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and Media use tim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NS이용과 미디어 이용시간 간의 관계 분석 : 이용제한 및 대안활동을 매개변인으로

  • 김주경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재단 정책연구실/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 이승희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대응센터/건국대학교 교육학과)
  • Received : 2014.04.07
  • Accepted : 2014.05.13
  • Published : 2014.07.28

Abstract

This research observes how an adolescent's usage of social network services is related with media use time, and also tries to verify how a parent's participation in acting to limit usage time serves as a mediating effect. For this analysis, data from The Korean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Korea Media Panel Research] was used, being a survey conducted on 1,572 students from primary to secondary and high schools nationwide. The subjects' gender in the final analysis was 818 male students and 754 female students. In addition, primary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672 individuals, 416 were from secondary and 484 from high schools.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proposed in this research, analyz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using social network services(SNS) was not shown to have an effect on media usage time. However, there was an indirect effect from the use of alternative activities. In addition, the parent's limitation of usage showed no effect on media use time. This research attempts to identify the reasons why parents' limiting the usage time, along with alternative activities, do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in reducing media usage time in this era of smart media evolution. Further, this research hopes to suggest meaningfu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nation and society to understand and resolve media addiction.

본 연구는 최근 급증하는 청소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이용이 인터넷을 포함한 미디어 이용시간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관계구조 속에서 부모의 이용 제한과 대안활동 참여가 어떠한 매개효과로서 작동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는 청소년의 올바른 미디어 이용 유도를 위해 부모를 통한 이용지도나 활동적 대안활동에 초점을 두는 다양한 가이드와 프로그램이 과연 효과가 있는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분석을 위해서 본 연구는 전국 초, 중, 고등학교 청소년 1572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성별은 남학생이 818명, 여학생이 754명이었고, 초등학생 672명, 중학생 416명, 고등학생 484명이었다.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한 결과, SNS 이용은 미디어 이용시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대안활동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보호자의 이용제한은 미디어 이용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진화하는 스마트미디어 환경에서는 더 이상 미디어 이용시간의 감소를 위한 부모의 이용제한 방식과 대안활동 참여가 유의하지 않은 이유를 찾고, 더 나아가 국가와 사회가 미디어중독 현상을 이해하고 해소 대안을 찾는데 의미있는 정책 시사점을 제안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기, "청소년의 대인관계 태도, 자아존중감, 조절 및 인터넷 중독간 관계의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제16권, 제1호, pp.165-194, 2005.
  2. 김동일, 이윤희, 이주영, 김명찬, 금창민, 남지은, 강은비, 정여주, "미디어 이용 대체.보완과 중독: 청소년과 성인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 행태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제20권, 제1호, pp.71-88, 2012.
  3. 김봉섭, 신명희, 임도경, 이인희, "소셜미디어 이용자 유형에 따른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및 활동 유형에 대한 차이 연구", 사화과학연구, 제29권, 제2호, pp.105-134, 2013.
  4. 도금혜, 이지민,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자아존중감, 자기통제, 공격성간의 관계구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9권, 제3호, pp.59-69, 2011.
  5. 박재성,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현상과 자기통제 기대의 구조적 경로모형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제21권, 제3호, pp.1-17, 2004.
  6. 박주연, 김희화, "초기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시간과 인터넷 중독성향 간의 관계: 부모훈육방식의 중재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1호, pp.25-45, 2013.
  7. 배성만, 박중규, 고영삼,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심리, 행동적 문제와 인터넷 사용동기의 이중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9권, 제3호, pp.529-544, 2012.
  8. 서경현, 김은경, 조성현, "청소년의 스트레스 반응과 행복감에 대한 체육활동 및 인터넷 게임중독의 역할",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5호, pp.115-135, 2012.
  9. 송은지, "청소년 인터넷규제 개선방향에 대한 제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690-69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690
  10. 양돈규,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경향에 따른 대인관계활동 및 만족도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제10권, 제3호, pp.481-500, 2003.
  11. 여정윤, "음악치료활동이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14권, 제1호, pp.21-40, 2012.
  12. 옥경영, "아동의 인터넷콘텐츠 사용에 대한 접근성과 주관적.사회적 규범의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지논문지, 제13권, 제5호, pp.443-45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443
  13. 이인희, "대학생 집단의 휴대폰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5권, 제3호, pp.261-293, 2001.
  14. 유비, "청소년의 동아리 활동이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제15권, 제2호, pp.417-441, 2013.
  15. 윤명숙, 송행숙, "중학생의 충동성과 인터넷게임 중독관계에서 부모, 친구, 교사 애착변인들의 매개효과검증", 사회과학연구, 제27권, 제1호, pp.227-253, 2011.
  16. 이동수, 김효순, 김은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청소년 인터넷 환경이 중독에 미친 실증적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제14권, 제3호, pp.249-257, 2009.
  17. 이만제,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수준에 따른 감성지능 및 대인관계성향 차이", 한국콘텐츠학회지논문지, 제9권, 제11호, pp.201-211,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1.201
  18. 이상균, "부모의 양육행동은 청소년자녀의 문제 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가?; 조기.후기비행 진입청소년의 비행경로 비교", 한국가족복지학, 제24호, pp.249-282, 2008.
  19. 임웅, 김상국, "미디어노출, 생활습관, 신체활동 청소년의 미디어중독 및 BMI의 관계", 국민건강증진연구논집, 제6권, pp.23-34, 2012.
  20. 조용호, 장재철, "청소년들의 스포츠활동 참여와 자아존중감 및 인터넷게임 중독성향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19권, 제1호, pp.207-218, 2010.
  21. 최자은, 문수백, "학령기 아동의 인터넷 중독 관련변인들간의 관계구조분석", 한국보육학회지, 제10권, 제3호, pp.149-168, 2010.
  22.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23. 한상철, "청소년의 인터넷 접촉 정도와 중독성향에 대한 조사", 한국심리학회지, 제9권, 제2호, pp.19-39, 2003.
  24. 허준, 이윤호,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비행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제8권, 제2호, pp.213-240, 2012.
  25. P. M. Bentler, "Comparative fit indic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7, pp.238-246, 1990.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238
  26. M. W. Browne and R. Cudeck, "Single sample cross-validation indicies for covariance structure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24, pp.445-455, 1989. https://doi.org/10.1207/s15327906mbr2404_4
  27. P. J. Curran, S. G. West, and J. Finch, "The robustness of test s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pp.16-29, 1996.
  28. I. Goldberg, Internet addiction disorder, Retrieved April 20, 2011, from http://www.cog.brown.edu/brochure/people/duchon/humor/internet.addiction/html, 1996.
  29. D. N. Greenfiel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pulsive Internet use: A preliminary analysis,"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8, No.5, pp.403-412, 1996b.
  30. M. D. Griffiths, "Technical addictions," Clinical Psychology Forum, Vol.76, pp.14-19, 1995.
  31. L. T. Hu and P.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ducation Modeling, No.6, pp.1-55, 1999.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32.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Y: Guilford Press, 2005.
  33. K. MacDonald and R. D. Parke, "Bridging the gap: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and peer interaction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Vol.55, pp.1265-1277, 1984. https://doi.org/10.2307/1129996
  34. F. I. Nye, Family Relationships and Delinquent Behavior, Greenwood Press Publishers, 1958.
  35. G. S. Pettit, J. E. Bates, and K. A. Dodge, "Supportive parenting," Ecological Development, Vol.68, No.5, pp.908-923, 1997.
  36. C. A. Smith and S. B. Stern, "Delinquency and antisocial behavior: A review of family processes and intervention research," Social Service Review, Vol.71, pp.382-420, 1997. https://doi.org/10.1086/604263
  37. M. E. Sobel,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s, Vol.13, pp.290-312, 1982. https://doi.org/10.2307/270723
  38. L. R. Tucker and S. Lewis,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Vol.38, pp.1-10, 1973. https://doi.org/10.1007/BF02291170
  39. K. S. Young,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Paper presented at the 104th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oronto, 1996.
  40. K. S. Young, "Psychological of computer use: XL. Addictive use of the Internet: A case that breaks the stereotype," Psychological Reports, Vol.79, pp.889-902, 1996.
  41. K. S. Young, Caught in the net: How to recognize the signs of internet addiction and a winning strategy for recovery, NY: John Wiley & Sons, Inc, 1998.

Cited by

  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Self Expression, Tourism Experience and Tourism SNS Use Intention -Moderating Effect of Tourism SNS Usage Purpose- vol.13, pp.12,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12.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