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뭄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Seminar & Report - Survey on Food Industry of India (Seminar & Report - 인도의 식품산업 동향 조사)

  • Park, Jong-Dae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24 no.3
    • /
    • pp.488-496
    • /
    • 2011
  • 본 내용은 중국에 이은 세계 2위 쌀 생산 및 소비 국가인 인도의 식품산업 현황 및 쌀 가공 식품과 가공 기술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뭄바이에서 개최된 식품 및 음료, 호텔 박람회(TASTE 2011)에 참석하고, 뭄바이 SNDT 여자대학과 KBC(korea business center) 등을 방문 하여 한 인도 양국 간의 식품 가공산업과 쌀 가공산업 활성화에 기여하며 향후 관련 분야 교류 협력 활성화 기반 조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Jamaican music Used in Moombaton (뭄바톤에서 사용된 자메이카 음악에 관한 연구)

  • Park, Beom-geun;Cho, Tae-se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6
    • /
    • pp.273-28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sic of the Moombaton genre an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Jamaican music in it. I analyzed Lewis Poncy's and BTS's rhythmically, melodically and instrumentally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Jamaican music. As a result, the rhythm features a Dembow rhythm and reggae rhythm derived from traditional Jamaican music. and As a feature of the melody, toasting, a unique Jamaican expression method, was used. Instrumental features include Latin American percussion, South American melodic instruments, and the use of tr-808.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reating another fusion genre by finding the elements of Jamaican music in the current popular genre of EDM.

Dharavi Redevelopment Plan through Urban Pharmaceutical Production & Research Facilities, and Residential Complex in Mumbai (도심형 제약연구&생산시설 및 주거복합 계획안을 통해 바라본 뭄바이 다라비 재개발계획)

  • Lim, Jae Heo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3
    • /
    • pp.145-158
    • /
    • 2020
  • Dharavi, located in Mumbai, India, is the largest slum in the world, with over 700,000 people living in one area. The provincial government has selected a private business, and planning to promote Dharavi's redevelopment together. In addition, the Indian government announced three city development initiatives in 2015 and is promoting altogether the nationwide urban development in India, redevelopment projects in existing cities, and housing provision for slum residents. Through incorporating ongoing projects such as DMIC industrial corridor and smart city construction in India to the pharmaceutical industry that India has a comparative advantage over other industries, urban pharmaceutical research & production facility and residential complex is proposed in this paper, to be capable of supplying all occupants in the designated site, as a prototype for possible redevelopment directions.

The optimization of energy and food interdependencies in view of water security (물안보 관점에서의 에너지, 식량 연계 최적화 방안 접근)

  • Lee, Eul Rae;Park, Sang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61-461
    • /
    • 2018
  •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기인하는 기상변동성 증가 등의 원인으로 물, 식량, 에너지의 시공간적 불균형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미국 캘리포니아 2012-2015 대가뭄, 우리나라의 2013-2015 대가뭄 등 물부족의 위험 가능성이 증폭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에너지와 식량 등의 연계자원들도 기존의 방법과 같이 관리되고 활용하는 것에 한계점이 도달하고 있다. 기후변화와 같이 기상학적 스트레스 증가와 더불어, 국제적으로 인구증가 및 도시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한국, 미국, 중국, 인도 등에서 물안보에 대한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으며,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의 "전 지구적 위험도 인지 조사"에서도 물, 식량, 에너지 위기에 대한 심각성을 강조하고 있다. 물, 식량 그리고 에너지는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개별 분야에서의 문제는 그 자체의 위기로 그치지 않고 다른 타 분야의 위험도를 증폭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과거와 다르게 교통, 물류 등의 발달로 물, 식량 및 에너지의 국가간 의존도가 더욱 증가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세 가지 자원의 연계성 강화는 결국 상호위기를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물안보 및 물복지 실현을 위한 물과 에너지의 저비용, 고효율의 최적화 방안은 상당히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자원간 Trade-off, 평가 등 에너지소비를 줄이고 에너지 효율성을 증가하며 에너지 절약형 기술에 개발에 중점을 두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또한 원예시설 및 관개 기술의 개선에 따른 물과 에너지 소비량 비교 분석, 시설원예 산업의 에너지 생산성 및 절약형 기술 등 에너지-물-식량 분야의 상호연결을 정량화하고 최적화하는 방안들을 지속적으로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 PDF

극한가뭄지수를 이용한 한강유역 가뭄재해 분석

  • Kim, Jin Hyuck;Jeung, Se Jin;Lee, Suk Ho;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43-243
    • /
    • 2016
  • 최근 우리나라는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고온과 강수량 부족으로 인해 봄가을철 가뭄으로 고통받고 있다. 특히 2015년의 경우 전국 곳곳에서 호수나 저수지의 바닥을 드러내어 급수제한까지 발생등 가뭄으로 인한 피해가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뭄은 장기간의 강우부족으로 인해 발생한다. 그렇기 때문에 기상학적 가뭄심도의 정도를 표현하기 위해 표준강수지수(SPI)를 사용한다. SPI는 특정지속기간 동안의 강수확률에 근거하여 다양한 기간적용이 가능하고 조기예측 및 가뭄의 심도를 쉽게 이해 가능하지만, 강수이외의 기온과 관련된 변수를 고려할 수 없다. 하지만 가뭄 재해에 있어서 강수량 부족뿐만 아니라 기온으로 인한 증발산량과 인근 하천의 유량분석을 통한 총괄적인 가뭄분석이 고려되어야한다. 그리하여 강수와 기온의 변동성을 원인으로 하는 증발산량의 변동성을 고려가능한 표준강수증발산지수(SPEI)를 이용하여 강수변화뿐만 아닌 증발산량을 분석하고, 월 유량으로 가뭄의 심도와 지속기간을 구분할 수 있는 하천수가뭄지수(SDI)를 이용하여 하천유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SPI, SPEI와 함께 수문학적 가뭄지수 SDI분석을 통한 총괄적인 가뭄재해 분석을 하였다.

  • PDF

Quantitative analysis of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flash drought using Flash Drought Intensity Index based on soil moisture (토양수분 기반 FDII를 활용한 돌발가뭄의 시공간적 정량화)

  • Hee-Jin Lee;Won-Ho Nam;Jason A. Otkin;Yafang Zhong;Mark D. Svobod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6-46
    • /
    • 2023
  • 돌발가뭄 (Flash drought)은 일반적인 가뭄과 달리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 이상으로 인해 단기간 급속하게 발생하는 가뭄이다. 짧은 기간에 식생 스트레스가 증가하며, 작물생산량의 감소로 인해 농업 생태계에 피해를 야기하며, 과도한 증발 수요 및 급격한 토양수분의 감소는 수문학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된 Flash Drought Intenisty Index (FDII, 2021)를 활용하여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간 발생한 돌발가뭄에 분석하였다. FDII는 가뭄 심화속도, 평균 심각도의 두 가지 요소를 곱하여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가뭄 및 비가뭄에 대한 정도를 나타내는 아노말리 (Anomaly) 대신 백분위수 (Percentile)를 활용한다. 국내 돌발가뭄 분석을 위하여 Gravity Recovery and Climate Experiment (GRACE) 위성영상 기반 근역층 토양수분 자료를 활용하였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전국 8도 (경기, 강원,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경북)를 대상으로 돌발가뭄 사상에 대하여 토양수분 백분위수의 월별 공간분포 및 FDII를 산정하여 국내 돌발가뭄의 강도를 정량화하였다. 지역 및 시기별로 다르게 발생하는 돌발가뭄을 대상으로 FDII를 활용하여 돌발가뭄의 초기 발생, 가뭄 전이 현상 등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향후 대상 지역의 세분화 및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FDII 적용으로 신뢰성 높은 국내 돌발가뭄 모니터링 및 분석 기술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Forecasting of Drought Based on Satellite Precipitation and Atmospheric Patterns Using Deep Learning Model (딥러닝 모델을 활용한 위성강수와 대기패턴 기반의 가뭄 예측)

  • Seung-Yeon Lee;Seok-Jae Hong;Seo-Yeon Park;Joo-Heo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36-336
    • /
    • 2023
  • 가뭄은 가장 심각한 기상 재해 중 하나로 농업 생산, 사회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국내의 경우 광주·전남지역이 1990년대 이후 30년 만에 제한 급수 위기에 처하는 역대 최악의 가뭄으로 지역민들은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였다. 유럽의 경우 2022년 당시 500년 만에 찾아온 가뭄으로 인해 3분의 2에 해당하는 지역이 피해를 입었으며, 미국 서부 지역은 2000년부터 2021년까지 1200년 만에 가장 극심한 대가뭄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피해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가뭄의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가뭄 예측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예측을 위한 입력변수로서 GPM IMERG (The Integrated Multi-satellitE Retrievals for GPM) 강수량 자료와 NOAA에서 제공하는 8가지 북반구 대기패턴 자료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입력변수 간의 상관성과 중장기 가뭄 예측을 위하여 딥러닝 모델 중 시계열 데이터에서 높은 예측 성능을 보이는 LSTM(Long Short Term-Memory)을 적용하여 가뭄을 예측하고자 한다.

  • PDF

Forecasting of Drought Based on Satellite Precipitation and Atmospheric Patterns Using Deep Learning Model (딥러닝 모델을 활용한 위성강수와 대기패턴 기반의 가뭄 예측)

  • Seung-Yeon Lee;Seok-Jae Hong;Seo-Yeon Park;Joo-Heo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37-337
    • /
    • 2023
  • 가뭄은 가장 심각한 기상 재해 중 하나로 농업 생산, 사회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국내의 경우 광주·전남지역이 1990년대 이후 30년 만에 제한 급수 위기에 처하는 역대 최악의 가뭄으로 지역민들은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였다. 유럽의 경우 2022년 당시 500년 만에 찾아온 가뭄으로 인해 3분의 2에 해당하는 지역이 피해를 입었으며, 미국 서부 지역은 2000년부터 2021년까지 1200년 만에 가장 극심한 대가뭄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피해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가뭄의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가뭄 예측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예측을 위한 입력변수로서 GPM IMERG (The Integrated Multi-satellitE Retrievals for GPM) 강수량 자료와 NOAA에서 제공하는 8가지 북반구 대기패턴 자료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입력변수 간의 상관성과 중장기 가뭄 예측을 위하여 딥러닝 모델 중 시계열 데이터에서 높은 예측 성능을 보이는 LSTM(Long Short Term-Memory)을 적용하여 가뭄을 예측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