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ow Government Policy Affects to Entertainment Industry?: Case Study of Korean Film History

영화산업 발전단계를 바탕으로 본 문화콘텐츠산업의 정부개입과 산업 성숙도의 연관성

  • Received : 2014.05.30
  • Accepted : 2014.06.18
  • Published : 2014.07.28

Abstract

Entertainment Industry, with high productivity of added value, is noticed as a major industry leading global economy. Thus the government has been constantly attempting to devise various plans for developing entertainment industry, but the plans are mostly come out according to currently faced issues rather than considering the whole industry interior interaction. We are mainly objective to find a ground for estimating the current entertainment industry status. For this, we borrowed the concept of 'maturity' from various capacity maturity estimation tools. We also analyzed Korean film industry as a representative entertainment industry case to find what and how government intervention has affected on the industry.

문화콘텐츠 산업은 높은 부가가치를 이끌며,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정부는 문화콘텐츠 산업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으나, 정부의 산업 개입 방향성에 대한 기준은 모호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숙도의 개념을 도입하여 경험재로서 측정이 어려운 문화콘텐츠의 발전에 정부가 어떠한 개입을 시도해왔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영화산업의 현황 및 발전정도를 바탕으로 성숙단계를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 시행되었던 정부정책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부정책이 산업 시스템 구축을 주도하는 방향인 경우, 산업 성숙도는 시장을 구조화하는 단계에서 머물렀고, 자유경쟁 속에서 영세한 창작 기업 및 개인 지원정책으로 변경한 이후 비로소 시장 활성화 단계로 진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평수, 윤홍근, 장규수, 문화콘텐츠 산업론,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2.
  2. 김미현, 한국영화사: 개화기(開化期)에서 개화기(開花期)까지,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6.
  3. 배기형, "영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p.172-18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9.172
  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산업정책과, 2012 콘텐츠산업백서, 문화체육관광부, 2012.
  5. M. Paulk, B. Curtis, M. Chrissis, and C. Weber, The Capacity Maturity Model for Software: Version 1.1, 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 1993.
  6. S. Ramanuian and S. Kesh, "Comparison of Knowledge Management and CMM/CMMI Implementation,"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Business, Vol.4, No.1/2, pp.271-275, 2004.
  7. http://www.bptrends.com/resources_publications.cfm
  8. D. Ahern, A. Clouse, and R. Turner, CMMI Distilled: A Practical Introduction to Integrated Process Improvement (2nd edition), Boston; London; Addison-Wesley, 2004.
  9. C. Hakes, The Corporate Self Assessment Handbook (3rd edition), Chapman & Hall, London, 1996.
  10. 행정안전부, EA 성숙도 모델 V.3.1 해설서,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11.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102375
  12. 김동호, 한국영화 정책사, 나남출판, 2005.
  13. 좌승희, 이태규, 한국영화산업 구조변화와 영화산업정책, 한국경제연구원, 2006.
  14. 김미현, 한국영화 정책과 산업,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15. 박영은, 이동기, 신우진, 김지연, 이우수, 영화산업 기업전략, 영화진흥위원회, 2007.
  16. 정윤경, 김미선, "국내 창조산업 콘텐츠 진흥정책의 동기구축효과에 관한 연구: 수혜자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210-22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210
  17. 영화진흥위원회, 한국영화연감 2000, 집문당, 2001.
  18. 신영철, 한국영화 산업구조의 제작시스템 변화에 관한 연구: 2000년대 자본과 인력을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9. 영화진흥위원회, 한국영화연감 2002,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20. 영화진흥위원회, 한국영화연감 2006,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21. 영화진흥위원회 정책연구부, 2013년 한국영화결산-한국영화산업 사상 최고의 호황, 매출 1조 8천 8백억 원 기록, 영화진흥위원회, 2014.
  22. 송치웅, 김왕동, 박미영, 창조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과제-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