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용의상 디자인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6초

무용의상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창작무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Dance Costume Design -Based on Korean Creative Dance-)

  • 윤여정;이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3_4호
    • /
    • pp.310-32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larif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dance costume design and analyse stage effect based upon the formative factors. Classified design element of dance costumes by line, silhouette, color, material, lighting, and also this based on content analysis method about each formative factor of costumes that showed 10 dance performances which practically be performed and made. And individually interviewed the professional dance composers and dancers who participated in the performances fer objectivity and specialty of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ance costume contains and harmoniously expresses theme of a dance work, formative characteristic of fashion design, movement and character of the dancers, lighting effect. 2. Korean creative dance costume is effectively expressed with formative factors of traditional costumes and modem sensibility and symbolic expression of image-centered. 3. Costume line is affected by dancer's movement and it's possible to be different effect that the atmosphere or stage effect by the original form of line and the expression method. 4. Costume color is effective to inform that dancer's character and image of a dance work. 5. Costume material is most important to consider that the dancers and the atmosphere and the image of a dance work. 6. Lighting effect can inform various feel of dancer's dance.

현대무용 "아듀 1999"의 무용의상 디자인 - 테크노-사이버 패션 응용을 중심으로 (Dance Costumes Design for "Adieu 1999" - Focused on the Techno-Cyber Fashion -)

  • 정삼호;이은규;이현정;서지성
    • 복식
    • /
    • 제53권7호
    • /
    • pp.1-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tains evaluation of techno-cyber fashion, specifically in the area of dancing costume which symbolize the stage performing art of techno-cyber fashion's formative elements. The way of study is to make foundation with the theory and picture backgrounds to analyze the fashion trends and finally produce symbolic dance costume which applies modern dance stage costume design to techno-cyber elements. The 'Adieu 1999' is the modern dance work contains social mood in retrospect of 20 century and prepare 21 century. To make design of dance costume, apply the simple geometrical pattern design which utilize techno-cyber element like hi-tech fabrics, see-through and image of band and finally produce costume both 20 and 21 century.

창작 발레극 <'그' 소녀> 에 나타난 무대의상의 확장성 연구 (A Study on the Expansion of Stage Costumes in the Contemporary Ballet Play <'That' Girl>)

  • 유진영;장소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779-785
    • /
    • 2023
  • 비 언어극인 무용에서 무대의상은 시각적 표현에서 중요성을 갖고 있다. 특히 창작무용에서 무대의상은 기존의 기본적인 역할인 장식성이나 신분을 나타내는 시대성 그리고 동작을 위한 기능성 이외에 좀 더 작품에 밀접하게 관련된 확장적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하여 창작 발레 <'그' 소녀>의 작품에 나타난 무대의상의 확장성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통해 무대의상 디자인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하는 여 연구의 의의를 부여하고자 한다. 창작 발레극 <'그' 소녀>는 피해자들이 겪었을 공포와 공감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위로를 주제로 2개의 막으로 구성되었으며, 2막의 해방과 '한(恨)'의 춤에서 의상의 확장된 역할이 요구되었다. 의상 디자인은 위안부를 형상화한 '소녀상'에서 영감을 받았으나, 발레 동작의 기능성과 의상에 장치된 끈과 천의 운용의 용이성 등의 전제조건을 바탕으로 3개의 초안 디자인과 재질의 실험을 거쳐 완성되었다. 결론적으로 해방의 춤에서 사용된 끈과 '한(恨)'을 표현한 천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무대의상의 시·공간의 확장성, 조형의 확장성, 상징적 표현의 확장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무대의상 디자인에 관한 연구 -Antonin Artaud의 Les Cenci를 중심으로-

  • 손영미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8-120
    • /
    • 2003
  • 종합예술인 한편의 연극을 무대에 올리는 데는 다양한 것이 요구된다. 즉 미술, 음악, 무용, 문학 등이 있으며 여기에 등장인물의 개성을 가장 잘 표현해 주는 무대의상이 필요한 것이다. 특히 무대의상은 작품 속의 등장인물의 역할을 설명하는 기호의 의미를 내포할 뿐만 아니라 관객들에게 작품의 내용을 더욱 리얼하게 이해하게 하는 설득력의 도구적 표현능력을 지니고 있다. (중략)

  • PDF

황진이 시조 분석을 통한 한국 창작무용 의상디자인 연구 (A study on Korean creative dance costumes design through analysis of Jin-Yi Hwang's Sijos)

  • 김윤지;김혜경
    • 복식문화연구
    • /
    • 제27권4호
    • /
    • pp.353-367
    • /
    • 2019
  • These days, costumes of Korean creative dancing performances have been changed to be modernized and to be out of traditional regulation,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styles were replaced by other props and art devices. In this article, we have applied the emotions expressed in Jin-Yi Hwang's sijos (Korean traditional poems), to Korean creative dancing costumes in modern style. chose three typical sijos from her six pieces, titled "Green mountain is like what I've meant", "To Byeokgyesoo in Cheongsan-ri" and "Dongjibam ginaginbam". In brief, Jin-Yi Hwang expressed her "everlasting love and emptiness", "temptative conciliation" and "eager waiting" these three sijos, respectively. The character of Jin-Yi Hwang was shown in many TV soap operas and films, and the costumes were either much modernized, and not accurately based on the sijos she had written. Thus, we designed, made flat sketched, and fabricated three Korean creative dancing costumes from the three sijos, listed. We tried to highlight the aesthetic impression and the activeness of the dancing costumes, using both traditional and modern Korean fabrics. Since Korean dance costumes had not yet been inspired from Jin-Yi Hwang's sijo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he fabric items, as well as the visual, auditory, and tactile characteristics of the costumes and dancers to emphasize Jin-Yi Hwang's expressed emotions.

朝鮮 後期 宮中舞踊服飾의 服色思想(II)에 關한 硏究 -佳人剪牧丹.高句麗舞.公莫舞.萬壽舞를 중심으로-

  • 남후선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9-96
    • /
    • 2003
  • The court dancing suit, so-called "JeongJae(呈才) suit," has been worn by court dancers. Since the court dancing suits in the age of the ancient Three Kingdoms and Koryo Dynasty have already been studied previously, this study discussed the change of dancing suit styles created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such as GaInJeonMok-Dan(佳人剪牧丹)ㆍGoGuRyeo-Mu(高句麗舞)ㆍGongMak-Mu(公莫舞)ㆍManSuMu(萬壽舞), and the thought of Yin-Yang and five elements(陰陽五行思想) that the colors of the court dancing suits imp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houghts contained in the ancient suits as well as their styles in order to inherit and uphold our traditional culture properly. properly.

  • PDF

페르소나와 아니무스를 표현한 한국 창작무용의상 디자인개발 - '미친 치마 꼴라쥬'를 중심으로 - (Design Development of Korean Creative Dance Wear Expressing Persona and Animus - Focusing on 'Crazy Collage Skirts' -)

  • 김흥경;김선화
    • 복식
    • /
    • 제58권7호
    • /
    • pp.119-132
    • /
    • 2008
  • This study intended to develop and produce a modern form of fashion design for the Korean creative dance performance, 'Crazy Skirt Collage', which expressed conflict between internal ego and a persona in a woman. The qualitative method was used to analyze literature review, internet search and visual data of historically important cases related to the theme. Based on the analysis, the fashion design of the dance performanre by Hwang Hee-Yeon that was actually staged on Towol Theater, one of the Seoul Arts Center, was produced. The results wi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confirmed a change of persona that revealed a female's animus strongly as it moved into the modern time. Second, the female's persona was expressed through long skirts, slips, dress shoes, handbags, military shoes, dresses with long zippers, trousers, wedding dresses and Korean full skirts during the performance, while the female's animus through male coats, panties, big bags and clock.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study new expressive methods, that is, dance clothes using advanced equipment such as lights, videos or other variety of materials. It is also important to understand aesthetics of modern women's ordinary lives and to adapt ordinary clothes to dance clothes in various methods in order to express their modern lives appropriately through Korean creative dance.

무대조명을 통한 무용 예술의 무대공간 시각화 방안 연구 (A Study on Methods for the Visualization of Stage Space through Stage Lighting)

  • 이장원;이진우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6-28
    • /
    • 2009
  • 무대 예술은 근본적으로 '본다'는 본질을 바탕으로 삼는 동시에, 보여주고 보는 행위의 상대성을 지니고 있다. 무대 조명을 인공적인 빛을 이용하여 무대 예술의 근본인 '본다'는 본질을 해결하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전기의 발명과 함께 급속도로 발전된 조명기재들과 광학의 발달에 힘입어 무대 예술의 중요한 시각적 표현매체로 역할이 증대되었다. 그러므로 조명은 하나의 무대예술 분야에서 빛이라는 매개체를 이용하여 무대공간을 아름답게 표현할 뿐만 아니라 관객에게 지적, 정서적 감동을 주는, 시간과 공간을 미학적으로 표현하는 시각예술이라 할 수 있다. 즉 무대 조명이란 조명 공학(기술, 과학) + 미의식(감각, 예술)의 복합적인 기능이라 할 수 있다. 무용은 움직임의 예술이며 선의 예술이다. 신체의 움직임은 무용의 재료이며,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 무용수의 몸은 표현의 매체이다. 무용 예술은 인간의 신체를 도구로 움직임을 선정하고, 의식적으로 형상화된 동작의 표현 또는 내면의 정서적 반영을 관객들에게 극대화된 미적체험을 전달하며 감동을 전이시키는 예술이며, 시각적인 미를 보다 확대시키고 강조하기 위하여 무대 공연에 있어 조명, 장치, 의상, 음악, 소품 등의 보조적 도구들을 활용하는 종합예술이다. 그 중에서도 무용 조명은 그 표현의 미를 극대화 시키는 시각예술로서 순수한 신체언어의 조형적 시각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무대 조명의 기초와 타 분야와의 관계, 조명의 기능과 특징을 연구하여 무용 예술의 시각화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조명의 활용방안을 마련하고, 조명의 예술적 발전과 무용의 미적 표현 능력을 극대화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조명은 다양한 기재가 갖고 있는 빛의 형태와 방향성 등을 이용하여 무대 공간을 시각화 할 수 있으며, 작품이 추구하는 이미지 극대화를 표현할 수 있다. 둘째, 무용 작품에 있어 무용이 갖고 있는 공간의 형태를 빛의 움직임을 통한 시각적 연출로서의 조명이 가능하다. 셋째, 빛으로 창출하는 시각적, 공간적 표현을 통하여 작품의 극적 카타르시스를 관객에게 지적, 정서적 감동을 일으키게 한다. 넷째, 조명이 보조자로서의 역할이 아니라 독창적인 하나의 시각 디자인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다. 끝으로 대다수 사람들이 상식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무대를 밝게 비추는" 조명의 단순한 기능에서 벗어나 예술의 한 영역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조명 디자이너는 창조성과 예술성을 가지고 안무가의 의도나 작품을 이해하여 빛과 색채를 미적인 언어로 파악하여 작품의 효과를 높여주고 작품 구성의 한 요소로 참여하여 조명이 하나의 예술로 다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특히 이번 연구를 통해 빛의 움직임을 통한 공간의 구성을 미학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예술적 감각을 키우고, 생명력을 불어 넣는 빛의 예술뿐 아니라 저변에 걸쳐있는 제반예술에 대해 심미안을 키워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