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제 표상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32초

문제해결에서 비형식적 증명 활동의 기능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사례연구 (The Contribution of Unformal Proof Activities and the Role of a Teacher on Problem Solving)

  • 성창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3호
    • /
    • pp.651-665
    • /
    • 2013
  • 본 연구는 의사소통을 강조한 문제 해결 수업에서, 비형식적 증명 활동이 문제 해결에 어떻게 기여하며, 이 때 교사의 역할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비형식적 증명활동에 따른 의사소통 활동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과제를 개발하고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명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비형식적 증명활동은 문제 이해 과정에서 구성한 잘못된 추측과 시각적 표상을 점진적으로 정교화 하고, 이를 통해 해를 구하고 구한 해의 적절성을 입증하는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효과를 거두기 위해 교사는 활발한 의사소통을 유발시킬 수 있는 과제를 개발하고, 학생들의 추측을 고무함과 더불어 추측을 심화할 수 있는 발문을 사용해야 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PDF

숫자 또는 도형을 사용하여 제시된 비정형적인 문제에서 학생들의 반응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tudents' Responses to Non-routine Problems Using Numerals or Figures)

  • 황선욱;심상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1호
    • /
    • pp.39-5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students' responses to non-routine problems which are presented by using solely numerals or symbolic figures. Such figures have no mathematical meaning but just symbolical meaning. Most students understand geometric figures more concrete objects than numerals because geometric figures such as circles and squares can be visualized by the manipulatives in real life. And since students need not consider (unvisible) any operational structure of numerals when they deal with (visible) figures, problems proposed using figures are considered relatively easier to them than those proposed using numerals. Under this assumption, we analyze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sses of numeral problems and figural problems, and then find out when students' difficulties arise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how they response when they feel difficulties. From this experiment, we will suggest several comments which would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oth numerical and figural problems.

BIT 표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개체명 인식 (Korean Named Entity Recognition Using BIT Representation)

  • 윤호;김창현;천민아;박호민;남궁영;최민석;김재균;김재훈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9년도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90-194
    • /
    • 2019
  • 개체명 인식이란 주어진 문서에서 개체명의 범위를 찾고 개체명을 분류하는 것이다. 최근 많은 연구는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며 하나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개체명을 BIO 표기법으로 표현한다. BIO 표기법은 개체명이 시작되는 단어의 표지에 B(Beginning)-를 붙이고, 개체명에 포함된 그 외의 단어의 표지에는 I(Inside)-를 붙이며, 개체명과 개체명 사이의 모든 단어의 표지를 O로 간주하는 방법이다. BIO 표기법으로 표현된 말뭉치는 O 표지가 90% 이상을 차지하므로 O 표지에 대한 혼잡도가 높아지는 문제와 불균형 학습 문제가 발생된다. 본 논문에서는 BIO 표기법 대신에 BIT 표기법을 제안한다. BIT 표기법이란 BIO 표기법에서 O 표지를 T(Tag) 표지로 변환하는 방법이며 본 논문에서 T 표지는 품사 표지를 나타낸다. 실험을 통해서 BIT 표기법이 거의 모든 경우에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자연언어처리와 인지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Cognition)

  • 이정민
    • 인지과학
    • /
    • 제3권2호
    • /
    • pp.161-174
    • /
    • 1992
  • 이 논의는 자연언어처리의 발전과정을 보이면서 그것이 정보 및 인지문제와 어떻게 밀접히 관련되는지를 알아본다.언어사용자인 인간을 저장된 지식-즉 문법과 사전 및 세상에 관한 백과 사전적 사실의 정보를 표상하는 구조-을 이용해 프로그램에 따라 주어진 언어구조를 처리하는 처리자로 보는 계산 모형에 입각해 SHRDLU 등의 자연언어이해 프로그램이 발전하게 되나,화행과 관련된 믿음,취지,목표,의도 및 맥락의존적인 화용론적 요인들의 처리가 아직은 풀어나가야 할 숙제 다.언어,정보 및 인지는 상호 밀접히 관현되면서 그 연구가 과학 발전에 기초가 됨을 보이고자 한다.

Meander Line 구조를 이용한 이중 대역 차단 필터 디자인 (Dual band stop filter design by employing meander line for enhancing the immunity of IC)

  • 표상원;;나완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133-134
    • /
    • 2015
  • 최근 전자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자기기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전자기적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집적도가 높은 스마트 기기(Smart Device)의 AP(Applicaton Processor)의 경우,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이 집적된 SOC(System On Chip)이기 때문에, 전자기적 간섭에 더 민감할 수 있다. 더불어 LTE(Long Term Evolution)을 무선통신으로 이용하는 다양한 주파수대에서 전자기적 간섭은 어플리케이션 및 전자기기의 오작동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칩패캐지 레벨의 Meander 구조의 기존 필터(Filter)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한 구조를 설계하여 3차원 상의 전자장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또한, 칩의 내성(Immunity)이 취약한 여러 주파수 범위를 차단할 수 있는 이 중 대역차단 필터(Dual Band Stop Filter)를 Meader Line구조를 단순하게 만들어 설계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아동의 문제해결능력 : 표상과 평가능력의 역할 (Young Children's Problem-solving : The role of representation and evaluation)

  • 김경미
    • 영재교육연구
    • /
    • 제5권2호
    • /
    • pp.17-36
    • /
    • 1995
  • The present study examined preschooler's (3-5yrs) representation and evaluation skills in a puzzle completion task. The puzzle contained panels of four children dressed for each seacon and the key to success was using a body scheme to reconstruct the panels (head, torso, legs, feet and sky on top). Baseline data (Study 1) revealed a developmental pattern of increasing bydy scheme representation along with more careful attention to season consitent construction. Spontaneous verbalization also shifted from more guiding statements (where'the head?) to move evaluative statements (this isn't right). Study 2 examined different intervention techniques for increasing representation (verbal laveling) and evaluative processes (error detection practice), along with a control group that had unassisted practice. Three year olds benefited from verbal labeling, four year olds from both types of training. Verbalizations also showed appropriated shifts toward increasing evaluation, particularly for the older children.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a developmental hypothesis that representation precedes evaluation skills and that training technique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relative balance between representation and evaluation skills in the individual for the task at hand.

  • PDF

그래핑 계산기를 활용한 수학개념 연계지도의 실제 - 연립방정식과 일차함수 단원을 중심으로 -

  • 김정희;서명희;박용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0권
    • /
    • pp.107-124
    • /
    • 2000
  • 정보화 시대의 수학 교육은 수학을 체험해 볼 수 있게 하여(Doing Mathematics) 수학적 힘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수학의 기본 지식 ${\cdot}$ 추론 능력 ${\cdot}$ 문제 해결력 ${\cdot}$ 수학적 아이디어의 표현 및 교환 능력 그리고 사고의 유연함 ${\cdot}$ 인내 ${\cdot}$ 흥미 ${\cdot}$ 지적 호기심 ${\cdot}$ 창의력을 길러 주는 다양한 교수 ${\cdot}$ 학습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연립방정식과 일차함수 단원에서 그래핑 계산기를 활용하여 다양한 표상을 통한 수학 개념의 연계지도와 수학 학습 태도 개선을 위한 교수 ${\cdot}$ 학습 모델을 구안 ${\cdot}$ 적용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 PDF

음성기반 회의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 Implementation of Audio Minute System)

  • 표상호;이상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205-208
    • /
    • 2001
  • 인터넷과 컴퓨터 하드웨어 및 통신망의 발달로 멀티미디어 분야는 고도 정보 사회의 핵심적인 영역으로 부상되고 있으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도 날로 증가하고 있다. 문서, 녹취록, 테이프 형태로 관리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경우는 파일의 속성(attribute)에 대한 검색만이 아니라 내용(content)에 대한 검색이 필요하고, 따라서 순차검색 위주인 기존방법은 데이터의 활용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자료 중 음성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방안으로 음성 데이터를 화면으로 도시하고 음성의 시작점과 끝점구간을 키로 하여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삽입한 후 여기에 주석을 입력하는 음성기반 회의록 시스템(Audio Minute System)을 구현하고 그에 따른 기대효과를 제시한다.

  • PDF

세종 전자사전과 한국어 어휘의미망을 이용한 용언의 어의 중의성 해소 (Word Sense Disambiguation of Predicate using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and KorLex)

  • 강상욱;김민호;권혁철;전성규;오주현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500-505
    • /
    • 2015
  • 21세기 세종계획을 통하여 개발된 세종 전자사전은 한국어 어휘의 내재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정보를 담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텍스트 사전이 가지는 전산적 표상 문제를 해결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자연언어처리 분야에서 끊이지 않는 문제인 어의 중의성 해소(Word Sense Disambiguation) 문제 또한 세종 전자사전의 상세 정보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지만, 실제 제시된 문형과 논항의 선택제약 명사로는 어의 중의성 해소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세종 전자사전의 용언 하위범주화 정보를 이용한 어의 중의성 해소의 한계점을 보이고, 한국어 어휘의미망(Korean Lexico-semantic network)을 이용하여 논항의 선택제약 정보를 일반화한다.

로봇 활용 프로그래밍 학습이 창의적 문제해결성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Robot Based Programming Learning on Learners' Creative Problem Solving Potential)

  • 이은경;이영준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0-136
    • /
    • 2008
  • 로봇과 같은 물리적인 객체와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합한 실체적 프로그래밍 지원 도구는 일반적인 문제해결력 신장 뿐 아니라, 창의적 사고 발현에 유용한 도구이다. 즉, 학습자가 설계한 문제해결과정을 가상의 시뮬레이션이 아닌 물리적 객체를 통해 시뮬레이션 하는 경험을 제공해 줌으로써, 사전지식이나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고정관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경험은 새로운 해법을 꾸준히 탐색하고 능동적으로 환경을 변경하고자 하는 창의적 사고 유발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봇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대학교 프로그래밍 입문 과정의 초보 학습자들에게 적용하였고, 로봇 활용 프로그래밍 학습이 학습자들의 창의적 문제해결성향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창의적 문제해결성향을 구성하는 3가지 하위요인 중 인지적 요인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인지적 요인은 일반적인 문제해결력 뿐 아니라 창의성을 설명하는 문제인지 및 표상, 확산적 사고 등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로봇 활용 실체적 프로그래밍 학습이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집단별 사전 사후 창의적 문제해결성향 향상 정도를 분석한 결과, 로봇 활용 프로그래밍 학습 집단은 인지적 요인, 정의적 요인, 지식구성 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을 위한 교수 전략들이 문제해결력 뿐 아니라, 동기와 같은 정의적 요인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