간 측면에서는 인터넷을 많이 이용하는 응답자일수록 오락과 정보 미디어 레퍼토리 크기가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나, 현재까지는 인터넷이 다른 미디어와 상호 보완하는 양상, 피들러(Fidler)의 미디어 변형이론 가운데 공존 공진화 현상을 보여주었다. 응답자들은 평균 2.01개와 2.25개의 오락과 정보 미디어 레퍼토리를 가졌으며 텔레비전, 신문, 인터넷을 두 미디어 레퍼토리의 3대 주요 미디어로 꼽았다. 또한 인터넷 레퍼토리와 사회적, 태도적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는 최근의 이용 충족이론과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에서 나타났던 결과들과 일치해 사회적, 심리 태도적 요인들이(친밀도, 접근성, 유용성, 여가시간) 미디어 레퍼토리의 크기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검증되었다.

  • PDF

A Study on Methods to Estimate the Time Required for Finishing Hypermedia Scenario (하이퍼미디어 시나리오 수행시간 예측 방법 고찰)

  • 임재걸;이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31.1-36
    • /
    • 1998
  • 본 논문은 하이퍼미디어 시나리오 수행시간 예측 방법을 고찰한다. 시나리오 수행 시간 정보는 사용자가 본인의 시간 사용 계획 수립이나, 정보 제공자가 효율적인 정보 감상 스케쥴을 수립하여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정보를 얻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1]과 [2]에 소개된 두 가지 밖에 없다. 이 두가지 방법은 모두 변형된 페트리 넷을 이용하여 시나리오를 모델링 한 다음, [1]은 몬테칼로 시뮬레이션 방법을 적용하고 [2]는 통계적 기대값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 PDF

An Adaptive multimedia Synchronization playback scheme using buffer level (버퍼레벨을 이용한 적응형 멀티미디어 동기화 재생 기법)

  • Sung, Kyung-Sang;Hwang, Min-Koo;Yi, Gi-Sung;Lee, Kuen-Wang;Oh, Hae-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619-622
    • /
    • 2001
  • 실시간 응용 프로그램은 미디어 데이터간에 만족되어야 할 동기화 제약조건(synchronization constraints)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약조건은 프리젠테이션 되어야 할 미디어 데이터간의 지연시간 및 서비스 품질을 나타낸다. 미디어 데이터간의 지연시간 및 서비스 품질을 효율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이에 적합한 새로운 동기화 기법이 요구된다. 제안된 논문은 가변적 전송 지연 시간을 흡수하면서 미디어 데이터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적 동기화이다. 즉, 최대 지연 지터 시간을 이용한 동기화 구간 조정과 지연시간의 변화에 따른 가변적 대기 시간을 융통성 있게 처리하여 미디어 데이터간의 동기화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기법이다. 본 논문은 동기화 구간 조정을 처리하기 위해 지연 지터를 적용함으로써 트래픽 증가로 인한 미디어 데이터의 손실 시간 및 지연시간의 변화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켰다. 그리고 스무딩 버퍼의 대기 시간을 가변으로 처리함으로써 지연시간의 변화로 인한 불연속을 감소시켰다. 제안된 논문은 고품질 서비스의 보장을 요구하는 시스템에 적합하며 재생율 증가와 손실율 감소 등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켰다.

  • PDF

언명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공간 동기화 모델

  • Seong, Hae-Gyeong
    • 한국게임학회지
    • /
    • v.6 no.1
    • /
    • pp.55-57
    • /
    • 2009
  • 멀티미디어 정보 표현에 있어서 서로 다른 미디어간의 동기화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멀티미디어 특성이 적용된 게임 개발에 있어서 각각의 시각 객체들이 시간 경과에 따라 공간 영역에서 동시에 움직여야 하므로 게임에서 필요한 멀티미디어적인 게임 요소들을 게임 운용상에 적절히 배치시키기 위해서는 게임 장면을 통한 시간과 공간 개념의 동기화가 필요하고 게임 객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시공간 특성이 논리적으로 설계되어 게임을 운용시켜야 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혼합된 형태의 미디어로 구성된 데이터의 표현을 위해서는 객체가 나타내는 상대적인 위치와 상대적인 시간을 나타내 주는 공간 합성과 시간 합성을 명시할 수 있는 정형화된 표현 연구가 요구된다. 간(刊)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시간적 동기화와 공간적 동기화 각각에 대한 표현에 많이 치우쳐 있으므로 시간과 공간이 통합된 미디어들의 동기화 표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시공간이 통합되지 않는 기존의 멀티미디어 표현법을 게임 개발에 적용할 때에는 게임에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간의 원활한 동기화 표현이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게임 시나리오 스케치에서 나타난 게임 객체들의 시공간 개념이 적절히 표현될 수 있는 정형적 연구가 필요하다. 간(刊)본 논문에서는 시간 개념과 공간 개념이 통합된 형태의 시공간 동기화를 표현하기 위하여 명세 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시간 및 공간 개념을 적절히 변형하여 표현될 수 있도록 시간 및 공간 동기화가 통합된 새로운 표현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게임 요소들의 시간적, 공간적 동기화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을 언명으로 정의하고 시공간 관계성에 대한 확장을 제시한다. 간(刊)본 논문이 제안하는 언명 기반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공간 동기화 모델(an Assertion-based Multimedia objects Spatio-TEmporal Synchronization model : AMSTES)는 시간과 공간 모두에 적용되는 게임 객체들의 시공간 동기화 표현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실제 실행 가능한 코드 생성을 위한 시공간 공식을 제공한다.

  • PDF

Analy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and Media use tim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NS이용과 미디어 이용시간 간의 관계 분석 : 이용제한 및 대안활동을 매개변인으로)

  • Kim, Ju-Kyoung;Lee, Seong-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7
    • /
    • pp.395-406
    • /
    • 2014
  • This research observes how an adolescent's usage of social network services is related with media use time, and also tries to verify how a parent's participation in acting to limit usage time serves as a mediating effect. For this analysis, data from The Korean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Korea Media Panel Research] was used, being a survey conducted on 1,572 students from primary to secondary and high schools nationwide. The subjects' gender in the final analysis was 818 male students and 754 female students. In addition, primary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672 individuals, 416 were from secondary and 484 from high schools.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proposed in this research, analyz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using social network services(SNS) was not shown to have an effect on media usage time. However, there was an indirect effect from the use of alternative activities. In addition, the parent's limitation of usage showed no effect on media use time. This research attempts to identify the reasons why parents' limiting the usage time, along with alternative activities, do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in reducing media usage time in this era of smart media evolution. Further, this research hopes to suggest meaningfu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nation and society to understand and resolve media addicti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s Smartphone Usage Time (부모의 스마트폰 이용 시간과 자녀의 스마트폰 이용 시간의 관계)

  • Kim, Banya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6
    • /
    • pp.23-30
    • /
    • 2022
  •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s smartphone usage time. The data from the 11th Korea Media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was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parents' smartphone usage time and children's smartphone usage time are positively correlated, indicating that their smartphone use patterns share similarities as members of a family system. This study lays the foundation for future work to explain individual media use through family and media use environment.

Multimedia Presentation using TSR Tree (TSR 트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

  • 김찬홍;박유현;이중화;김경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24-26
    • /
    • 1999
  •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프리젠테이션은 질의 결과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을 처리하여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을 말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간에는 시간적인 관계와 공간적인 관계가 존재하고, 이 두 관계는 상호 긴밀히 연관되어 있으므로, 시간 관계와 공간 관계를 통합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법이 필요하다. 특히, 여러 미디어들이 시간적으로 중요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시간 관계와 공간 관계를 통합적으로 표현하여 프리젠테이션 할 때에 사용자가 제시한 미디어의 앞/ 뒤 관계를 동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TSR(Temporal and Spatial Relationship) 트리를 제안한다.

  • PDF

Execution-Rata Based Real-Time Scheduling Algorithm for Multimedia Application (멀티미디어 응용을 위한 수행률에 기반한 실시간 스케줄링 알고리즘)

  • 박문주;조유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104-106
    • /
    • 1998
  • 멀티미디어 응용은 시간 제약 조건을 가지며, 이를 만족시키는 실시간 스케줄러는 멀티미디어를 지원하는 운영체제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실시간 스케줄링 기법은 시간 제약 조건의 명세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응용들의 수행시간과 지연 시간 변동폭의 상한을 보장한다. 응용은 그 주기와 수행시간을 명세하며, 스케줄러는 수행률에 기반하여 응용들을 스케쥴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스케줄링 기법을 RT-MACH[6] 운영체제 상에서 구현하여 실제로 수행시간과 지연시간 변동폭의 상한이 보장됨을 보인다.

  • PDF

A Study of the Impact of Portal News Use on Traditional Media: among College Students (포털 뉴스 이용이 전통 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 Won, Suk-Kyoung;Kim, Dae-Kyung;Lee, Bum-Soo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38
    • /
    • pp.40-72
    • /
    • 2007
  • Amid the rapid growth in use of portal new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ortal news would substitute traditional news media, in particular newspapers and television new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how the decrease in use of traditional news media was associated with online news use, reliance on, and motivations for portal ne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nega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et use and television news viewing, suggesting that those who are more likely to use the Internet are less likely to watch television news programs. Also, portal new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ime spent with newspaper reading, while it was not related to television news viewing.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convenience/information-seeking needs appeared as the major motivations for using portal news, which were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creased time spent with watching television news programs. In other words, those who used portal news for convenience/information-seeking needs are less likely to watch television news programs, which may indicate that portal news could be a substitute for television news in terms of convenience/information-seeking motivations. In add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portal news and newspapers in terms of surveillance needs. Those findings could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functional similarity" in the process of media substitution.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PDF

MPEG-4 Based Multimedia Synchronization Model and Application (MPEG-4 기반의 멀티미디어 동기화 모델과 응용)

  • Sung, Seung-Kyu;Lee, Myeong-Won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1D no.5
    • /
    • pp.1159-1166
    • /
    • 2004
  • This paper describes a multimedia synchronization model based on the MPEG-4(Moving Picture Expert Group) system. It defines and modifies new nodes for representing temporal relationships between media objects in the BIFS(Binary Format for Scene) of MPEG-4 system which Integrates, manages and transfers multimedia objects such as audio, video, image, etc. The relationships are represented by using a multimedia temporal model during the start, play and delay time interval. In addition, we illustrate a multimedia authoring system that includes the Interface used for defining the temporal relationships. Differently from several contentional tools generally appropriate for professional users who can edit the BIFS nodes of themselves, the system provides end-users with the function that can define the temporal relationships of multimedia objects directly in the inter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