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화모델

검색결과 1,363건 처리시간 0.029초

GIS를 활용한 효율적인 문화재관리 및 사고예방 (Effective Cultural Properties management and Accident Prevention Using GIS)

  • 송상훈;정종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307-31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문화재 유형 및 위험요인 분석을 통해 문화재사고 위험성 분석 지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역의 문화재 방재 시스템 구축현황 분석, 체크리스트 평가 모델에 의한 문화재사고위험성평가를 통해 도출된 결과로 문화재 관리에 대한 문제점과 종합적인 대책 및 사고 예방을 위한 개선방안 제시로 사고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회화문화재 객체검출을 위한 학습용 이미지 데이터셋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Image Datasets for Object Detection of Painting Cultural Heritage)

  • 권도형;유정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53-855
    • /
    • 2021
  • 본 연구는 회화문화재 속에 표현된 다양한 종류의 객체를 검출할 수 있는 딥러닝 모델생성을 위해 필요한 학습용 이미지 데이터셋 구축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기존 동양화 기반의 회화문화재 이미지 데이터 및 객체 특징 분석을 진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Natural image에 Pose transfer 및 Style transfer를 적용한 새로운 방식의 회화문화재 이미지 데이터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프레임워크를 통해 기존 문화재 분야에서 가지고 있던 제한된 데이터 구축문제를 극복하고, 검출모델 생성을 위한 대용량의 학습데이터 구축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용 음식문화 콘텐츠 개발 모델과 전망 (Developing Model of Food Cultural Contents for Smartphone Application)

  • 최정희;이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453-460
    • /
    • 2012
  • 최근 해외여행에서도 음식 체험이 주가 되는 관광인 '푸드 투어리즘'이 크게 각광받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 가입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푸드 투어리즘을 즐기려는 해외여행자들에게 여행지의 음식문화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해외의 음식문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제작 과정을 통하여 요리와 음식문화가 어떻게 상업성이 있는 콘텐츠로 가공, 개발될 수 있는지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구축한 콘텐츠는 해외 10개국에 현재 거주하거나 장기 거주한 경험이 있는 다수의 음식 전문가들이 언어, 문화, 식품과 음식에 대한 지식을 공유하는 집단지성 체계를 통해 다양한 지역, 풍성한 아이템, 정보의 깊이와 정확성이라는 양적, 질적 수준을 모두 충족시키는 정보로 유저들의 호응을 끌어냈다는 점에서 앞으로 개발될 애플리케이션용 문화 콘텐츠의 제작 모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광역시 독서소외계층 독서문화진흥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and Ways to Improvement Directions of Reading Culture Promotion for Reading Disabl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 송정숙;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89-111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지역 독서소외계층의 독서문화진흥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독서문화진흥 발전방안을 수립하고자 함이다. 부산지역의 공공서관을 비롯하여 독서소외계층시설을 대상으로 독서문화진흥 사업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독서소외계층을 위한 독서문화진흥사업 발전 방안을 도출하고, 부산광역시의 독서문화진흥 발전방안으로 공공도서관과 유관기관 간의 상호협력 모델을 제시하였다.

2004 MX 플래시 컨텐츠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2004 MX Flash Contents)

  • 김명세;홍성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31-134
    • /
    • 2004
  • "사랑은 움직이는 거야" 라는 광고 문구를 보면서 움직임(애니메이션)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단적으로 알수 있다. 이동성이 현대 사회에서 강조되면서 움직임의 패러다임은 인터넷과 홈페이지의 개념을 바꿔 놓았다. 플래시는 이러한 움직임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플래시의 최대 강점은 애니메이션이며, 애니메이션은 고도의 상품 개발 자유도를 가지고 있고, 감성과정서, 오락과 문화를 제공하는 정보기술 산업 및 영상미디어 문화 산업이다. 특히 온라인 네트웍크, 디카, 컬러폰의 대중화로 애니메이션, 게임 등 문화 컨텐츠를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서 국내 대학에서는 이와 관련된 학과들이 수없이 많이 생겨나고 있으나 아직 플래시 애니메이션과 게임 제작에 대한 컨텐츠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쉽게 애니메이션과 게임을 제작할 수 있는 "MX 2004 위한 플래시 컨텐츠 제작"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별도의 패키지 없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전문가들을 위한 3D-MAX, 마야, VRML이 아니라 현재 일반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플래쉬를 이용하여 12가지 기본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게임과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제작방법 등을 수록한 모델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전통문화 콘텐츠 표준체계를 활용한 자동 텍스트 분류 시스템 (A System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Texts)

  • 허윤아;이동엽;김규경;유원희;임희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39-47
    • /
    • 2017
  • 한국 문화의 역사, 전통과 관련된 디지털 웹 문서가 증가하게 되었다. 하지만 창작자 또는 전통 문화와 관련된 소재를 찾는 사용자들은 정보를 검색해도 결과가 충분하지 않았으며 원하는 정보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이런 효과적인 정보를 접하기 위해서는 문서 분류가 필요하다. 과거에 문서 분류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문서 분류하여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비하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최근 기계학습 기반으로 한 자동 문서 분류를 통해 효율적인 문서 분류가 이루어진다. 이에 본 논문은 전통문화 콘텐츠를 체계적인 분류체계로 구성한 한민족정보문화마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통문화 콘텐츠 자동 텍스트 분류 모델을 개발한다. 본 연구는 한민족정보문화마당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 단어 빈도수를 추출하기 위해 TF-IDF모델, Bag-of-Words 모델, TF-IDF/Bag-of-Words를 결합한 모델을 적용하여 각각 SVM 분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전통문화 콘텐츠 자동 텍스트 분류 모델을 개발하여 성능평가를 확인하였다.

특수교사양성과정에서 현장실습학기제 모형개발 기초연구: 교육실습의 이론적 고찰 (A Fundamental Inquiry into The Development of a Framework Implementing Fieldwork in Special Education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 한민경;이주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259-270
    • /
    • 2024
  • 본 논문은 교육실습 이론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특수교육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서 현장실습학기제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교육실습이론의 주요단계인 준비, 적응, 책임 준비, 상호 책임, 평가의 특징을 분석하고, 협력, 실용적인 훈련 및 피드백 교환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 경험 모델인 체험학습 모델, 사회문화 이론 및 관찰의 견습생 모델을 비롯한 실용적 학습 모델을 검토하며, 선행 특수교육 교사들 사이에서 이론과 실무를 연결하고반성적 실천을 촉진하는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더불어, Class-Academy 모델과 PDS 모델 등 두 가지 주요 실습모델을 살펴보고, 이들의 구성, 이점 및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현장실습학기제를 통해 구조화된 실습 경험과 혁신적 모델을 통해 특수교육 교사 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