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atus of Korean Idiom Understanding for Chinese Learners of Korean according to Tasks

과제 유형에 따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용어 이해 실태 양상

  • Received : 2015.05.08
  • Accepted : 2015.06.28
  • Published : 2015.10.28

Abstrac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tested the effects of context, transparency, familiarity and related variables on comprehension of 32 idioms in 87 Chinese learners of Korean who were attending the S university in Jeonnam providence. In the first assessment, idiomatic phrases were presented out of context. In another assessment, idiomatic phrases were embedded in supportive story contexts. To examine the difference based on task types, paired t-test or one-way ANOVA was used to test differences on related variables such as TOPIK, years of residence in Korea, major and etc. on idiom comprehen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ask type, familiarity and transparency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idiom comprehension for Chinese learners of Korean. Second, the related variables such as TOPIK, and maj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diom comprehension. Third, percentage of context related interpretation error in context task was the highest. Literal interpretation errors were followed by it. It means they have a tendency to use contextual cues and semantic analysis of the phrase to comprehend Korean idioms. The results of study will be used to make a plan for teaching Chinese learners of Korean.

현재 한국에서 수학하고 있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숫자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들이 한국어를 익히고 한국 사회에서 생활하기 위해서는 그 나라의 문화적 특색을 많이 포용하고 있는 관용어에 대한 이해가 수반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라남도 S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과제유형(문맥여부, 친숙도, 투명도)에 따른 관용어 이해 양상을 살펴보고, 나아가 한국 거주기간, 한국어 능력 및 전공에 따른 관용어 이해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이들의 오류 패턴 분석을 통해 한국의 관용어를 어떠한 방식으로 이해하고 있는 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이들은 과제유형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변인에 따른 관용어의 이해에 있어서는 성별, 한국어 능력 및 전공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용어 이해에서 오류 패턴을 살펴본 결과 독립과제에서는 문자적 오류 외의 오류 비율이 높았으며, 문맥과제에 있어서는 문맥과 관련한 오류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4년 국내 외국인 유학생 현황 정보공개, 2014.
  2. 구영산, 오상철, 이화진, 장경숙,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의 교육 지원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1069-108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1069
  3. 김경령, "결혼이민자의 거주 기간별, 언어권별에 따른 한국어 능력 -10개국 출신의 전국 거주자를 대상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38권, pp.1-27, 2013.
  4. 김부경, 채영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용어 교육 목록 구성", 동북아문화연구, 제34권, pp.261-277, 2013.
  5. 김선정, 강현자, "한국어 관용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및 단원 제시", 이중언어학, 제33권, pp.36-56, 2006.
  6. 김은화, "중국인에 대한 한국어 속담과 관용어 교육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제155권, pp.35-42, 2008.
  7. 김정남, 중국 국내 학습자를 위한 관용어, 속담 교 육 현황 분석 및 교육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8. 김희경, 관용어구의 대조언어학적 연구, 한말연구, 제18권, pp.93-126, 2006.
  9. 문금현, 국어의 관용표현 연구, 서울: 태학사, 1999.
  10. 박영순, "제 2언어 교육으로서의 문화교육", 이중언어학지, 제5권, pp.43-59, 1989.
  11. 배규범,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관용어 교육의 실상과 방향-목록선정과 단계별 배치를 중심으로, 2010.
  12. 심혜령,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어휘 교육 연구", 계레어문화, 제41권, pp.89-116, 2008.
  13. 심혜령,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중 관용어 대조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학술대회, pp.103-116, 2009.
  14. 심혜령, 심형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관용어 교육 방안 연구- 중국어와의 대조 분석적 접근을 통하여", 중국문한, 제61권, pp.265-294, 2009.
  15. 왕춘위, 관용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3.
  16. 오소정, 속담 이해능력의 발달: 학령기 아동, 청손년 및 성인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2001.
  17. 이일수, 주진오, "드라마 활용을 통한 한국어교육콘텐츠 개선방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45-55,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4.045
  18. 이진숙, 박소영, "관용어의 친숙도, 성별, 학업성취도가 관용어 이해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2호, pp.465-476, 2010.
  19. 장정정,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관용표현 교육의 수준별 목록 선정 방법, 대불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0.
  20. 조뢰,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관용어 교육 방안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1.
  21. 진은영, 거주 기간 및 학습 기간에 따른 한국어 지시어 습득 양상 연구. 일본어권 아동 및 청소년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1.
  22. 최송아, 홍경훈, "초등학교 5-6학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관용어 이해 능력 비교 분석", 특수교육, 제11권 제3호, pp.167-187, 2012.
  23. 한미연,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관용어 목록 선정과 학습 지도 방안 연구.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1.
  24. 현혜숙, 읽기이해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문맥 유무 및 관용어 유형에 따른 관용어 이해능력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0.
  25. 현혜숙, 김영태, 임동선,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관용어 유형 및 과제제시 방법에 따른 관용어 이해능력", 특수교육학, 제46권, 제1호, pp.173-195, 2011.
  26. 황미연,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을 위한 관용표현 대조 연구", 비교문화연구, 제10권, 제1호, pp.171-192, 2006.
  27. 황정아, 한중 관용어의 표현 양상과 내포 문화 비교,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08.
  28. 홍종명, "결혼이민자 한국어 학습전략 분석 연구", 우리어문연구, pp.419-450, 2012.
  29. 후문옥,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어휘 교육,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0. K. Cain, J. Oakhiill, and K. Lemmon,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 s reading comprehension level and their comprehension of idioms",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Vol.90, pp.65-87, 2004.
  31. K. Cain and A. S. Towse, "To get hold of the wrong end of the stick: Reasons for poor idiom understanding in children with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51, No.6, pp.1538-1549, 2008. https://doi.org/10.1044/1092-4388(2008/07-0269)
  32. R. W. Gibbs, "Linguistic factors in children's understanding of idioms", Journal of Child Language, Vol.14, pp.569-586, 1987. https://doi.org/10.1017/S0305000900010291
  33. R. W. Gibbs, "Semantic analyzability in children's understanding of idiom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34, pp.613-620, 1991. https://doi.org/10.1044/jshr.3403.613
  34. M. C. Levorato and C. Cacciari, "Children's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idioms: The role of context and familiarity", Journal of Child Language, Vol.19, pp.415-433, 1992. https://doi.org/10.1017/S0305000900011478
  35. M. C. Levorato and C. Cacciari, "The effects of different tasks on the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idioms in childre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Vol.60, pp.261-253, 1995. https://doi.org/10.1006/jecp.1995.1041
  36. M. A. Nippold and S. T. TMartin, "Idiom interpretation in isolation versus context: A developmental study with adolesc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32, pp.59-66, 1989. https://doi.org/10.1044/jshr.3201.59
  37. M A. Nippold and M Rudzinski, "Familiarity and transparency in idiom explanation: A developmental stud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36, pp.728-737, 1993. https://doi.org/10.1044/jshr.3604.728
  38. M. A. Nippold, C. Moran, and I. E. Schwartz, "Idiom understanding in preadolescent: Synergy in ac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 Language Pathology, Vol.10, No.2, pp.169-180, 2001. https://doi.org/10.1044/1058-0360(2001/016)
  39. C. D. Qualls, J. M. Lantz, R. M. Pietzyk, G. W. Blood, and C. S. Hammer, "Comprehension of idioms in adolescents with language-based learning difficulties compared to their typically developing peer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Vol.37, pp.295-311, 2004. https://doi.org/10.1016/j.jcomdis.2003.12.001
  40. C. D. Qualls, R. M. O'Brein, G. W. Blood, and C. S. Hammer, "Contextual variation, familiarity, academic literacy and rural adolescents' idiom knowledge",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the Schools, Vol.34, pp.69-79, 2003. https://doi.org/10.1044/0161-1461(2003/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