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강유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4초

미강유에 대한 코발트 60-감마선의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60}Co-gamma$ Radiation on Ricebran Oil)

  • 한덕봉;석한균;유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9-135
    • /
    • 1973
  • 미강유에 미치는 방사선 조사의 영향과 이에 따른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용매 추출한 미강유에 B.H.T, C.A. 를 각각 0.01% 첨가, 공기 존재하에서 2 Mrads와 7 Mrads의 두가지 선량으로 dose rate 300 rads/sec 인 $^{60}Co-gamma$ (25,000 Ci) 선원을 조사직후 $5^{\circ}C$$25^{\circ}C$에서 저장하여 경시적으로 A.V., P.O.V., C.O.V.를 측정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V.는 저장 중 온도차, 항산화제의 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조사에 의한 상승이나 감소는 별로 없었다. 2) P.O.V.는 저장 중 계속 증가하는 것이 아니고 증감의 반복을 유지하면서 즉 과산화물의 생성과 분해가 일어나면서 증가했다. 3) C.O.V.는 P.O.V.가 증가하면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 P.O.V.와 다른 경향을 나타 냈으며 7주에서는 거의 일정하거나 변화가 없었다. 4) 항산화제는 2 Mrads 조사에서는 B.H.T.가 C.A.보다 항산화력이 좋았으나, 7 Mrads 에서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장기저장면에서 보면 조사후에 항산화제를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5) 조사선량에 따른 영향에 있어서, 시료의 처리조건 (저장온도, 항산화제의 첨가등)에 관계없이 일율적으로 2 Mrads 로 조사된 시료의 P.O.V. 가 높았다. 6) 고온 저장$(25^{\circ}C)$은 저온 저장$(5^{\circ}C)$때 보다 P.O.V.의 상승이 2배였으며, 8주저장중 저온에서는 1주 P.O.V.의 2배의 상승을, 고온에서는 $3{\sim}4$ 배로 상승하여 역시 저온 저장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PDF

미강유중(米糠油中)의 Sterol조성(組成) (Sterol Composition of Rice Bran Oil)

  • 정태명;양민석;하봉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2호
    • /
    • pp.119-128
    • /
    • 1984
  • 미강유(米糠油)의 부(不)검화물(化物)을 분석(分析)하여 sterol조성(組成)을 살펴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4-Desmethylsterol로서는 10개가 동정(同定)되었으며 이 중(中) sitosterol이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있었다. 2개의 소량성분(少量成分)인 ${\Delta}^7$-stigmastenol(3%)과 ${\Delta}^7$-avenasterol(1%)를 제외(除外)하면 모두가 ${\Delta}^5$-sterol였으며 소위(所謂) ${\Delta}^5$형(型) sterol분포(分布)를 보이고 있었다. 4-monomethylsterol fraction에서는 9개가 확인(確認)되었으나 cycloeucalenol, citrostadienol, gramisterol가 주성분(主成分)이었다. 환계(環系)의 구조가 다양(多樣)하여 sterol의 생합성경로(生合成經路)의 중간단계(中間段階)임을 보여주고 있다. 4,4-Dimethylsterol(triterpene alcohol)로서는 4개가 동정(同定)되었으나 이들은 모두 9,19-cyclopropanering을 가지고 있다. 이들중(中) sterol생합성(生合成)의 초기단계(初期段階)의 물질(物質)인 cycloartenol와 24-methylenecyclo-artenol가 이 fraction의 96%를 점(占)하고 있는 것으로 봐서 미(米)강의 4,4-dimethylsterol는 짧은 경로(經路)를 거쳐 쉽게 4-monomethylsterol로 전환(轉換)되는 것 같다. Side chain에서 E-, Z-관계(關係)인 이성체(異性體)가 4-desmethylsterol로서는 fucosterol와 ${\Delta}^5$-avenasterol가 그리고 4-monomethylsterol로서는 28-isocitrostadienol와 citrostadienol로서 각각 1쌍식이 검출(檢出)된 것으로 미루어 볼때 sterol의 생합성과정(生合成過程)에서 side chain에서 보다 환계(環系)에서 먼저 변환(變換)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아진다.

  • PDF

Gas Chromatography에 의(依)한 미강유(米糠油)의 지방산분석(脂肪酸分析) (Analysis of Fatty Acid in Rice Bran Oil by Gas Chromatography)

  • 정태명;신종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9권
    • /
    • pp.29-33
    • /
    • 1968
  • 1. 미강유중(米糠油中)의 함존지방산(含存脂肪酸)은 Ole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의 순(順)으로 함량(含量)이 많으며 이상(以上) 3종(種) 지방산(脂肪酸)이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있다. Stearic acid, myristic acid와 Linolenic acid는 극소량(極少量) 함유(含有)되어 있을 뿐이며 $C_{12}$ 이상(以上)의 산(酸)은 그 흔적(痕迹)이 보이지 않았다. 2. 표준(標準) 지방산(脂肪酸) Methyl로서 구(求)한 보정계수(補正係數)는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에 있어서 $C_{18}$까지는 탄소수(炭素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커지고 또 동일탄소수(同一炭素數)의 지방산(脂肪酸)에 있어서는 이중결합(二重結合)의 수(數)에 따라 커지고 있다. 3. 지방산(脂肪酸) Methyl Ester의 Retention time의 대수치(對數値)는 포화산(飽和酸)의 탄소수(炭素數), 또는 같은 탄소수(炭素數)의 지방산(脂肪酸)에 있어서 그 이중결합(二重結合)의 수(數)와의 사이에 직선관계(直線關係)가 있다는 것을 확인(確認)했다.

  • PDF

미강유 정제 부산물로부터 오리자놀 분리 (Separatipon of Oryzanol from the Refining By-Product of Rice Bran Oil)

  • 김인환;김철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6-80
    • /
    • 1991
  • 미강유 정제 부산물로부터 오리자놀을 분리하기위해, dark oil과 dark oil의 증류잔류물인 pitch로부터 용매분리법 이용하여 오리자놀을 분리하였다. 분리과정 중 방해물질인 왁스분은 dark oil과 acetone을 1 : 1(w/v)로 혼합하여, $0^{\circ}C$에서 침전시켜 제거하였고, 여기에서 얻어진 dewaxed dark oil에 8 part의 hexane을 섞어 저온분리하여 오리자놀함량이 51.3%인 농축물을 얻었다. 이 농축물에 methanol 20 part를 가하고 재결성하여 98.3%의 오리자놀결정물을 얻었다. Dark oil로부터 pitch를 제조하는 적정조건은$180^{\circ}C$$0.2{\sim}0.4torr$의 진공상태에서 2%(w/w)의 steam을 가하는 증류조건이 오리자놀의 파괴를 최소화 하였다. 이로부터 얻어진 pitch의 오리자놀순도와 회수율은 27.3%와 82.3%였다. Pitch에 hexane을 가하고 저온분리하여 오리자놀순도가 75.4%인 오리자놀결정물을 얻었으며 이 농축물에 methanol을 가한 후 재결정하여 순도가 99%인 결정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은 저온윤리법을 이용하였을 때 오리자놀의 회수율은 dark oil 9.5%, pitch 28.5%로 나타났다.

  • PDF

식물성 식용유로 사육한 토끼근육의 근원섬유 단백질의 ATPase 활성에 미치는 금속의 영향 (The effect of the divalant Metal ions on the ATPase activity in Myofibrillar protein of the Muscle of Rabbit fed Vegetable Oils.)

  • 남현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3-117
    • /
    • 1980
  • 식물성 식용유를 기본식이에 첨가하여 일정한 조건하에서 사육한 토끼 근육에서 근원섬유 단백질을 추출하여 ATPase활성과 이에 미치는 EDTA, $Ca^{2+}$, $Mg^{2+}$ 등의 여러가지 농도변화에 따른 한성도 저해 양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원섬유 단백질의 ATPase 환성은 KCI의 농도가 크면활성은 감소되고, 농도가 감소되면 황성은 증가되었으며 대조군보다 식용유를 급여한 군이 더 높았다. 2, EDTA의 농도변화에 따른 ATPase 학성은 0.2mM EDTA 이상부터 찬성방해작용이 현저히 나타났다. 3. $Ca^{2+}$, $Mg^{2+}$이 ATP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0.2mM $Ca^{2+}$ 이상의 농도에서부터, 1.0mM $Mg^{2+}$ 이상의 농도에서부터 ATPase 활성 방해작용이 뚜렷이 나타났다. 4. In vitro 소화율은 pepsin으로 처리하여 대조군이 71.66%, 들깨기름 급여군이 70.62%, 콩기름 급여군이 67.93%, 미강유 급여군이 86.79% 이었고, Trypsin으로 처리하면 대조군이 73.87%, 들깨기름 급여군이 77.93% 콩기름 급여군이 76.52%, 미강유 급여군이 90.22%를 보였다. 이는 pepsin에 의한 소화보다 Trypsin에 의한 소화력이 더 좋음을 나타내며 식물성 기름을 급여한 군의소화율이 더 좋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다식의 항산화성과 저장기간에 따른 조직감 및 관능적 특성 (Antioxidant Capacity and Effect of Storage Periods on Textures and Sensory Properties of Dasik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aries))

  • 양정은;김지영;장은영;이재환;이지현;정라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211-1219
    • /
    • 2013
  • 다식은 전분류를 기본으로 하여 다양한 성분 혼합이 가능한 한국의 전통 후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쌀 등의 전분을 위주로 다식을 제조한 후에 항산화능을 측정하고, 냉장 저장 중에서의 조직감 및 관능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쌀을 주 원료로 한 다식 중 라디칼 소거능과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철 이온 환원력은 미강유가 첨가된 현미홍삼미강유다식 시료가 현미홍삼다식이나 오미자 쌀 다식보다 높았고, 오미자 쌀 다식에 비해 흑임자다식과 콩다식이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 활성이 높았다. 기계적 조직감은 저장기간 중 다양한 변화를 보였으나 일관된 패턴은 찾기 어려웠다. 훈련된 10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실시한 관능적 특성 검사 및 기호도 검사 결과, 오미자 쌀 다식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경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수분 정도와 부드러운 정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콩다식과 흑임자다식 시료는 수분 정도에서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는데, 저장기간이 길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전반적 기호도와 텍스처 기호도 측정결과 오미자 쌀 다식과 콩다식 시료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길수록 기호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오미자 쌀 다식의 경우 다시 먹을 의향 또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관능적 텍스처 특성과 기계적 텍스처 특성은 측정 항목에 따라 양과 음의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미강유, 팜스테아린 및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를 이용한 저트랜스 유지의 효소적 합성 (Enzymatic Synthesis of Low Trans Fats Using Rice Bran Oil, Palm Stearin and High Oleic Sunflower Seed Oil)

  • 김지영;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70-478
    • /
    • 2009
  • 미강유, 팜스테아린 및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의 효소적 interesterification을 통하여 저트랜스 유지를 합성하였고, 합성 시 Thermomyces lanuginose로부터 획득된 TLIM 효소를 이용하였다. 반응 기질의 비율에 따라 합성된 저트랜스 유지의 solid fat content(SFC)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각 온도에 해당하는 SFC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팜스테아린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SFC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SC를 통한 흡열 및 발열 곡선 분석결과, 팜스테아린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피크가 높은 온도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트랜스 유지의 지방산 조성을 살펴본 결과, palmitic acid(C16:0), oleic acid(C18:1), linoleic acid(C18:2)가 주요 지방산들로써 전체 지방산 조성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고, 총 트랜스지방산은 비율별로 0.5 area%의 수치를 보이며, 1% 미만의 낮은 함량을 보였다. Triacylglycerol (TAG) 조성을 reverse-phase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주요 TAG 조성은 OOL, PLO, PLP, OOO, POO, POP, POS 등으로 측정되었으며, 그 중 PLO와 POO 및 POP가 전체 조성의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한편, 여러 비율별로 합성된 저트랜스 유지의 총 tocopherol은 $6.94{\sim}11.83$ mg/100 g의 함량을 보였고, oryzanol은 $0.18{\sim}0.49$ mg/100 g의 함량을 보였으며, phytosterol 함량은 전체적으로 $182.48{\sim}269.07$ mg/100 g 사이의 다양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바이오디젤유(미강유 에스테르)를 이용한 농업용 디젤기관의 연소 특성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Diesel Engine using Biodiesel Fuel(Ester of Rice Bran Oil))

  • 유경현;윤용진;오영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7권2호
    • /
    • pp.181-187
    • /
    • 2003
  • Biodiesel fuel as an alternative fuel for diesel engine has a great possibility to solve the problems such as air pollution. It is a domestically produced, renewable fuel that can be manufactured from vegetable oils, used vegetable oils, or animal fats. In this study, the usability of biodiesel fuel derived from rice bran oil as an alternative fuel for diesel engines was investigated in agricultural diesel engine. Emissions were characterized with neat biodiesel fuel and with a blend of biodiesel fuel and conventional diesel fuel. Since the biodiesel fuel includes oxygen of about 11%, it could influence the combustion process strongly. So, the use of biodiesel fuel resulted in lower emissions of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and smoke emissions without any increase of oxides of nitrogen. It is concluded that biodiesel fuel can be utilized effectively as a renewable and an environmentally Innocuous fuel for diesel engine.

미강 ethanol추출물에 의한 쌀밥의 품질 및 저장성 향상 연구

  • 김선재;문지숙;강성국;정순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99.2-99
    • /
    • 2003
  • 미강은 미곡처리장에서 발생하는 도정부산물이지만 비타민 E, 식이섬유, 오리자놀, 불포화지방산 등 다양한 유효성분들이 함유되어 있고, 콜레스테롤 상승억제효과를 비롯한 여러 가지 생리적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미강을 빵, 쿠키, 스낵 등의 baked product에 적용시켜 건강식품을 제조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극히 일부가 미강유 제조에 이용되고 있을 뿐 대부분이 사료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쌀의 도정에 의해 영양학적으로 손실된 쌀밥의 영양을 강화하고 쌀밥의 저장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밥물에 미강 ethanol 추출물을 첨가하여 취반하고 쌀밥의 품질특성 및 저장성을 측정하였다. 미강 5~15g 상당량의 추출물과 지방산에스테르 혼합물의 첨가에 의한 쌀밥의 관능적 특성은 전체적으로 기호도, 맛, 향기 면에서 우수한 평점을 얻었으며 조직감에서도 상당히 높은 평점을 얻었다. 색도, 산도, 총세균수의 측정의 결과에 의한 쌀밥의 저장안정성은 3$0^{\circ}C$에서 저장 중, 대조구에서는 3일만에 변질이 되었으나 미강추출물 첨가구에서.는 4~수일간 변질이 지연되어 첨가 농도에 따라 미강추출물의 쌀밥 저장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강추출물을 표준 토코페놀과 비교하여 DPPH 라디컬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상당한 수준의 값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미강추출물의 기능성 검토와 함께 쌀밥의 풍미개선을 위한 제품개발과 쌀 소비 촉진 효과가 기대된다.

  • PDF

급원이 다른 식이 지방이 흰쥐의 지방대사와 혈소판 성상에 미치는 영향 -참깨유, 들깨유, 미강유 중심으로- (The Changes of Body Fat Accumulation, Serum Lipids and Platelet Functions in Rat Fed the Diet Containing Different Common Oils in Korea: Sesame oil, Perilla oil, Rice Bran oil and Mixed oil)

  • 김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5호
    • /
    • pp.513-523
    • /
    • 1993
  • In this experiment, we investigated the hypolipidemic and antithrombotic effects of rats fed diets with different common oils in Korea for different feeding periods(4 weeks or 12 weeks), using Korean sesame oil, perilla oil, rice bran oil and mixed oil. W-3/w-6 ratio of each group was 0.001, 1.44, 0.03 and 0.112, respectively. P/S ratio of each group was 9.64, 10.49, 5.58 and 1.68, respectively.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age, body fat accumulation was increased. 2) Perilla oil(w-3 rich) decreased total lipid,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and increased HDL/total cholesterol ratio. 3) With regard to the compositono of platelet fatty acids, Perilla oil increased w-3/w-6 ratio of the platelet. Perilla oil lengthened bleeding time and decreased MDA(MalonDAdehyde) formation which determined in place of Thromboxane A2(TXA2) in platelet. This result can suggest that linoleic acid of perrilla oil seem to supress the conversion of linoleic acid to arachidonic acid(AA 20:4, w-6) and eicosapentaenoic acid(EPA, 20:5, w-3) trannnsformed from linolenic acid to suppress the conversion of arachidonic acid to TXA2. Since TXA2 is platelet-aggregating and vasoconstricting agent, the reduction of TXA2 tgeneration by platelet with increased linolenic acid intakes shows prologed bleeding time. In conclusion, w-3 rich perilla oil has strong hypolipidemic and antithrombotic effects by changing fatty acid profiles of the platele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