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놀이 공간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nalysis of urban riverfront characteristics of major tributary rivers in Seoul City (서울시 주요 지류하천 수변 특성 분석)

  • Sung Eun Kim;Hyeonjung Nam;Won-Sam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48-448
    • /
    • 2023
  • 도심 속 하천과 그 주변 지역(이하 수변)은 물과 자연환경이 주는 정서적 안정감과 쾌적함, 그리고 건강성을 대표하는 공간으로 도심 속 쉼터이자 힐링의 장소이다. 최근 수변이 도시경관의 질향상, 휴식 및 여가 공간 제공의 기능뿐만 아니라 열섬효과 완화 등 기후변화 대응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도 재조명되면서, 수변이 도시의 발전과 활성화를 이끌어낼 새로운 동력이자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4대 권역하천인 중랑천, 탄천, 안양천, 홍제천을 대상으로 하천과 하천 주변 500m 이내 구역을 하천공간과 수변공간으로 구분하고, 그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하천(제방)으로부터 50m 이내 수변공간에 위치한 도로면적의 비율은 탄천이 40%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에도 중랑천은 31%, 홍제천과 안양천은 28%로 하천변 도로면적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중랑천은 하천공간 내 도로면적이 하천변 50m 이내에 위치한 도로의 면적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안양천, 중랑천, 탄천 대부분의 구간에서는 친수활동을 하기엔 다소 수심이 낮고(0.3m 이하) 유속이 느린 것(0.3m/s 이하)으로 분석되었고, 수질은 대부분의 구간에서 대장균 군수가 기준치를 수십에서 수백 배 초과하고 있어, 최상류 일부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에서 수영·물놀이 등 수상활동이 부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울시민들은 주로 금요일과 토요일, 오후 12시에서 18시 사이에 하천을 가장 많이 방문하며 평균 2시간 정도를 머물렀으며, 대부분 걷기와 산책 활동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도보, 대중교통 등 교통수단에 따른 하천진출입로 인근평균인구 대비 접근 가능 인구비율을 산출하여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 중랑천과 홍제천에서는 수변지역 내 평균인구의 20~30%가 도보 및 대중교통으로 20~30분 이내에 도달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어 접근성이 가장 우수하였고, 안양천은 수변지역 내 평균인구의 15~20%가 30분 이내 도달가능하였으며, 탄천은 수변지역 내 평균인구의 10%미만이 30분 내에 도달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어 탄천의 접근성이 가장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Deriving Process of a Design Alternative to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through Preschooler Participatory (유아참여를 통한 유아숲체험원 설계안 도출과정에 관한 연구)

  • Kang, Tae-S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7 no.5
    • /
    • pp.1-13
    • /
    • 2019
  • This study is to derive a design alternative to the FECC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that meets the preschooler's preferences. For this purpose, preschooler participation is included in each phase of the FECC, the site perception phase, the deriving design elements phase, and the deriving design alternative phase.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the deriving design alternative phase was carried out with kindergarteners and preschoolers (6, 7 years olds; all 41 students) at Songsan-mulbit FECC in Gwangsan-gu, Gwangju. In order to derive the design alternatives, three detailed design processes (preschooler participation 2 times, researcher analysis 1 time), tool construction, and a preschooler participation workshop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preschooler's design process, 41 designs were drawn, and an average of 7.66 spaces were drawn by each preschooler. The 6-year-old males designed the least (average 6.80 spaces) and the 7-year-old females designed the most (9.0 spaces). The physical and adventure play spaces were most common (38.9% to 48.7%) regardless of gender or age. To analyze the feasibility of the preschooler's design using a base map, the appeara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7 items) in the site were analyzed in each of the 41 designs. As a result,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re apparent a total 72 times overall. Simila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ppearing more than once were apparent in 87.8% (26 designs) of designs. Second, three design alternatives were derived: APS- types (intensive planning of active play facility spaces) was presented in 15 designs, NS-types (planning focused on nature spaces) was presented in 14 designs, and SPS-types (planning focused on static play facility spaces) were presented 12 designs. Third, NS-type, which were finally selected through a preference assessment (5-point scale) and a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three alternatives, has mainly natural spaces (forest space, forest path, shelter, natural exploration space, and ecological pond) and active play facility spaces, water play space and soil (sand) play spaces was appropriately designed. Therefore, the NS-type was analyzed as the design alternative that can fully accomplish all types of cognitive development through developed through play (functional play, constructive play, dramatic(symbolic) play).

The Study for Estimation of Instream Flow to Improve Natural & Social Environment (자연.사회환경 개선을 위한 하천유지유량 산정방안 연구)

  • Ko, Ick-Hwan;Kim, Gee-Hyoung;Woon, Seok-Young;Kim, Woo-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14-418
    • /
    • 2008
  • 하천유지유량에 대한 인식과 개념은 시대와 사회, 경제의 발전에 따라 변화되어 새로운 물 배분 패러다임에 입각한 하천유지유량이 정립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하천유지유량의 필요성이 제기되기 시작한 것은 댐 건설 이후부터이며, 하구의 염수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하천에서 기본적으로 유지되어야 할 필요수량을 정하면서 부터이다. 실제적인 하천유역의 관리에서 댐 건설 이전에는 하천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하천유지유량의 설정 자체가 크게 의미를 갖지 못하였다. 우리나라 하천유지유량의 주요 기능은 1960년대 이전에는 하천의 주운기능, 1970년대는 하구의 염수침입방지 기능, 1980년대는 수질보전을 위한 희석용수의 기능으로 인식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 환경에 대한 인식 변화로 수질과 함께 하천생태계 보전의 필요성이 증가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고, 2000년대에 들어서는 자연환경을 중심으로 하는 하천유지유량과는 별도의 용수개념인 사회환경 개선을 위한 환경개선용수의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천유지유량에서 고려하는 항목은 갈수량을 기준으로 하고 하천기능 유지에 필요한 하천생태 및 하천수질 보전을 기본항목으로 하여 고려하도록 하며, 현실적으로 하천유지유량 산정 검토시 부수적인 미미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하천경관, 하구막힘 방지, 지하수위 유지, 하천시설물 보호, 염수침입 방지 등의 항목은 필요항목으로 구분하되 하천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항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경우 감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갈수량의 산정은 반드시 유역 개발과 각종 유수사용, 수공구조물에 의한 유량 조절 효과가 없는 자연상태를 기준으로 산정하도록 하고 어류생태를 고려한 필요유량 산정 시 대표어종은 하천의 특성을 고려하고 지역사회의 의견을 수렴하여 단일어종보다는 생태적 군(Guild, 군(群))을 고려하여 선정하고 최소유량의 개념보다는 계절별 유량변동성을 고려하도록 하였다. 수질보전에 필요한 필요유량 산정 목표는 생태계 서식 및 생육 환경의 보전과 인간의 물 이용 측면에서 요구되는 목표수질을 구분하여 적용하도록 하였다. 하천유지유량 이외에 친수공간 확보, 물놀이, 관광, 하천문화행사 등 사회환경 개선을 위해 하천의 일부구간 또는 일부지역에 필요한 수량은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수혜대상 집단(지자체, 특정 기관 또는 개인 등)의 요구에 의해 발생되는 수량이므로 환경개선용수로 분류하여 별도로 산정하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Plan for Utilizing Historical-Cultural Contents in the River Basin (하천유역에서의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방안)

  • Ho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17-417
    • /
    • 2019
  • 하천의 기능은 공학적 관점에서의 이수, 치수, 환경 기능 외에도 사회적 관점에서 역사 문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우효섭, 2009). 1990년대 말부터 하천복원사업이 본격화 되면서 최근에는 하천환경 기능 외에도 친수를 포함한 역사 문화 기능이 하천관리의 주요 축으로 고려되거나 포함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하천의 역사 문화 기능을 주문하는 요구가 증가한 이유로는 하천복원사업의 지역적 획일화, 친수(심미) 요구 증대, 지역 경제성 제고, 환경(생태, 문화 등) 가치 증대 등 사회경제적 정책적 환경 변화가 기인한 부분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하천의 지속가능하고 효과적인 관리와 보전을 위한 방안으로 하천의 역사 문화적 요소를 사회 경제적, 생태 환경적 요소와 연계하는 접근방식은 유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역공동체가 형성해온 물 문화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하천유역의 역사 문화적 소재 및 자원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조사 수집된 다양한 역사 문화적 소재 및 자원은 하천사업 및 관리의 주요 콘텐츠로 활용되기 위한 창출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사회 경제적, 생태 환경적 요소와 연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역을 대상으로 문헌조사 기반의 사전조사와 심도 있는 현장조사(탐문조사 등) 수행결과를 토대로 향후 하천복원사업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역사 문화적 소재와 자원 등에 관한 콘텐츠를 도출하였다. 또한 콘텐츠 활용방안은 하천 역사 문화 자원의 세부적인 콘텐츠를 아우를 수 있는 테마설정을 통하여 대상지 및 지역특성(치수 안전, 지역요구, 물 문화 가치 등) 등을 고려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친수 측면에서 현재 수변공간을 이용하는 방문자수, 목적(산책, 스포츠, 낚시, 물놀이, 레저 등) 등에 대한 패턴과 지역 인구 현황, 접근 인프라(교통, 이동로, 편의시설 등), 주민 요구도 등 잠재적 친수도는 물 문화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주요한 고려사항이라 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Deduction of the Forest Play Activity and Space through Preschooler Participatory Workshop (유아참여 워크숍을 통한 숲놀이 활동 및 공간 요소의 도출에 관한 연구)

  • Kang, Taes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6 no.5
    • /
    • pp.69-81
    • /
    • 2018
  • Recently, user participatory workshops have been applied as a way to plan landscape spaces that reflects the needs and demands of the users. It is also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ECC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which is growing rapid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t the design elements (forest play activities and space), the basic needs, and the demands of users in making the FECC a preschooler participatory workshop. For this, materials for preschooler participation were selected, and a step-by-step workshop was conducted to satisfy the demands of the preschooler's development. First, in the pre-workshops phase, design elements standards were deducted through the preschooler participatory results (41 children aged 6 and 7, Kindergarten). Second, in the main workshop phase, the design elements to be introduced on the site (Songsan-mulbit FECC) were deducted through the participating preschooler's selection and those results were analyzed. The materials used at the preschooler participatory process were 'drawing a picture' in the pre-workshop phase, and the design elements and the standard types charts were the forest play activity pictogram chart, and the forest play space general images chart in the main workshop. As for results, frst, there are 38 standard types of forest play activities that have been deducted. It consists of 27 cognitive activities (functional 16, constructive 4, symbolic 4, game on rule 3), 9 games (sensory 5, other 4), and two social play activities (solo, group). There are 21 standard types of forest play spaces. They consist of 8 play facility spaces (5 facility, 3 natural), 2 water spaces, and 11 spaces of 5 types. Secon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results to the site, the forest play activities to be introduced on the site were selected, and the functional play was most selected. Additionally, climbing and water play were most selected as the unit activities. Also, functional, constructive, symbolic, games based on rules were selected, even in the preschooler's development play. In the case of the forest play spaces to be introduced in the site, the preschooler's selection results by sex and age tended to be similar to the preschooler's comprehensive selection results, but the boys preferred function and adventure spaces more than the girls, while the girls preferred rest spaces more than the boys. This result is similar to the previous study results, which directly observed the preschooler's forest play behavior, and analysis that the preschooler recognized the site and selected the design elements introduced on the site. Therefore, the participatory workshop process and the materials process in this study are analyzed and appli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It is valuable as a case to be applied in design of the FECC from this point forward.

Measurement Scale Development of Waterpark Service Quality (워터파크의 서비스품질 척도개발)

  • Kwak, Han-Pyong;Kim, Kyong-Sik;Lee, Cha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
    • /
    • pp.426-435
    • /
    • 2010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dex of service quality of waterparks and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dex. This study represents the waterparks user population in 2009, and 250 people were extracted by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In other words, five locations have major waterparks were chosen and 50 people per each location were collected. Conference, panel surve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hile item analysis, interrater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ere conducted to probate the reliability. Through these methods and proced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like these; (i) Validity of this index was significantly high and the index include amenity/cleanness, safety, price, programs, facilities, accessibility and promotion. Among them, amenity/cleanness was the major factor for the validity value; (ii) Reliability of this index was also high. There are high correlations between questions and fields and questions and total score. And the Cronbach's $\alpha$ values of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over 0.603 except in the case of promotion which was below 0.6. After all the analysis, the index of service quality proved to be very proper and reliable index. Therefore, the major factors of service quality have to be figured out and reflected to the management innovation to improve service quality of waterparks.

Development of Operation Control and Warning System of Movable Weir for River Safety Management (안전한 하천관리를 위한 가동보 방류제어 및 경보 시스템 개발)

  • Kim, Phil Shik;Kwon, Hyung Joong;Lee, Jae Hyouk;Cho, Bum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58-558
    • /
    • 2015
  • 하천 시설물은 홍수시 혹은 비상시 운영할 수 있는 경보시스템이나 관리지침 등의 마련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가동보 시설물에 대한 비상시 운영 메뉴얼 및 경보시스템이 구축되지 못한 실정이다. 4대강 살리기 사업이나 하천정비사업과 같은 대표적인 하천관련 사업에서 단순한 하천 이 치수 목적뿐만 아니라 소수력 발전, 친수공간조성 등의 다목적 활용을 위하여 가동보 설치 사업이 다수 수행되었으며, 현재 국내 하천에 약 1,200여개의 가동보가 설치 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목적 활용을 위하여 가동보의 수요가 급증하는데 반해, 각 설치 현장 상황에 적합한 가동보 운영지침이나 비상경보시스템이 구축되지 못한 실정이며, 적절한 지침 없이 관행적인 가동보 방류로 인한 물놀이 안전사고나 인명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2년 11월에는 하천 제수변 공사를 위해 전주천에 설치한 가동보를 임시적으로 방류하였는데, 하류측의 안전을 확인하지 않고 관행적으로 가동보를 방류하였고, 경보시스템의 부재로 인하여 가동보 하류측 징검다리를 건너는 유치원생들이 급류에 휩쓸리는 사고가 발생하였고, 최근 2014년 5월에는 수원시에 위치한 원천저수지 여수로 둑에 설치된 가로 34m 높이 1.6m 크기의 가동보가 공기압축기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보 높이가 낮아지면서 약 30분 원천저수지 하류의 원천리천에 갑자기 무리 불어나 산책로가 침수되고 인근에 산책하던 주민들이 휩쓸려 떠내려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해외에서도 가동보 운영 미숙으로 인하여 인명사고가 발생하는데, 2008년 11월 호주에서는 하류측 상황 점검이나 경고 방송 없이 가동보를 도복시켜 4살 여아가 급류에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국외의 경우에는, 상류측 홍수 수위나 하류측 역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가동보의 높이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러한 시스템 역시 단순한 수위조절 기능으로서 가동보의 방류량을 제어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가동보를 운영하기 위한 조작시스템은 국내의 경우, 조작실의 조작판넬을 이용하여 가동보의 기립/도복 조작이나 원격 조작 기능과 같은 단순기능만을 구비하고 있어 가동보 방류시 하류측의 범람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동보 방류에 의한 하류측 범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 가동보 도복에 의한 방류량 산정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2) 방류량에 따른 하류측 수위상승 범위 예측 기법을 개발하고, (3) 가동보 도복 속도를 제어하는 방류량 제어시스템을 개발하고, (4) 가동보 방류에 의한 비상경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Operation Control and Warning System of Movable Weir for River Safety Management (안전한 하천관리를 위한 가동보 방류제어 및 경보 시스템 개발)

  • Kim, Phil Shik;Kwon, Hyung Joong;Lee, Jae Hyouk;Park, Hyun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45-245
    • /
    • 2017
  • 하천 시설물은 홍수시 혹은 비상시 운영할 수 있는 경보시스템이나 관리지침 등의 마련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가동보 시설물에 대한 비상시 운영 메뉴얼 및 경보시스템이 구축되지 못한 실정이다. 4대강 살리기 사업이나 하천정비사업과 같은 대표적인 하천관련 사업에서 단순한 하천 이 치수 목적뿐만 아니라 소수력 발전, 친수공간조성 등의 다목적 활용을 위하여 가동보 설치 사업이 다수 수행되었으며, 현재 국내 하천에 약 1,200여개의 가동보가 설치 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목적 활용을 위하여 가동보의 수요가 급증하는데 반해, 각 설치 현장 상황에 적합한 가동보 운영지침이나 비상경보시스템이 구축되지 못한 실정이며, 적절한 지침 없이 관행적인 가동보 방류로 인한 물놀이 안전사고나 인명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2년 11월에는 하천 제수변 공사를 위해 전주천에 설치한 가동보를 임시적으로 방류하였는데, 하류측의 안전을 확인하지 않고 관행적으로 가동보를 방류하였고, 경보시스템의 부재로 인하여 가동보 하류측 징검다리를 건너는 유치원생들이 급류에 휩쓸리는 사고가 발생하였고, 최근 2014년 5월에는 수원시에 위치한 원천저수지 여수로 둑에 설치된 가로 34m 높이 1.6m 크기의 가동보가 공기압축기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보 높이가 낮아지면서 약 30분 원천저수지 하류의 원천리천에 갑자기 무리 불어나 산책로가 침수되고 인근에 산책하던 주민들이 휩쓸려 떠내려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해외에서도 가동보 운영 미숙으로 인하여 인명사고가 발생하는데, 2008년 11월 호주에서는 하류측 상황 점검이나 경고 방송 없이 가동보를 도복시켜 4살 여아가 급류에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국외의 경우에는, 상류측 홍수 수위나 하류측 역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가동보의 높이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러한 시스템 역시 단순한 수위조절 기능으로서 가동보의 방류량을 제어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가동보를 운영하기 위한 조작시스템은 국내의 경우, 조작실의 조작판넬을 이용하여 가동보의 기립/도복 조작이나 원격 조작 기능과 같은 단순기능만을 구비하고 있어 가동보 방류시 하류측의 범람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동보 방류에 의한 하류측 범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가동보 도복에 의한 방류량 산정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2) 방류량에 따른 하류측 수위상승 범위 예측 기법을 개발하고, (3) 가동보 도복 속도를 제어하는 방류량 제어시스템을 개발하고, (4) 가동보 방류에 의한 비상경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