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화어

검색결과 538건 처리시간 0.032초

한중 미각어 '달다', '첨(甜)'계열 어휘의 의미 확장 및 의미구성 양상 대조 연구

  • 이선희;김미금
    • 중국학논총
    • /
    • 제64호
    • /
    • pp.75-98
    • /
    • 2019
  • 味觉是人类感受的基本五感之一. 味觉语不仅表现为味道, 还扩展到多个领域, 因为这种语义扩展与我们身体经验有着密切的联系, 所以在多种语言中可以发现其相似性. 但是由于语言使用者的文化, 价值观与思维方式等方面的差异, 所以味觉语也存在着差异. 本论文聚焦于此类现象, 以韩语和汉语的味觉形容词"달다"与"甜"词类的词汇为研究对象, 首先进行了形态结构和基本意义方面的对比. 以此词类为基础, 通过汉韩语的语料分析, 并提出了具体事例, 考察了语义扩展的过程. 接下来根据认知语言学的概念合成理论, 对其机制进行对比分析, 发现了如下特点:韩语的味觉语"달다"与汉语的"甜"在词典上的基本意义都是"蜂蜜或糖的味道". 两种语言的"달다"与"甜", 都是嗅觉, 听觉, 感情, 视觉, 触觉等在其他领域的语义扩展, 是对甜味的肯定经验, 被概念化为积极价值. 相反, 在感情与视觉领域的部分语义扩展中存在两种语言的差异. 除此之外, 在价值意义上, "달다"与"甜"除了具有积极价值意义外, 也具有否定价值意义. 通过本研究, 我们了解到了对人类体验的普遍性以及韩中语言文化圈的特殊性是如何在味觉语"달다", "甜"中体现出来的.

선행하는 행(行)에 의해 긴장되는 시조: 왕방연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The Sijo Strained by the Preceding Line: Focusing on the Works of Bang-yeon Wang)

  • 박인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149-15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조의 긴장의 유형을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왕방연의 시조를 대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왕방연의 시조는 잘 알려지지 않고 있어 논의해 보기로 하는 것이다. 왕방연의 시조는 수식어가 다음 문장에 긴장을 일으키며 의미를 전달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학적 틀은 문학치료의 프로그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상징어 어근으로 형성된 한국어 성격 형용사 연구 (A Study on Character Adjectives in Korean that Have Symbolic Words as Roots)

  • 김홍범;권경일
    • 비교문화연구
    • /
    • 제19권
    • /
    • pp.233-250
    • /
    • 2010
  •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features of Korean adjectives composed with symbolic base impling human character. Korean adjectives composed with symbolic base shows more delicate nuances than ordinary adjectives. For observing the feature of them we analyzed the 6000 symbolic words in 'Stanadard Korean Dictionary'. As a result,the symbolic base of adjectives is divided into the one that maintain the basic meaning of symbolic words and the other that do not maintain basic meaning of symbolic words. The base that maintain the basic meaning of symbolic words is divided into the one that has meaning of character and the other that do not has meaning of character. The base that do not maintain the basic meaning of symbolic words is divided into the one that can relate with '-hada' and the other that cannot relates with '-hada'. This study remains the problem in future to examine common points of symbolic base.

러시아어 슬랭의 주제별 그룹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matic Groups of Russian Slangs)

  • 김성완
    • 비교문화연구
    • /
    • 제23권
    • /
    • pp.321-34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langs used in contemporary Russian. In any kind of social group, there are special jargons used to satisfy special needs of verbal communication and express individual affiliation compared with neighboring parties, apart from standard languages popularized in each society. Some of these jargons belong to a category of common usual language, while others are temporarily popularized but disappear. It is undeniable that these languages are a product of our social language phenomena in addition to the presence of standard language. Thus, it is very essential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these linguistic phenomena as well as standard languages. In this study, Chapter 1 examines the definition of slang as one of most important topic with a view to achieve desired goals hereof. Next, Chapter 2 sets the scope of subjects for this study. Chapter 3 subdivides subjects into each group by topic for analysis within the scope as set in the previous chapter. This analysis gives a basis on which we can understand linguistic phenomena and identify any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ople who use languages. This study comes to its conclusions with summary of findings from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러시아어 동사 상의 범주적 속성: 유형론적 관점과 문법화를 배경으로 (Categorial Character of Russian Verbal Aspect: Typological Perspective and Grammaticalization)

  • 홍택규
    • 비교문화연구
    • /
    • 제33권
    • /
    • pp.461-49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analyze categorial character of Russian verbal aspect from the typological perspective. To do this, first of all we will examine the overall historical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of Russian verbal aspect. As a result of analysis, we have suggested that against wide-spread general assumptions in this area Russian verbal aspect correspond rather to lexico-grammatical category, than to purely typical grammatical category. Actually, I think this kind of approach as a pivotal point for the study of Russian verbal aspect. For example, this kind of typological approach has great advantages in a sense that firstly it gives us possibility of breaking from notorious routine Slavic-Centrism, secondly it can explain sufficiently and adequately various lexico-semantic usages of Russian verbs. Thirdly, our approach consistently accounts for various interactions of lexico-semantic, grammatical, discourse-pragmatic levels, in which Russian verbal aspect is involved. And finally, it sheds light on functional interactions between verbal categories, such as aspect, tense, and mood.

과제 유형에 따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용어 이해 실태 양상 (Status of Korean Idiom Understanding for Chinese Learners of Korean according to Tasks)

  • 이미경;강안영;김윤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58-668
    • /
    • 2015
  • 현재 한국에서 수학하고 있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숫자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들이 한국어를 익히고 한국 사회에서 생활하기 위해서는 그 나라의 문화적 특색을 많이 포용하고 있는 관용어에 대한 이해가 수반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라남도 S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과제유형(문맥여부, 친숙도, 투명도)에 따른 관용어 이해 양상을 살펴보고, 나아가 한국 거주기간, 한국어 능력 및 전공에 따른 관용어 이해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이들의 오류 패턴 분석을 통해 한국의 관용어를 어떠한 방식으로 이해하고 있는 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이들은 과제유형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변인에 따른 관용어의 이해에 있어서는 성별, 한국어 능력 및 전공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용어 이해에서 오류 패턴을 살펴본 결과 독립과제에서는 문자적 오류 외의 오류 비율이 높았으며, 문맥과제에 있어서는 문맥과 관련한 오류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맞춤형 정보공개 서비스를 위한 이용자 요구 분석 및 지능화 방안: 문화예술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User Needs Analysis and Intelligence Plans for Customized Information Disclosure Service: Focus on Public Institutions of Culture and Arts)

  • 최정원;나정호;오효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79-97
    • /
    • 2021
  • 정보공개제도는 투명한 정부라는 민주적 대의와 국민의 알 권리 향상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국민들의 관심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있어 문화예술의 중요성 역시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많은 문화예술기관에서는 시의적절하고 유용한 정보와 관심도 높은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예술 활동 참여 확대에 기여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기관에 대한 이용자 정보요구를 파악하여 지능적으로 정보공개 서비스에 반영하는 맞춤형 정보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3개의 국내 문화예술 공공기관을 대표 사례로 선정, 1년여의 기간 동안 실제 이용자들이 접수한 정보공개청구 목록과 검색어를 수집 및 교차 분석함으로써 이용자 관심도와 정보요구 양상을 파악한다. 나아가 정보공개 업무의 자동화 및 지능화를 위한 필요사항을 정리하고 이용자 요구 중심 정보서비스를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다국어 범용 의존관계 주석체계(Universal Dependencies) 적용 연구 - 한국어와 일본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Universal Dependency Tagsets)

  • 한지윤;이진;이찬영;김한샘
    • 비교문화연구
    • /
    • 제53권
    • /
    • pp.163-192
    • /
    • 2018
  • 이 논문은 형태통사적 특성이 유사한 한국어와 일본어의 다국어 범용 의존관계 주석체계(Universal Dependencies, 이하 UD) 적용 사례를 살펴보고 비교 분석을 통해서 한국어의 UD 적용 및 개선 방안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교착어적 특성으로 인하여 어미와 조사가 매우 발달되어 있다. 그러므로 영어와 같은 굴절어를 중심으로 설계된 UD를 적용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UD를 구성하는 범용 품사 주석(Universal POS, 이하 UPOS)과 범용 의존관계 주석(Universal Dependency Relations, 이하 DEPREL)의 적용과 그에 따른 논의들을 검토하였다. UPOS의 경우 AUX(조동사 표지), ADJ(형용사 표지), VERB(동사 표지)처럼 서술어와 관련된 주석 표지의 처리와 조사, 어미와 같은 기능어의 처리 방안을 살펴보았으며 접속사 및 이와 관련된 단위를 어떻게 처리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DEPREL과 관련해서는, 구문 표지를 주석하는 기본 단위의 문제에서 출발하여 통사적 문제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지배소 설정 방식과 병렬 구조의 주석 방식, case(격 관계 표지)와 aux(조동사 관계 표지) 주석 방식을 검토하였다. 다양한 관계 주석 표지 중에서 특히 case와 aux에 집중하여 논의한 것은 한국어와의 주석 표지 적용 양상을 비교했을 때 분포 상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case는 한국어와 일본어 모두 조사와 관련이 있고, aux는 한국어에서는 보조용언, 일본어에서는 조동사와 관련이 있는 표지이다. 구체적인 주석 양상을 살펴본 결과 일본어의 aux는 서법 조동사뿐만 아니라 동사에 문법적 의미를 더하는 요소, 한국어의 어미에 해당하는 형태에도 aux를 할당하기 때문에 주석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iobj(간접목적어 관계 표지)와 관련해서는 일본어에서 간접목적어를 인정하는 데에 반해 한국어에서는 간접목적어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았다. 일본어의 UD 주석에서 형태 분석 기본 단위인 '단단위'를 기본 구문 주석 단위로 하되 '장단위'와 문절 정보를 이용하는 것처럼, 한국어에서도 형태 분석 단위를 의존관계 주석의 정보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테마기획 - 부적과 인쇄

  • 윤재호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30호
    • /
    • pp.62-67
    • /
    • 2004
  • 나라마다 모양과 형태는 다르지만 부적(부작)이 있다. 이 부적은 종교를 떠나 지금은 재미, 장식 등으로도 활용되고 있으며, 심지어 컴퓨터와 휴대전화에도 부적이 자리를 잡고 있다. 그리고 부적의 생활화에는 인쇄라는 매체가 있었기에 가능할 수 있었다. 이에 본지에서는 인쇄가 부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 PDF

재고도서 할인판매는 우리 모두를 결딴낸다

  • 김성재
    • 출판저널
    • /
    • 통권220호
    • /
    • pp.4-4
    • /
    • 1997
  • 휴면도서를 덤핑 처리하는 것은 출판경영의 합리화와는 동떨어지는 일이다. 오히려 지금 우리가 생각할 것은 휴면도서의 처분 문제가 아니고 도서판매의 불확실성에 대비해 어는 수준의 적정재고를 둘 것인가이다. 과다재고의 근본원인인 과잉생산, 과잉송품을 줄이는 방책을 연구하는 일이 급선무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