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헌기반 발견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6초

캄보디아의 물류 기반시설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그 쟁점과 해결방안 (An Exploratory Study on Logistics Infrastructures in Cambodia : Current Issues and Future Solutions)

  • ;김종칠
    • 통상정보연구
    • /
    • 제16권4호
    • /
    • pp.333-362
    • /
    • 2014
  • 본 연구는 현재 한국기업들의 캄보디아에 진출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캄보디아의 물류발전의 제한적인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탐색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현재까지 국내연구논문에서 캄보디아에 대한 물류연구는 전무하다시피 열악한 실정이며 동남아시아의 시장정보차원에서 물류상황에 대한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을 소개하는 것도 매우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첫 번째로 문헌연구는 물류 및 수송, 사회기반시설과 경제성장 그리고 경제성장에서 물류의 중요성과 빈곤감소 사이의 관계를 포함되도록 제한하여 실시하였다. 다음 단계에서는 물류영역의 촉진 원인으로 수송 기반시설과 관련된 사항을 확인하였으며 비용과 시간(time-cost analysis)에 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캄보디아 내의 물류비용과 관련된 몇 가지 주제를 주변국(태국과 베트남)과 비교하였다. 시간과 비용 분석 결과, 캄보디아의 물류비용은 태국과 베트남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수출과 무역절차 간소화와 관련한 두 가지 사례연구를 통하여 몇 가지 물류 문제점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참가자들은 원산지 증명서의 발급, 계약서에 관련된 정보의 유용성, 법률, 규칙과 규정 국경 검문소에서 절차, 물류서비스 제공자의 영업시간 그리고 더딘 진행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점을 제기 하였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의 수송기반 시설과 물류영역과 관련된 현재의 문제점에 답하기 위한 몇 가지 적절한 해결책을 탐색적 연구결과로 제안하고 한국기업들에게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딥러닝 기반 소셜미디어 한글 텍스트 우울 경향 분석 (A Deep Learning-based Depression Trend Analysis of Korean on Social Media)

  • 박서정;이수빈;김우정;송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1-117
    • /
    • 2022
  • 국내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우울증 환자 수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대다수의 정신질환 환자들은 자신이 질병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해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우울 증상이 방치되면 자살과 불안, 기타 심리적인 문제로 발전될 수 있기에 우울증의 조기 발견과 치료는 정신건강 증진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소셜 미디어 텍스트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의 우울 경향 모델을 제시하였다. 네이버 지식인, 네이버 블로그, 하이닥, 트위터에서 데이터수집을 한 뒤 DSM-5 주요 우울 장애 진단 기준을 활용하여 우울 증상 개수에 따라 클래스를 구분하여 주석을 달았다. 이후 구축한 말뭉치의 클래스 별 특성을 살펴보고자 TF-IDF 분석과 동시 출현 단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텍스트 특징을 활용하여 우울 경향 분류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단어 임베딩과 사전 기반 감성 분석, LDA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문헌 별로 임베딩된 텍스트와 감성 점수, 토픽 번호를 산출하여 텍스트 특징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임베딩된 텍스트에 문서의 감성 점수와 토픽을 모두 결합하여 KorBERT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우울 경향을 분류하였을 때 가장 높은 정확률인 83.28%를 달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텍스트 특징을 활용하여 보다 성능이 개선된 한국어 우울 경향 분류 모델을 구축함에 따라, 한국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 중 잠재적인 우울증 환자를 조기에 발견해 빠른 치료 및 예방이 가능하도록 하여 한국 사회의 정신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간호사업 그 배경과 실태에 관한 고찰 (Community Based Nursing Service As An Alternative Background Forces and Current Practice)

  • 홍여신;이선자
    • 대한간호
    • /
    • 제19권1호통권104호
    • /
    • pp.68-84
    • /
    • 1980
  • 간호사업은 1970년대 후반부터 이제까지의 병원중심-환자중심의 간호사업을 수행해 오다가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간호사업인 건강간호사업으로 전환되기 시작하였다. 세계보건기구에서도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간호사업인 일차건강관리사업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전환의 배경과 실태에 관하여 문헌고찰을 하여 앞으로 국민건강사업 체계에 대한 논의에 참고자료가 되게 하고자 본 논문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에서 얻어진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고도의 과학문명의 발달과 물질적 풍요로 특징짓는 현대사회속에서도 인류의 건강문제는 영원히 충족되지 못한 상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통적으로 60년대 중반까지는 의료지식 및 기계공업의 발달과 이를 뒷받침할 재정적 지원속에 세계적으로 치료의학분야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다른 한편으로는 건강을 태생의 권리라고 규정하여 여러나라에서 사회보장제대로써 의료시해의 균점을 위한 각가지 방도를 마련하기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60년대말기부터 70년대로 넘어오면서 치료의학의 발달만으로는 의료수가가 앙등되어 모든 국민이 이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모든 국민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는 사실을 발견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지역사회의 건강문제를 요인별로 따져보면 복잡하여 사회경제적, 문화적, 환경적, 유전적 제요인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신체적인 질병의 치료만이 지역사회 건강문제를 해결하는 길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지역사회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차보건의료사업에 중점을 두어 노력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개선방안이라는 의견이 경험적으로 이론적으로 뒷받침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사조는 지역사회 건강문제가 복잡한 것과 같이 그 접근방법에 있어서도 여러보건요원이 팀이 되어 임해야만 하며 그중에서도 간호팀의 활동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여러 전문가들은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간호사업의 방향은 지역 사회에 기반을 둔 간호사업이 실시되어야만 국민건강문제 해결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고찰되었다.

  • PDF

회계정보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회계정보시스템 데이터 품질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mportant Factors for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Impact on AIS Data Quality Outcomes)

  • 김경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4-29
    • /
    • 2019
  • AIS는 여느 조직에서든 가장 중요한 시스템 중 하나인 바, 데이터품질은 지식기반 산업사회에 있어 정보시스템의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회계정보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들을 식별하고 이 요인들이 AIS 데이터 품질을 산출함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확인하고자 함에 있다. 광범위한 문헌조사를 통하여 데이터 품질에 대한 일련의 CSF를 발견하고자 하였으며, 경험적 연구를 통하여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AIS 데이터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최고경영자 결의, AIS 본연의 특성, 입력통제로 나타났으며, AIS 데이터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상기 3개 요인을 인식하는 정도와 AIS 데이터 품질을 인식하는 수준 간에 매우 유의적인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AIS를 도입하고 운영함에 있어서는 회계정보의 품질을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조직 내의 통제활동에 기여할 수 있으며 통제방안에 대한 연구가 후속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간호학과 학생들의 협동적 정보행태에 대한 만족도와 정서적 경험에 관한 연구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User Satisfaction and Affective Experiences of Collaborative Information Behavior)

  • 이지수;나경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93-215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들의 그룹과제 시 협동적 정보행태에서 나타나는 만족도 및 정서적 경험 등을 설문조사하여 이들의 관계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용자들의 협동적 정보검색에서 나타나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정서에 대한 평가는 동일 설문지에서 PANAS 척도를 이용하여 정서적 경험을 측정하였다. 학생들의 협동적 정보검색에 대한 경험은 정서적 측면과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일반적 특성, 협동적 정보검색에 대한 경험, 정서적 측면과의 통계적 우의성은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과 학생들의 협동적 정보검색과 정서적 경험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또한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 협동적 정보검색과 정서적 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생들의 성별과 '전반적 협동에 대한 만족도', 학생들의 성별과 긍정적 정서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협동적 정보행태에서 정서적 경험에 대한 후속 연구에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멀티미디어 정보요구와 검색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n Multimedia Information Needs and Search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 정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51-270
    • /
    • 2012
  • 일상생활에서 멀티미디어 검색은 중요한 검색활동이며, 멀티미디어 정보요구와 검색행태는 그 특성상 텍스트 기반의 정보요구와 검색행태와는 달리 고유한 특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 남녀 대학생 20명의 멀티미디어 정보요구와 검색행태에 관하여 탐색적 고찰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멀티미디어 정보요구와 이에 따른 검색과정이 녹화 및 녹취되었으며, 사후심층면담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러한 데이터의 분석결과는 멀티미디어 검색원, 정보요구, 적합성 판단 근거, 검색저해요인으로 구분하여 제시되었다. 검색원의 특징으로는 국내포털사이트와 구글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의 개별 멀티미디어의 특성을 반영한 검색원이 규명되었다. 멀티미디어 정보요구는 특정한 정보요구가 보편적인 정보요구에 비해 많이 추구되었으나 개별 멀티미디어의 특성에 따라 보편적 정보요구의 비중은 다르게 나타났다. 멀티미디어 적합성 판단 기준과 검색저해요인은 개별 멀티미디어에 따라 상당히 다양하게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통합적 멀티미디어의 검색 환경에서 개별 멀티미디어 정보요구와 특성이 반영된 검색환경 구현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학구성원의 정보요구 및 행위에 대한 해석현상학적 연구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on University Members' Information Needs and Behaviors)

  • 민윤경;김기영;이지연;김혜영;서정선;이고은;이나리;정민지;채현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69-297
    • /
    • 2020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최근의 사회변화 및 이에 기반한 대학의 연구 및 교육환경의 변화 속에서 대학구성원의 정보요구 및 정보행위를 이해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성격을 지닌 대학구성원을 심층면담하고, 그 결과를 해석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대학구성원의 정보요구와 그 맥락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대학구성원들은 이전보다 더욱 복잡하고 융합적인 성격의 정보요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자가 처한 시공간적 상황에 따라 매우 개인화된 정보요구를 가졌으며, 지인을 통하거나 커뮤니티를 구성하는 방식의 융합·협업적 정보문제 해결방식을 선택하고 있었다. 이러한 피면담자의 문제해결 중심의 정보요구가 도서관을 통해 충족되지 못하는 경우, 도서관에 대한 낮은 인지로 이어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공공기록물의 평가·폐기에 대한 감독제도 연구 미국의 기록관리 감독·보고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Public Records Disposition Oversight Program : A Case Study of the NARA's Records Management Oversight and Reporting Program)

  • 설문원;박인선
    • 기록학연구
    • /
    • 제62호
    • /
    • pp.41-75
    • /
    • 2019
  • 국가기록원이 공공기록물 폐기를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은 많지 않다. 공공기록물법 개정을 통해 폐기중지제도가 도입될 것을 기대하고 있지만 이 제도만으로 기록의 체계적인 평가를 도모하거나 부문별한 처분을 통제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기록이 이미 폐기되었다면 이에 대한 진상을 파악하고 이러한 잘못된 폐기가 반복되지 않도록 해당 기관이 시정조치 및 개선방안을 마련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관리 감독 및 보고제도"를 기반으로 하는 무단 처분에 대한 점검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평가처분 통제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특히 허가받지 않은 처분의 예방과 사후 처리에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미국의 연방기록 관리 감독 및 보고제도를 법령과 규정을 중심으로 조사하였고, 둘째, NARA의 무단 처분 감독 현황과 사건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점검 조사 과정을 도식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제도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공공도서관 서지데이터의 품질 제고 방안 (Improving the Quality of Bibliographic Data in Public Libraries: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 노지현;이은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05-128
    • /
    • 2023
  • 부산지역에서는 2020년 대표도서관을 중심으로 모든 도서관이 공동으로 사용할 통합도서관시스템(ILS)을 구축하고, 지역 내 49개 공공도서관과 103개 공립작은도서관의 서지데이터를 통합하였다. 그러나 각 도서관은 여전히 개별적으로 서지데이터를 구축하고 있고, 각 도서관에서 구축한 서지데이터는 물리적으로만 통합되어 있을 뿐 통합환경을 활용한 업무효율이나 데이터의 고품질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서지데이터 구축체계와 품질을 분석하고 통합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실행전략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1)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에서 서지데이터를 구축하는 방식을 조사하고, (2) 구축된 서지데이터의 품질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였으며, (3) 발견된 주요 문제점을 토대로 4가지 실행전략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실행전략은 서지데이터의 품질 제고 뿐만 아니라 업무효율과 데이터 공유를 위한 기반 구축을 동시에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LDA와 BERTopic을 이용한 토픽모델링의 증강과 확장 기법 연구 (Topic Model Augmentation and Extension Method using LDA and BERTopic)

  • 김선욱;양기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99-13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LDA 토픽모델링 결과와 BERTopic 토픽모델링 결과를 합성하는 방법론인 Augmented and Extended Topics(AET)를 제안하고, 이를 사용해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구주제를 분석하는 데 있다. AET의 실제 적용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2001년 1월부터 2021년 10월까지의 Web of Science 내 문헌정보학 학술지 85종에 게재된 학술논문 서지 데이터 55,442건을 분석하였다. AET는 서로 다른 토픽모델링 결과의 관계를 WORD2VEC 기반 코사인 유사도 매트릭스로 구축하고, 매트릭스 내 의미적 관계가 유효한 범위 내에서 매트릭스 재정렬 및 분할 과정을 반복해 증강토픽(Augmented Topics, 이하 AT)을 추출한 뒤, 나머지 영역에서 코사인 유사도 평균값 순위와 BERTopic 토픽 규모 순위에 대한 조화평균을 통해 확장토픽(Extended Topics, 이하 ET)을 결정한다. 최적 표준으로 도출된 LDA 토픽모델링 결과와 AET 결과를 비교한 결과, AT는 LDA 토픽모델링 토픽을 한층 더 구체화하고 세분화하였으며 ET는 유효한 토픽을 발견하였다. AT(Augmented Topics)의 성능은 LDA 이상이었으며 ET(Extended Topics)는 일부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LDA와 유사한 수준의 성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