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기질

검색결과 1,447건 처리시간 0.037초

배아를 제거한 현미립내의 무기질의 분포 (Distribution of Minerals within the Degermed Brown Rice Kernel)

  • 송보현;김동연;김성곤;김용두;최갑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2호
    • /
    • pp.162-168
    • /
    • 1988
  • 배아를 제거한 일반계 및 다수계 각 3품종을 도정하고, 도정분회 및 잔유립의 무기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분회 I (무게비로 약 4.4%)은 현미에 비하여 나트륨이 14.8배, 인이 5.7배, 칼륨과 철이 5.4배, 마그네슘이 4.2배, 칼슘이 3.8배, 망간이 3.7배, 구리가 3.6배, 아연이 2.3배 높았다. 무기질의 농도는 잔유립에서 가장 낮았으며, 잔유립의 무기질 함량은 현미 자체보다 낮았다. 무기질 중 나트륨의 농도 구배가 가장 심하였고 철은 비교적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 PDF

채소류의 전통조리법에 의한 이화학적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egetables by Korean Traditional Cooking Methods)

  • 안명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7-188
    • /
    • 1999
  • 15종의 채소류를 생채, 데침, 찜, 끓임, 볶음 조림할 때 Vit.A, Niacin, AsA 및 P, Fe, Mg, Ca, Na, K의 잔존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생채에서 Vit.A는 도라지, 상추, 오이의 잔존량이 높은 반면 무는 50%로 가장 낮았고 Niacin과 AsA는 전반적으로 잔존율이 높았으며 무, 상추, 돌나물, 오이, 들깻잎에서는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에서는 P은 도라지, 양배추, 상추에서, Fe은 도라지, 양배추, 돌나물에서, Mg과 Ca은 도라지, 상추, 돌나물에서 K은 양배추와 상추에서 잔존율이 높았다. 2. 데침시에 Vit.A는 콩나물, 숙주에서, Niacin는 콩나물, 숙주, 들깻잎에서 잔존율이 높았으나 AsA는 다른 비타민에 비하여 잔존율이 크게 떨어졌다. 무기질은 P은 참취, 콩나물, 숙주에서, Fe은 참취, 숙주, 시금치에서, Mg은 들깻잎에서, Ca은 시금치, 들깻잎에서, Na은 시금치에서, K은 무, 들깻잎에서 잔존율이 높은 편이었다. 3. 찜에서 Vit.A는 양배추에서, Niacin은 가지, 양배추, 들깻잎, 오이에서, AsA는 무, 양배추, 오이에서 잔존율이 높았으며 잔존율이 아주 낮은 것은 Vit.A에서의 무와 들깻잎, AsA는 들깻잎이었다. 무기질 중 P은 양배추, 오이, 들깻잎에서, Ca은 양배추, 오이, 무에서, Na은 무, 오이, 양배추에서, K은 들깻잎, 양배추에서 잔존율이 높았다. 한편, 무기질의 잔존율이 아주 낮은 것은 Fe은 호박, 가지에서, Mg은 호박에서, Ca과 Na은 들깻잎에서, K은 가지이었다. 4. 끓임시에 Vit.A는 콩나물, 숙주에서 Niacin은 콩나물, 참취, 숙주에서 잔존율이 높은 반면 AsA는 대체로 50%이하의 낮은 잔존율을 보였다. 극히 저조한 잔존율을 보인 것은 Vit.A의 무, 호박, 참취, 시금치, AsA의 시금치, 호박, 참취, 숙주이었다. 무기질에서 P은 숙주, 호박, 참취에서, Fe은 시금치, 무, 숙주에서, Mg은 참취, 무에서 Ca은 호박, 시금치에서 잔존율이 높았고 Na와 K은 이들에 비해 잔존율이 낮은 편이었다. 그중, 극히 낮은 잔존율을 보인 것은 Fe에서 콩나물, 호박, Mg에서 시금치, 콩나물, 숙주, Na에서 콩나물, K에서 콩나물, 시금치이었다. 5. 볶음시에 Vit.A는 도라지, 당근, 시금치에서 Niacin은 도라지에서 AsA는 가지에서 잔존율이 높은 편이나, 무, 참취에서는 Niacin이 무, 참취, 도라지에서는 AsA의 잔존율이 아주 낮았다. P은 호박, 참취, 도라지, 당근에서 Fe은 참취, 도라지에서 Mg은 참취, 도라지, 당근, 호박에서 Ca과 Na은 도라지, 당근, 오이에서 K은 호박, 참취, 도라지, 당근에서 잔존율이 아주 낮았으며 가지는 모든 무기질의 잔존율이 아주 낮았으며 그 외 호박에서는 Fe이, 돌나물에서는 K이 극히 낮은 잔존율을 보였다. 조림시에는 Vit.A는 우엉에서, Niacin은 무, 우엉 모두 잔존율이 높은 반면 AsA는 둘다 낮은 편이었다. 무기질은 무에서 Fe, Ca, Na, K과 우엉에서는 Na, P, K의 잔존량이 높은 반면 우엉에서 Fe의 잔존율이 극히 낮았다. 6. 각종 조리시 비타민과 무기질의 잔존상태가 전체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인 채소의 순서는 사용된 횟수에 차이가 있으나 도라지>들깻잎, 양배추>무, 오이>참취, 상추>숙주>시금치, 우엉, 돌나물>당근, 호박>콩나물>가지로 나타났으며, 조리법 중에서 잔존율이 좋은 것은 비타민의 경우는 생채이었고 무기질은 생채, 볶음, 조림이었다. 또한 Vit.A는 생채, 볶음, 조림에서 Niacin은 생채, 조림, 찜에서 AsA는 생채에서 잔존율이 좋았으며 P은 볶음, 생채에서, Fe은 생채, 데침, 끓임, 조림, 볶음에서 Mg은 생채, 조림, 볶음에서 Ca은 생채, 찜, 끓임, 조림, 볶음에서 Na은 조림, 볶음에서 K은 생채, 조림, 볶음에서 잔존율이 좋은 편이었다.

  • PDF

현미와 백미의 품종별 무기질 함량 (Mineral Contents of Brown and Milled Rice)

  • 김미숙;양혜란;정윤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443-446
    • /
    • 2004
  • 본 연구는 표준 경작법으로 재배한 육성 품종 5종(광안, 대안, 대진, 수라, 화성 )의 현미와 백미의 무기질 함량을 분석비교하고, 한국인 식생활에 있어서의 쌀로부터 섭취하는 무기질의 양과 권장량에 대한 비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회분함량은 현미에서는 대진ㆍ수라(1.45%)>대안(1.30%)>광안 (1.29%)>화성 (1.28%) 순이었고, 백미에서는 광안(0.62%) >대진(0.60)>화성 (0.59%)>수라(0.53%))대안(0.51%) 순이었다. 현미의 무기질 함량은 인이 270.8∼327.2 mg/100 g, 칼륨이 216.∼249.0 mg/100 g, 마그네슘이 102.0∼111.0 mg/100 g, 그리고 칼슘이 11.8∼13.2 mg/100 g이었다. 반면에 백미의 무기질 함량은 인이 125.3∼153.2 mg/100 g, 칼륨이 96.5∼118.6 mg/100 g, 마그네슘이 34.7∼40.0 mg/100 g, 칼슘이 6.0∼9.4 mg/100 g이었다. 국민영양조사 결과와 비교해서 주식인 쌀로부터 섭취할 수 있는 무기질의 비율은 현미에서 인이 평균적으로 90.7%로 가장 많았고, 칼슘이 3.9%, 철이 남성의 경우23.7%,여성의 경우 17.8%, 아연이 남성의 경우 42.6%, 여성의 경우 51.2% 이었다. 또한 백미에서는 인은 42.3%, 칼슘은 2.6%, 철은 남성의 경우 14.4%, 여성의 경우 10.8%, 아연은 남성의 경우30.4%, 여성의 경우 36.5%이었다.

국내산 식용 지하 부위 채소의 생산지역에 따른 무기질 성분 함량에 관한 연구 (Mineral Contents of Underground Vegetables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of Korea)

  • 장경미;이미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25-430
    • /
    • 2000
  • 우리 나라에서 재배하여 생산한 식용 지하 부위 채소들(감자, 고구마, 당근, 무, 양파, 마늘)의 생산지역에 따른 무기질 성분의 차이와 중금속 함유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그 성분을 분석하였다. 먼저 microwave digestion oven에서 시료를 HNO$_3$ 4ml(65%)과 $H_2O$$_2$1ml(30%)로 용액 화하여 hot plate에서 시료를 1 ml까지 휘발시켜서 1% HNO$_3$로 희석한 후 ICP-AES로 무기질 성분을 정성, 정량 분석하였다. 모든 시료에서 가장 많이 분석된 무기성분은 K이었으며 각각의 성분 함유도는 모든 시료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감자는 다른 식용지하 부위 채소에 비해 Na와 Fe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게 분석되었는데 K, P, Mg순의 함량을 보였고 K은 김포 지방산이, Ca는 삼척 지방산이 많이 함유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구마는 분석한 거의 모든 지역에서 Ca 함량이 감자의 두 배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당근은 Na 함량이 다른 채소에 비해 높았으며 특히 진부 지방산이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무는 K, Ca, P, Mg 순으로 함량이 높았는데 특히 양구 지방산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Ca의 함량이 높았는데 감자의 5-8배였고, 다른 지하 부위 채소와 비교하여도 2-3배 이상이었다. 양파는 K, P Ca의 함량이 타 채소에 비해 낮게 분석되었었는데 지역별 차이는 많지 않았으며 문경 지방산이 Ca의 함량이 높았다. 마늘의 경우 K의 함량은 의성 지방산이, Ca의 함량은 서산 지방산이 높았으며 K과 P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 PDF

메밀의 영양성분과 냉동건조 막국수의 이화학적 성질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Buckwheat Flour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eeze-dried Buckwheat Noodles)

  • 이상영;심호흠;함승시;이해익;최용순;오상룡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54-362
    • /
    • 1991
  • 메밀성분에 대한 영양생화학적 가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강원도산 메밀분의 일반성분, 무기질,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였고, 이것을 메밀면 제조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소맥분과 복합분을 만들어 일반성분 및 무기질을 분석하였다. 3가지 원료에 대한 일반성분의 차이는 대등하였고, 무기질은 메밀분에 종피가 많이 함유될수록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수입메밀분에서는 특이하게 Ca, Fe, Mn의 함량이 높았다. 무기질의 종류는 Ca을 비롯하여 9가지가 정량되었으며 Se, Na, Mg 등이 풍부하여 영양학적 가치가 높이 평가되었다. 아미노산 조성은 필수아미노산 9가지를 비롯하여 모두 16종이 분석되었고, arginine은 강원도산 메밀에 특이하게 많았고, 수입메밀에서는 흔적으로 정량됨으로서 국내산 메밀이 영양학적 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제면과정중에 복합분의 호화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extrusion 제면기로 8$0^{\circ}C$에서 제면하였을 때와 면을 냉동건조 그리고 냉장하였을 때 호화도의 변화를 BAP법으로 분석한 결과 제면 직후 시료는 76% 정도로 호화되었고, 냉장저장 과정중에 노화현상이 다소 일어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