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화운동

검색결과 786건 처리시간 0.021초

인터뷰 - '기억투쟁과 문화운동의 전개' 저자 정근식을 만나다

  • 정근식
    • 도서관문화
    • /
    • 제45권6호통권349호
    • /
    • pp.42-44
    • /
    • 2004
  • 이번 도서관문화 6월호에서는 최근 ‘기억투쟁과 문화운동의 전개’라는 책을 공동 집필하여 주목받았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정근식 교수를 만나, 사회적 기억의 중요성과 기억 보존을 위한 투쟁과정에서 전개되는 문화운동과 관련한 도서관의 역할 등을 내용으로 대화를 나누었다.

  • PDF

문화적 실천으로서 사회운동의 변화: 두리반 운동을 중심으로 (New Social Movement in the Form of Cultural Practices: A Case Study of Dooriban Movement)

  • 옥은실;김영찬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3권
    • /
    • pp.53-75
    • /
    • 2013
  • 한국 사회운동에 관련한 논의는 주로 1980년대 정치변동이 일어나며 대립되는 양 진영 간의 갈등이 발생하는 지점으로부터 시작한다. 1961년부터 26년 간 지속된 군부 통치 체제에 반대했던 세력을 중심으로 1987년 6월 항쟁이 발생한 이후, 한국 사회운동에서는 줄곧 민주화 운동과 맞물린 문제제기가 이뤄져 왔다. 이와 더불어 산업화가 활발하게 진행되며 나타난 노동자의 인권문제 또한 사회운동 영역의 중요한 화두였다. 그러나 민주화, 산업화 등의 다양한 사회 변동으로 사회운동의 주제 또한 복잡해지고 다원화 되고 있다. 최근에는 서구 사회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여성인권운동 및 환경운동을 포함해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띤 이주자, 농어촌, 외국인 노동자, 재개발 문제 등으로 한국 사회운동의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두리반 운동 또한 다양한 사회운동의 한 갈래에 포함된다. 강제 철거에 저항했던 이 운동은 기존 방식과는 다르게 운동 참여자인 각 주체가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운동을 주도하는 새로운 사회운동 방식을 제시하는 단초 역할을 했다. 두리반 운동은 사회운동을 통한 문화생산이 가능하다는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이 운동이 갖는 사회적/문화적 의미에 대한 학술적 논의는 미미한 상태이다. 특히 기존 사회운동 연구에서는 운동의 주제에 치중한 나머지 운동 참여자의 역할을 면밀히 다루지 못한 한계를 드러낸다. 이 연구의 목적은 두리반 운동 참여자들의 사회운동으로서 문화적 실천 행위를 분석해 그 사회 문화적 함의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두리반 운동 당시 행해진 문화행사들의 주최자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는 한편, 연구자가 직접 현장을 방문해 참여 관찰한 내용을 기반으로 운동 중 나타났던 문화적 실천들이 갖고 있는 의미와 이를 통해 지향하고자 했던 바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에콰도르 원주민 운동과 파차쿠틱의 경험: '정치의 종족화'와 '상호문화적 딜레마'를 중심으로 (Ecuadorian Indigenous Movement: The Role of Pachakutik)

  • 이성훈
    • 비교문화연구
    • /
    • 제49권
    • /
    • pp.249-274
    • /
    • 2017
  • 1980년대 이후로 가장 주목할 만한 사회 운동으로 평가되던 에콰도르 원주민 운동은 2000년대 들어 침체기에 들어선다. 특히 코레아 정권의 등장과 함께 원주민 운동이 급격하게 약화된 사실은 에콰도르 원주민 운동의 성격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이 글에서는 에콰도르 원주민 운동이 2000년대 들어 정치적 역량이 약화되고, 코레아(Correa) 정권이 들어서면서 위기를 겪게 된 과정을 파차쿠틱의 사례를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2000년대 초반까지 에콰도르 원주민 운동은 CONAIE를 통해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CONAIE는 선거를 통해 자신들의 요구를 제도권 정치 속에서 해결하기 위해 파차쿠틱이라는 독립적인 정치 조직을 결성했다. 그러나 1990년대의 의미 있는 성과에도 불구하고, 2000년대 들어 선거참여 전략은 원주민 운동의 지속적인 성장에 기여를 하지 못했다. 따라서 원주민 운동의 성장과 침체과정을 파차쿠틱 및 '정치의 종족화'와 '상호문화적 딜레마'를 통해 살펴보는 작업은 향후 원주민 운동의 방향성과 관련해 일정한 시사점을 줄 것이다. 원주민 운동은 변화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지금까지의 선거 전략과 원주민 담론에서 벗어나, 상호 문화적인 담론과 전략을 통해 운동을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책선물 운동 펼치는 별난 공무원-서울 은평구청장 김치운씨

  • 최태원
    • 출판저널
    • /
    • 통권93호
    • /
    • pp.11-11
    • /
    • 1991
  •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면서 문화적 도시로의 탈바꿈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시점에서 가장 적절한 방편으로 독서운동이 떠오르더군요" 김구청장은 "가장 손쉬운 듯하면서도 실상 어려운일"인 독서가 인간성을 회복케 하는 바람직한 문화활동이라는 소신에서 이 운동이 비롯되었다고 전했다.

  • PDF

interview - 서울문화재단 유인촌 대표를 만나다

  • 박경아
    • 도서관문화
    • /
    • 제45권9호통권352호
    • /
    • pp.40-44
    • /
    • 2004
  • 우리 협회는 최근 서울문화재단, 서울시공공도서관협의회와 공동으로 '책 읽는 서울-기초 예술 책부터 시작이다'라는 주제로 독서 운동을 시작했다. 이 운동은 서울문화재단의 제의로 논의가 시작되었으며, 지난 9월 4일 서울시청 광장에서 개막식을 갖고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에 이번 호는 30년 넘게 연극 배우로, 대학 교수로, 극단 대표로 활동해오다, 지난 5월부터 새로 출범한 서울문화재단을 책임지고 있는 유인촌 대표를 남산에 위치한 재단 사무실에서 만났다.

  • PDF

세상에서 가장 쉬운 환경운동 다섯 가지!

  • 한국자연공원협회
    • 공원문화
    • /
    • 통권84호
    • /
    • pp.36-37
    • /
    • 2009
  • 우리는 흔히 '환경운동'은 몇몇 특별한 사람들이 실천하는 운동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지구를 살리는 환경운동은 의외로 쉽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쉬운 환경운동을 소개합니다.

  • PDF

정보보호 문화운동, 세계는 지금

  • 정세정
    • 정보보호뉴스
    • /
    • 통권134호
    • /
    • pp.24-25
    • /
    • 2008
  • 지난달 10월 $12{\sim}17$일 페루 리마에서 제38차 APEC TEL 희의의 일환으로, '사이버 보안 인식제고 워크샵(Cyber Security Awareness Raising Workshop)'이 개최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호주 등 정보보호 문화운동이 우수한 국가들이 활동현황이 소개되는 한편, 국가간 의견 공유가 이뤄졌다. 그 가운데 우리나라의 정보보호 인식제고 활동이 자세히 소개되면서 APEC 회원국으로부터 집중 관심을 받기도 했다.

  • PDF

1980년대 영화의 정당화 과정으로서의 기회구조 분석 -민중 문화 운동과 영화시장 개방을 중심으로- (Opportunity Structure Analysis as Cultural Legitimation of Film World after the 1980s -the case of Popular Culture Movement & the Opening of Film Industry-)

  • 김정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25-136
    • /
    • 2013
  • 이 논문은 1980년대 이후 한국에서 영화의 사회적 위상이 올라가는 과정을 사회학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영화의 위상 변화는 사회에서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는 정당화 과정으로 인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동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운동 이론에서 다루는 기회구조 개념을 논의의 배경으로 삼았다. 기회구조는 동원집단(=영화계) 외부에 존재하는 변수를 의미하며, 본론에서 기회와 위협요인으로 제시된다. 영화의 정당화 과정에 기회로 작용한 요소는 80년대 민중문화운동을 통한 영화 신진 인력의 투입이다. 반면, 위협요소는 미국 영화계의 산업적인 침투와 이에 대한 영화시장의 개방이다. 각각의 요소는 영화계 외부의 변수로 작용하였고, 영화의 정당화 과정에 있어 보완재와 경쟁재로 작용하였다. 1980년대 이후 민중문화 운동은 영화를 의미 있는 문화적 산물로 정당화 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또한, 미국 영화계의 위협은 한국 영화계 내부의 합리성과 경쟁구도를 역동적으로 변화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