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물매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초

물매-굴절률 기판을 이용한 평판광학적 광신호 연결 (Planar-optical interconnections by using a novel gradient-index substrate)

  • 조무희;김영식;송석호
    • 한국광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431-437
    • /
    • 1997
  • 광신호 상호연결 및 입력물체의 결상을 위한 기존의 평판광학계에서는 굴절률이 일정한 유리기판을 광신호 전달매체로 사용하였는데 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물매-굴절률(gradient-index) 분포를 갖는 기판을 사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평판광학계를 제안하였다. 물매기판에 의한 결상특성을 근축광선 추적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입력 광신호의 위치에 따라 결상된 위치가 변하는 실험결과로부터 새로운 결상광학계로의 응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물매기판을 이용한 평판광학계가 하나의 입력신호를 여러 출력면으로 동시에 분배할 수 있는 광신호처리계로도 응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19세기 창경궁(昌慶宮) 내전(內殿) 전각(殿閣)의 지붕가구(架構) 계획기법(計劃技法)에 관한 연구(硏究) (Planning Method of Roof Framing through Inner Building of Changgyeonggung in 19th Century)

  • 김기덕;한욱;김덕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2호
    • /
    • pp.134-153
    • /
    • 2009
  • 본 연구는 19세기에 중건된 조선시대 창경궁의 내전 전각을 대상으로, 지붕가구를 구성하는 주요 부재들의 치수계획을 고찰하고 서까래의 물매를 결정하는 요소를 분석하여 궁궐건축 내전 전각에 있어서 지붕가구계획의 기법을 밝히고자 하였다. 창경궁 내전 전각의 지붕가구를 형성하는 주요 부재의 치수계획은 다음과 같다. 먼저 평주의 길이는 궁궐지의 기록과 일치하였으며 고주의 계획치수는 촌(寸)단위까지 사용하였다. 영춘헌과 같이 평주의 길이가 촌단위까지 치목되어질 때 고주의 길이는 완척으로 계획되어 평주와 고주 사이에 형성되는 장연의 물매는 일정한 값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초익공 부재는 대체로 1.2척(尺)의 높이를 가지며 이익공의 경우에는 0.8척으로 초익공보다 0.4척 정도 작게 나타났다. 한편 장혀의 단면 폭은 0.3척으로 규모에 관계없이 일정하며, 다만 단면 높이의 경우 0.6~0.7척으로 대별된다. 도리의 직경은 1척을 기준으로 0.1척을 가감(加減)하였으며, 장연의 직경은 전각의 규모에 따라 0.5~0.6尺의 사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전통목조건축 지붕가구의 형성에서 서까래의 물매결정은 먼저 장연의 물매를 정한 후, 건물의 전체 높이를 결정하는 종도리의 높이를 정하고, 중연을 걸기 위해 동자주의 위치와 높이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지붕가구를 계획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장연 물매는 건물 규모에 따라 특별히 정해진 값이 있는 것이 아니라 전면 평주높이와 포작의 구성 등에 따라 자연스럽게 결정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중연을 사용하는 경우 중연물매의 결정방식은 양통 어칸을 등간격으로 분할한 후, 동자주의 위치 또는 길이를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한려해상국립공원 계단형 등산로에서 등산의 운동생리학적 연구 - 금산지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xercise Physiology of Climbing in Step-trail -At Keumsan in Hallyo-Haesang National Park-)

  • 이준우;박범진;최윤호;김재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98-405
    • /
    • 1999
  • 한려해상국립공원 남해도지구에 위치한 금산의 등산로를 대상으로 하여 등산로에 설치된 계단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등산로 총 연장 2,126m 중에 계단이 설치된 구간은 15개 구간이며, 총 길이는 1,000.4m로 나타났다. 대다수의 등산로 계단구역의 물매는 20~40%로 나타났으나, 11번 구간, 12번 구간과 같이 경사도 45.7%, 58.4%의 계단이 268.5m, 188.6m인 구간과 13번 구간과 같이 물매가 67.8%의 급경사 등산로 구간도 설치되어 있었다. 계단형 등산로에서 등산시 탐방객이 느끼는 운동강도를 조사한 결과, 전체 구간에 있어서 등산시의 심박수는 약 104~184회/분으로 나타났으며, 계단형 등산로 구간 중 11번 구간과 12번 구간, 그리고 13번 구간의 등산시 심박수 증가율, 운동강도지수, %HRmax는 각각 166.5%, 89.1%, 92.9%와 167.4%, 89.6%, 93.2%, 그리고 157.8%, 84.5%, 89.9%로 조사되었다.

  • PDF

차량(車輛)의 주행속도(走行速度)에 관계(關係)하는 임도(林道)의 구조(構造) 개선(改善) (Improvement of Forest Road Construction Related to the Running Speed of Cargo Truck)

  • 이준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513-523
    • /
    • 1996
  • 본 연구는 임도의 노선 선형이 차량의 주행속도에 마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임도의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기존의 임도 설계서 및 설계도면을 검토사여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임도를 선정하고, 연구대상 임도에 대해 종단물매, 노폭, 곡선반지름, 곡선길이, 곡선부의 편구배 등 노선선형 인자와 노면의 상태 등을 측정하였다. 선택된 실험차량을 이용하여 주행실험을 한 결과, 차량의 주행속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노면의 상태, 곡선반지름, 학성물매, 곡선길이, 종단물매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차량의 주행속도는 임도시설규정에서 제시된 설계속도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적재시(적차)의 주행 속도는 비적재시(공차)에 비해 70-85%의 값을 보였다. 그리고 노면의 상태에 따라 곡선반지름과 종단물매의 증가에 따른 주행속도의 변화를 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가존의 임도 뿐만 아니라 향후 개설될 임도의 질을 판단하고, 임도에서의 주행속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임도 구조의 선택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임도망의 계획에 있어서 GIS 활용방안 (Application Method of GIS for Planning of Forest Road Network)

  • 전권석;마호섭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99-106
    • /
    • 2002
  • 임도망 계획시 GIS의 활용은 시공전에 노선을 평가할 수 있어 노선선정의 잦은 변경에 따른 불필요한 노력과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임도망의 종합적인 계획을 위하여 지형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경남 남해군에 위치한 금산주변의 국유림을 대상으로 노선선정기준에 따른 합리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임도망의 계획방법을 제시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효율적인 노선선정을 위하여 분석항목별 노선통과의 적합성 여부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각 격자에 가중치(점수)를 주었으며, 구조적인 측면의 종단물매와 생산적인 측면에서 투자효과의 최대화에 의한 2가지 노선선정기준에 따라 임도망을 계획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종단물매를 고려하여 임도망을 계획한 결과, 총연장 및 임도밀도는 20.41km, 6.92m/ha로 나타났으며, 구조적인 측면의 종단물매와 투자효과의 최대화에 의한 방법을 조합하여 노선을 계획한 결과 총연장 및 임도밀도는 21.15km, 7.17m/ha로서 구조적인 측면의 임도망 계획결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GIS 기법에 의한 임도망의 계획은 각 대안별 평가를 통하여 최종 의사결정자가 최적의 임도망을 선택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체계로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 PDF

의궤에 기록된 건축도(建築圖) 물매(勿每, 水每)에 관한 연구 - 단면도로서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ulmae, Architectural Drawing Recorded on Uigwes - Focusing on the Possibility as a Cross-sectional Drawing -)

  • 이상명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6호
    • /
    • pp.57-65
    • /
    • 2020
  • This study covered the Mulmae, architectural drawing recorded on Yeonggeon-uigwes and Sanleung-uigwe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n uigwes, the term 'Mulmae' was used as a mixture until the 17th century, but from the 18th century, the term 'Mulmae(勿乙每, 勿每, 水每)' was unified into 'Mulmae(水每)'. The paper of the Mulmae was made to be used during the construction period by using a thick oil paper called Yudun. Four Yudun were connected, and its size was 197.4×141cm, which was rather large. The Yingzaofashi(營造法式) of Song Dynasty describes how to draw a longitudinal section on a scale of 1/10. The scale of 1/10 was the maximum when comparing the size of the Mulmae with the buildings in uigwes. A sectional drawing of Gongpo in Geunjeongjeon was drawn on a scale of 1/10. There is a testimony that a senior carpenter drew a cross-section on a scale of 1/10. Therefore, it was determined that the scale of the longitudinal section drawn on the Mulmae paper was 1/10. The term 'the Mulmae' was used equally by carpenter active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scope of the painting was clarified from pillar to rafter. Uigwes records that the Mulmae was made for wood processing. Through thi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Mulmae painted the entire structure as a longitudinal section.

임도사면(林道斜面)의 붕괴(崩壞)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Landslide in the Slope of the Forest Road)

  • 오재만;전근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7권1호
    • /
    • pp.35-41
    • /
    • 1990
  • 본 연구는 임도개설(林道開設)에 의해 조성되는 성토사면(盛土斜面)과 절토사면(切土斜面)에 대해 강우(降雨)등에 의한 붕괴(崩壞)를 사면(斜面)물매와 길이의 차이에 따라 조사하여, 임도사면(林道斜面) 유지에 적절한 물매와 사면(斜面)길이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기간중에 집중호우(集中豪雨)가 없어 대규모의 침식(侵蝕)과 퇴적(堆積)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금번의 측정(測定)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A, B임도사면(林道斜面)에서의 붕괴발생율(崩壞發生率)은 각각 75%, 50%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는 67%의 붕괴발생율(崩壞發生率)을 보여 피복(被覆)이 안된 나지상태(裸地狀態)에서는 상당한 구역(區域)에서 토사이동(土砂移動)이 발생하였다. 2. 사면(斜面)물매에 따른 붕괴(崩壞)는 성토사면(盛土斜面)에서는 $36^{\circ}{\sim}38^{\circ}$, 절토사면(切土斜面)은 $42^{\circ}{\sim}43^{\circ}$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따라서 성토사면(盛土斜面)은 $36^{\circ}$이하로, 절토사면(切土斜面)은 $42^{\circ}$이하로 사면(斜面)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사면(斜面)길이에 따른 붕괴(崩壞)는 성토사면(盛土斜面)은 피복(被覆)되지 않은 곳에서는 어떤 경우에도 붕괴(崩壞)가 발생하였으므로 사면피복(斜面被覆)이 선결과제이며, 절토사면(切土斜面)에서는 사면길이를 4m이하로 시공(施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탐방로 노선 계획에 관한연구 -장태산 휴양림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rail Planning for Health -In case of Jangtaesan Recreation Forest-)

  • 이준우;박범진;최윤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34-243
    • /
    • 1999
  • 이 연구는 장태산 휴양림에서 탐방로의 분석을 통해 추후 휴양림의 탐방로 조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장태산 휴양림의 기존 탐방로 A와 B의 거리는 1,273m와 965m이었으며 평균물매는 각각 9%와 14%로 조사되었다. 평균 칼로리 소비량은 탐방로 A를 올라갈 때와 내려갈때가 각각 140kcal와 104kcal이었으며 탐방로 B의 경우는 올라갈 때와 내려갈때가 각각 132kcal 와 89kcal로 조사되었다. 평균보행시간은 각각 약 18분과 15분으로 조사되었다. 신규 탐방로 노선 선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GIS프로그램인 IDRISI를 이용하여 장태산휴양림의 DEM을 구축한후 탐방로의 노선을 선정하였다.

  • PDF

속리산국립공원내 낙영산 탐방로의 훼손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jury of Trails of Nak-young Mt in Song-ni Mt National Park)

  • 안태원;강현진;정정희;김명옥
    • 한국환경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5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41-47
    • /
    • 2005
  • 본 연구는 속리산국립?공원에 위치하고 있는 낙영산탐방로에 대하여 탐방로 관리와 공원관리에의 기초적인 자료제시를 목적으로 낙영산 탐방로 3곳에 대한 통행량 조사와 탐방로에 대한 훼손존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로서 낙영산을 찾는 등산객은 대부분 공림사를 통해서 낙영산정상을 경유 매표소로 내려오는 비정규 탐방로를 이용하여 있었으며, 이를 분석해본 결과 주차장문제와 탐방객극 인식과 홍보 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림사$\~$낙영산구간에 대한 훼손이 대단히 심각한 상태이며 뿌리노출이 가장 흔한 훼손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낙영산탐방로의 평균 나지폭은 2.6m이며, 평균최대침식깊이는 1.25m이며 종속변수인 침식에 대한 각 요인별 회귀분석결과 경도에 대해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입장객과 물매와는 양의 상관관계나 나타났다. 이는 탐방객의 홍보를 통한 인식의 변화와 탐방객의 입장에서의 적절한 탐방로의 지정과 출입통제와 현재 훼손된 지역에 대한 노면정비와 훼손지복구를 실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