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헌정보학 연구

검색결과 3,191건 처리시간 0.028초

문헌정보학 연구방법으로서의 이야기 - 내러티브 탐구를 중심으로 - (Narrative Inquiry, As a Research Methodolog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이호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49-172
    • /
    • 2015
  • 이 연구는 문헌정보학 연구방법의 하나로 이야기의 가능성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사회과학적인 인식의 방법으로서 이야기의 가능성과 힘을 논의하고, 서구 사회과학의 해석학적인, 내러티브적인 전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울러 연구의 대상이면서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의 특징과 수행 절차를 소개하고, 문화기술적 연구와 현상학적 연구 등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미국에서의 선행연구 사례를 소개하면서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내러티브 탐구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문헌정보학에 있어서 단행본의 내용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 Analysis of Monograph in Library ana Information Science)

  • 최희곤;남태우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8년도 제5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3-126
    • /
    • 1998
  • 본 논문은 문헌정보학의 연구동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1957년부터 1997년 12월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단행본 1,855종을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이용하여 저자별 생산성, 주제별 생산성, 대학별 생산성, 연구방법별 생산성에 대한 분석을 살펴봄과 동시에 그 결과를 통한 핵심전공주제, 핵심저자, 전공분야별 핵심저자, 언어분석 등을 각각 수량적으로 분석 조사하였다. 이 같은 연구는 문헌정보학의 핵심주제와 관심영역, 주제의 편중과 분포, 학문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가 있었다.

  • PDF

한국문헌정보학 학문영역의 변천 과정에 관한 고찰 - 학술지 논문 주제분석을 기반으로 - (A Study on the Historical Proces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omain in Korea: Based on the Subject Analysis of Academic Journals)

  • 정동열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34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문헌정보학 분야가 학술적 연구활동을 시작한 1970년 이후 문헌정보학 학문영역이 어떠한 형태로 성장하였는지 그 변천 과정을 고찰하였다. 1970년부터 2015년까지 문헌정보학 분야 6개 학회지에 게재된 전체 논문 5,915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및 10년대별로 구분하여 세부주제 내용을 분석하였다. 학문적 연구활동의 매개체인 6개 학회지 논문의 주제분석을 통하여 문헌정보학 학문 전체의 발전 과정은 물론 4대 하위영역별 변천 과정을 제시하였다.

문헌정보학의 교육방향에 관한 고찰 (The Education Direction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김명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1-138
    • /
    • 1997
  • 본 연구는 학부제가 실시되고 있는 현재의 교육개혁 상황 아래에서 대학교육과 학문의 관계, 문헌정보학의 위치, 문헌정보학 현황 및 고등교육개혁과 문헌정보학의 관계를 살펴보고 문헌정보학 교육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정보학의 소속을 인문과학에 두었으며, 학부제의 장단점을 논의하였고, 앞으로의 교육방향을 포괄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문헌동시인용 분석을 통한 한국 문헌정보학의 연구 전선 파악 (Identifying the Research Fronts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Document Co-citation Analysis)

  • 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7-106
    • /
    • 2015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KCI의 데이터를 사용한 문헌동시인용 분석을 통해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 동안의 한국 문헌정보학의 연구 전선을 구체적으로 파악해보았다. KCI 웹사이트로부터 문헌정보학 분야 핵심 논문 159개와 이를 인용한 논문 정보를 수작업으로 수집하였다. 군집 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 결과 27개의 복수 논문 군집과 8개의 단일 논문 군집이 도출되었다. 27개의 복수 논문 군집 중에서 논문 수가 가장 많은 것은 '문헌정보학 교육' 주제 군집이었고, 인용 영향력이 가장 큰 것은 '인용분석 & 지적구조 분석' 주제 군집이었다. 핵심 문헌 집합에 대한 인용 중에서 67.5%는 문헌정보학 내부에서 이루어졌고, 나머지 32.5%는 타 학문 분야로부터 발생한 것이었다. 전반적으로 문헌정보학 분야 내 인용 비율과 인용 영향력 성장 지수를 모두 고려하였을 때, 문헌정보학 분야 내부에서 최근 연구가 가장 활발해지고 있는 연구 전선 주제로는 '지역 기록', '인용분석 & 지적구조 분석', '연구동향 분석'의 세 주제가 꼽혔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 기법은 국내 학제적 연구 분야의 연구 전선 분석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based Curriculum Design of the Practical Training Cours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차성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57-491
    • /
    • 2016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 현장실습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현장실습교육 구성요인으로서 적합한 NCS 능력단위를 도출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연계된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과정 모델을 설계하고 NCS 기반의 문헌정보학 실습교육 내용의 기준 및 지침을 구체화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추진 현황 특히 문헌정보학 전공분야 NCS 현황을 분석하였고, 둘째,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현장실습 만족도 조사를 통해 현장실습의 영향요인을 도출하였고, 실습기관인 도서관 현장에서의 NCS와 연계된 현장실습 구성요인의 중요도 및 활용도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셋째, 포커스 그룹 인터뷰 조사결과 등을 통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이 실제 도서관 현장의 업무와 적절하게 부합되는 방향으로 NCS와 연계된 문헌정보학 실습교육과정 모델을 설계하였고, 넷째, NCS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 실습교육 내용의 기준 및 지침을 구체화하여 현장실습 실습생에게 요구되는 현장실습 교육지침서를 제안하였다.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모형 및 표준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urriculum Operating Model and Standard Courses for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55-8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운영모형을 조사하여 국내 현실에 맞는 운영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며, 운영모형에 기반하여 한국문헌정보학 표준교과목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외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그리고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관종별 직무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문헌정보학 필수교과목, 핵심교과목, 그리고 선택교과목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최종 제안된 문헌정보학 필수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학,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사서실습이다. 핵심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정보자료분류목록실습, 주제별정보원(참고정보원), 장서개발론, 디지털도서관론, 서지학개론, 기록관리학개론이다. 선택과목은 총 20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 영역 4개 과목(도서및도서관사, 지식정보사회와 도서관, 도서관과저작권, 문헌정보학연구방법론), 정보조직학 영역 2개 과목(메타데이터의 이해, 한국문헌자동화목록실습), 정보조사제공학 영역 3개 과목(정보활용교육론, 독서지도론, 정보이용자연구), 도서관 정보센터경영학 영역 4개 과목(도서관협력론, 관종별도서관운영론, 도서관마케팅, 비도서자료관리론), 정보학 영역 6개 과목(데이터베이스운영론, 색인초록론, 정보학개론, 정보시스템론, 도서관시스템자동화, 도서관정보네트워크), 기록관리학 영역 1개 과목(기록보존론)이다.

한국 문헌정보학의 현실적합성과 실천성 (On the Relevance of LIS Research in Korea)

  • 김영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1-209
    • /
    • 2000
  • 지난 50년간 우리나라 문헌정보학은 외국의 이론과 기술을 별다른 여과과정 없이 도입해왔다. 연구방법론은 물론 연구주제까지도 우리 현실에 적용시키려는 경향이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연구의 주된 흐름이 되었다. 그렇지만 나라마다 발전단계나 문화적 전통이 다르기 때문에 우리나라 고유의 도서관 현장과 그 환경에 대한 이해의 부족은 실천적 연구를 수행하는데 더 큰 문제로 다가올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외국 이론의 적용에 신중하여야 하며, 연구방법의 선택 역시 그 연구주제에 적합한 방법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과거 우리나라에는 이런 식의 여과의 과정이 무시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문헌정보학 연구는 도서관 현장과 밀접히 연관되어야 하며, 우리나라 문헌정보학의 이론과 실천은 우리 현실의 요구에 기초해야 한다. 우리나라에는 우리나라 도서관의 현실을 설명하고 개발할 수 있는 문헌정보학 이론이 필요한 것이다.

  • PDF

현장중심의 문헌정보학분야 잡지를 통한 문헌정보학분야의 연구동향 분석: 1996년~2000년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Pattern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1996-2000)

  • 이치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45-160
    • /
    • 2002
  • 본 논문은 기존의 학회지 중심의 연구와는 다른 현장중심의 학술지를 통하여 문헌정보학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6년부터 2000년까지 "도서관", "국회도서관보", "도서관문화"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구영역과 주제의존도 및 학심저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실무에 있어서의 주된 연구분야는 문헌정보학분야에 대한 의존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학에 대한 의존도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났으며 정보학에 대한 의존도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시인용 분석 기반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Domestic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ased on Co-Citation)

  • 이민희;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11-331
    • /
    • 2023
  •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주요 학술지 4종의 논문을 분석하여 지식 커뮤니케이션 특징을 탐구하고 중요한 연구 주제와 핵심 저자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서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핵심 학술지 4종의 5년간 발표된 논문을 수집하여 선별하여 논문의 저자 데이터와 참고문헌의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Netminer를 사용하여 문헌동시인용 분석과 저자동시인용 분석을 실행하여 네트워크를 시각화하였다. 분석 결과, 저자 간의 동시인용 쌍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연구자 간의 동시인용빈도 분석을 통해 학문 분야의 지적구조 분석에서 복수 저자를 분석 대상에 포함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키워드 분석을 통해 논문 주제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였으며, 문헌정보학 관련 연구가 '도서관, 디지털, 이용자, 서비스, 데이터' 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