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증상

검색결과 682건 처리시간 0.021초

Venlafaxine의 안면홍조 증상개선효과에 대한 최근 연구 고찰 (Venlafaxine for Management of Hot Flashes: A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 Human)

  • 이유정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8-144
    • /
    • 2010
  • 안면홍조는 폐경기 초기 많은 여성들에게 나타나는 증상이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혈중 에스트로겐 수치가 낮아졌을 때 안면홍조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에스트로겐을 기본으로 한 호르몬 요법이 수년간 안면홍조 증상치료의 중심이었다. 그러나 호르몬 요법이 유방암, 뇌졸중 등의 발생 위험도를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 이후 많은 보건의료인들은 호르몬 요법 대신 사용 가능한 다른 치료제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venlafaxine의 안면홍조 증상 치료효과에 대한 최신 지견을 얻고자, 1990년부터 2010년 7월까지 MEDLINE에 등재된 논문을 Hot flashes와 Venlafaxine이라는 MeSH terms로 검색하여 추출한 자료 중에서 대조군이 사용된 무작위 배정 및 이중맹검 임상연구 사례만을 선별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현재 venlafaxine은 안면홍조 증상 치료제로 허가된 의약품은 아니지만 최근 여러 국가에서 시행된 연구들은 venlafaxine이 효과적인 안면홍조 증상 치료제일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선천성 횡경막 이완증 (Congenital Diaphragmatic Eventration in INFANCY)

  • 이상규;박동원;장수일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4권1호
    • /
    • pp.67-73
    • /
    • 1998
  • 신생아 및 영아에서의 횡격막 이완증은 일반적으로 드문 질환으로 인식되어 있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원인별 처치의 필요성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최근 저자 등은 5 례의 선천성 횡격막 이완증을 경험할 수 있었고, 전 례 모두 수술이 적응되었다. 전 례 모두 생후 2개월 미만의 영아였고 모두 남아였다. 이완 부위는 전 예에서 좌측 횡격막이었다. 증상은 3례에서 호흡기 증상이 있었고 소화기계 증상은 없었으며 나머지 1례에서는 체중 증가불능 이 외는 무증상이었다. 전 예에서 방사선학적 변화가 저명하였고, 횡격막의 절정은 제 3에서 제 5늑간에 달하였다. 수술 술기로 저자 등은 경복부 접근 방법에 의한 횡격막 습벽 봉합술을 선호하였으며 수술 결과는 임상적으로나 방사선학적으로 우수하였다.

  • PDF

파열된 종격동 기형종과 단순 기형종과의 차이 (The Differences between Ruptured and Unruptured Mediastinal Teratoma)

  • 조석기;이응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3호
    • /
    • pp.355-360
    • /
    • 2009
  • 배경: 양성 기형종은 대부분은 무증상이지만 적은 빈도에서 늑막, 심외막, 폐실질, 기관지 내로 파열 되어 심한 증상 유발과 함께 치료가 어려워 술 전 파열여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파열된 양성 기형종의 임상적 증상, 영상학적 소견과 수술적 소견에 대해서 알아보고 파열되지 않은 기형종과의 차이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4명의 완전 절제된 양성 기형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수술 전 임상 증상, 흉부 CT 소견, 수술 소견과 수술 성적의 차이를 파열된 군과 파열되지 않은 두 군에서 비교하였다. 특히 흉부 CT 소견에서는 종괴 크기, 피막 두께, 종괴의 위치, 분엽 정도, 균일성, 종괴 내용물, 주위 장기와의 관계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총 24명의 환자에서 수술 소견 결과, 7명의 환자(29.2%)가 파열된 양성 기형종으로 진단되었다. 15명(62.5%)의 환자에서 술 전 흉통, 기침 등의 증상이 있었으며 파열된 양성 기형종에서 증상이 심하고 빈도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다(p=0.37). 흉부 CT 소견에서는 두 군간에 종괴의 크기, 피막 두께, 종괴의 위치, 분엽정도, 균일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석회화 정도와(p=0.04), 종괴 주변 소견으로 폐경화, 폐허탈의 빈도가 파열 양성 기형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3). 파열된 양성 기형 종에서 수술적 접근은 모두 흉골 절개 또는 개흉술을 통해서 이루어 졌으며 동반된 폐절제 건수도 많았다. 결론: 술 전 흉부 CT는 파열된 기형종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었고, 종괴 내에 석회화가 존재하거나 폐병변이 동반된 경우 파열된 기형종의 확률이 높았다. 따라서, 술 전 임상 소견 및 흉부 CT 소견에 의한 정확한 진단은 적절한 수술적 시기를 정하거나 접근 방법을 정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만성 소화기 질환 환아에서 미량원소 결핍과 모발 검사의 유용성 (Trace Elements Deficiency and the Diagnostic Usefulness of Hair Mineral Analysis in Children with Chronic Gastrointestinal Disease)

  • 홍지나;이정화;이란;신지연;고재성;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1권2호
    • /
    • pp.122-129
    • /
    • 2008
  • 목 적: 만성 설사, 흡수 장애 등의 소화기 질환에서 경구 영양 공급이 불충분할 경우 미량원소 결핍 발생의 빈도가 높으나, 이러한 환아에서 미량원소 결핍 증상에도 불구하고 혈액 검사 결과 정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미량원소 결핍 고위험군 환아에서 결핍된 미량원소를 확인하고, 적절한 공급 및 추적 관찰 지표로서 모발 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 내원하여 만성 소화기 질환으로 경구 영양 장애 또는 성장 발육 부전을 보였던 13명을 대상으로 모발과 혈액의 미량원소 검사를 시행하여, 결핍 소견을 보인 모발과 혈액의 미량원소에 대해 장기 정맥영양군과 경구영양군, 그리고 증상군과 무증상군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13명 중 11명에서 모발 또는 혈액 검사에서 미량원소 결핍이 있었으며, 결핍된 미량원소는 아연, 셀레늄, 구리였다. 모발 내 아연 결핍은 8명(62%), 모발 내 셀레늄 결핍은 6명(46%)이었고, 혈액 내 아연농도가 정상인 환자의 67% (8/12명), 혈액 내 셀레늄 농도가 정상 환자의 57% (4/7명)에서 각각 모발 내 아연, 모발 내 셀레늄 결핍을 보였다. 모발 내 아연 농도는 장기 정맥영양군에서 경구영양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p=0.015) 결핍 발생 빈도 또한 유의하게 높았다(Fisher's exact test, p=0.032). 모발 내 셀레늄 농도는 증상군에서 무증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34). 결 론: 만성 소화기 질환으로 경구 영양 장애 또는 성장 발육 부전이 있을 경우 증상 여부에 상관없이 혈액검사와 함께 모발 미네랄 검사로 결핍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신생아와 영유아 로타바이러스 위장염의 임상 경과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Clinical Manifestations of Rotaviral Gastroenteritis between Neonates and Infants)

  • 박민경;박재옥;김창휘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9권2호
    • /
    • pp.153-161
    • /
    • 2006
  • 목 적: 로타바이러스는 영유아 급성 설사증의 대표적인 원인 병원체로써 전 세계에 걸쳐 분포한다. 신생아에서의 로타바이러스 감염은 1975년에 Chrysite 등에 의해 처음 보고된 후 원내 장염의 중요한 원인체로 알려졌으며, 신생아는 영유아와 다른 임상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신생아의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의 임상적 고찰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저자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으로 입원한 신생아와 영유아를 대상으로 임상 양상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1년 2월 1일부터 2003년 1월 31일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에 장염으로 입원하여 시행한 로타바이러스 항원 검사 양성인 신생아 104명, 영유아 250명을 대상으로 성별, 계절별 분포, 임상 증상, 동반된 질환, 수유 방법에 따른 발생 빈도 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 계절별로 보면 영유아에서는 2~6월 사이에, 신생아는 10~12월 사이에 발생률이 높았다. 임상 증상은 영유아에서는 설사, 구토, 발열이 가장 흔했고, 경련이 발생한 경우가 있었으며, 신생아에서는 발열과 설사 증상 외에 탈수와 동반된 대사성 산증, 황달, 보챔, 무호흡, 혈변, 위 잔류, 끙끙거림의 비특이적인 증상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밖에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으나 수유량 감소, 기면, 구토 등의 증상도 보였다. 동반된 질환으로 영유아는 상기도 감염, 폐렴,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이 많았으며, 그밖에 요로감염, 장중첩증, 출혈성 위염, 간염, 가와사키병이 동반되었다. 신생아에서는 괴사성 장염이 의미 있게 동반되었고, 그밖에 상기도 감염, 폐렴, 요로감염이 있었다. 수유 방법에 있어서는 로타바이러스 감염 환아 중 신생아와 영아 모두 분유 수유아가 모유 수유아보다 많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 론: 신생아에서의 로타바이러스 감염은 영유아와 달리 황달, 보챔, 무호흡, 혈변, 위 잔류, 수유량 감소, 기면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염두에 두고 진단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로타바이러스는 영유아는 물론 신생아에서도 중요한 원인체로 밝혀지고 있으므로 향후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보다 쉽고 간편한 진단 방법, 병원체 분리, 감염 경로, 면역 반응 및 예방과 치료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코골이 클리닉을 방문한 환자들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인식도 (Snoring Clinic Visitors' Knowledge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이소진;이진성;신홍범;조상용;이재서;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8권2호
    • /
    • pp.87-94
    • /
    • 2011
  • 목 적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흔하고 심각한 질환이므로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증상이 있어 코골이 클리닉을 방문한 환자들의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코골이 클리닉을 방문한 179명(남자 135명, 여자 4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클리닉을 방문한 이유, 수면무호흡증과 코골이 치료법, 검사 방법, 관련 증상 및 합병증에 대한 지식을 파악하였다. 결 과 :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45.2{\pm}14.5$세였고 체질량지수의 평균값은 $24.8{\pm}3.4$였다. 환자들의 89.4%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 대해 들어보았다고 대답했으며, 주로 텔레비전과 라디오와 같은 대중매체(58.1%)를 통해 정보를 접했다고 했다. 코골이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은 60.3%가 알고 있었고, 59.8%는 치료방침을 정하기 위해 야간 수면다원검사가 필요함을 알고 있었다. 코골이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67%)을 가장 많이 알고 있었다. 코골이 치료를 선택할 때 의사의 권고에 따르겠다는 사람들이 55.9%로 가장 많았으나 양압술을 선택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양압술 치료에 대해 들어본 사람들은 전체의 12.3%였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로 양압술을 선택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환자들 중에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고혈압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은 34.6%, 당뇨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은 12.8%였다. 결 론 : 이미 증상이 있어 코골이 클리닉을 방문한 사람들조차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위험성과 적절한 치료 방법에 대해 잘 알고 있지 못했다. 환자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 대해 교육하고 홍보하는 것이 향후 질환의 진단율을 높이고 적절한 치료로 연결하며 연관 질환을 예방하는 것에 중요할 것이다.

뇌졸증을 병발한 선천성 심낭내 좌심방이류 - 1예 보고 - (Congenital Intrapericardial Left Atrial Appendage Aneurysm Presenting with an Embolic Stroke - A case report -)

  • 서종희;김용환;전희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643-646
    • /
    • 2008
  • 선천성 심낭내 좌심방이류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없으며 일반적으로 성인 환자에서 우연히 진단된다. 상심실성부정맥과 치명적인 혈전색전증의 발생이 문제되며, 무증상의 환자에서도 이를 예방하기 위해 진단 즉시 수술이 추천된다. 저자들은 45세 남자 환자에서 뇌졸증을 병발한 선천성 심낭내 좌심방이류의 수술적 제거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기도이물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REVIEW OF BRONCHIAL FOREIGN BODIES)

  • 장민수;김주형;이형석;안경성;김선곤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7년도 제21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20.3-21
    • /
    • 1987
  • 저자들은 1977년 10월부터 1987년 3월까지 한양대학교 부속병원 이비인후과에서 경험한 기도 이물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관찰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별은 남자 16예(80%) 여자 4예(20%)로 남자에서 4:1의 비율로 많았고, 연령별은 4세이하가 16예로써 80%를 차지하였다. 2) 발병후 내원까지의 기간은 24시간이내가 12예(60%), 2-3일이 3예(15%), 그 이후가 5예(25%)이었다. 3) 개재부위로는 좌측 기관지 10예(50%)로 가장 많았으며, 우측 기관지 6예(30%), 기관 2예 (lo%) 순이었다. 4) 이물의 종류는 식물성 9예(45%)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 플라스틱 5예(25%), 금속성 3예(15%), 골편이 1예(5%), 미발견이 2예(10%)순이었다. 5) 내원 당시 주증상으로는 기침 10예(50%), 호흡곤란 6예(30%), 청색증 4예(20%), 무증상 3예(15%), 전흉부동통 1예(5%)순이었다. 6) 초진시 이학적 소견으로는 호흡음감소 14예(70%)가 가장 중요한 소견이었으며 수포음 5예(25%), 흡기성 천명 3예(15%), 흉벽함몰 3예(15%), 특기소견 없는 경우 3예(15%)순이었다. 7) 흉부 X-선 소견으로는 무기폐 8예(40%), 무소견 6예(30%), 폐기종 4예(20%), 이물음영 3예(15%), 폐렴소견 2예(10%)순이었다. 8) 적출은 ventilating bronchoscope를 이용하였다.

  • PDF

폐 혈관종의 외과적 치험 -2례 보고- (Surgical Experience of Pulmonary Vascular Tumor 2 cases)

  • 박재길;박성용;이선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6호
    • /
    • pp.631-635
    • /
    • 1997
  • 혈관에서 기원되는 종양은 혈관외피 세포로부터 발생되는 종양 혈관외피종과 glomus tumor)관 혈관내피 세포로부터 발생되는 종양(를상피 혈관내피종)의 두가지로 구분된다. 이들은 매우 드물게 발생되며 악성종양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폐에서 발생된 경우에는 무증상의 작은 종괴로부터 증상이 있는 커다란 종양 의 형태로 나타난다. 최근 저자들은 단일성의 유상피 혈관내피종과 혈관외피종 각각 1례를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 고하는 바이다. a Tumors of vascular origin are sub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composed of pericytes (hemangiopericytoma and glomus tumor), and those composed of endothelial cells(hemangioendothelioma). They are uncommon, potentially malignant tumors, and in the lung, the tumors may present as a small asymptomatic nodule or a large symptomatic lesion. Recently we experienced two cases of solitary pulmonary vascular tumors(epithelioid hemangioendothelioma and hemangiopericytoma), and reviewed them with referen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