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균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2초

지속적 경막외 차단중 발생한 세균성 뇌막염 (Bacterial Meningitis during Continuous Epidural Block)

  • 이정구;정정길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7권1호
    • /
    • pp.113-115
    • /
    • 1994
  • 통증치료를 목적으로 통증치료실에서 경막외 카테타 거치술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지속적 경막외 차단은 통증치료실에서 가장 필수적인 치료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암성통증, 대상포진, 혈관폐쇄성질환, 요하지통 등 여러가지 질환에 따라 수일에서 수개월간 경막외 카테터를 거치하여 치료하고 있다. 합병증으로 장기간의 경막외 카테터 유치로 인한 경막외 감염의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고 있고 경막외 농양 동의 경막외 감염중이 드물게 발생하며 세균성 뇌막염의 발생은 매우 희귀하다고 한다. 본원에서는 당뇨병환자로서 우하지의 당뇨병성 말초 신경염으로 인한 통증의 치료를 위해 시술한 지속적 경막외 차단 도중 발생한 세균성 뇌막염을 1예 경험하였으며 이와 같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경막외 천자시, 경막외 카테터 거치후에 지속적인 카테터 관리와 약물주입시 무균조작의 중요성을 절감하여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감자 바이러스 무균종묘의 대량생산과 플러그화에 관한 기초 연구 (Production of Plug Plantlets for Mass Propagation Using Stem Cuttings of Virus Free Microtubers in Potato)

  • 박양문;소인섭;유장걸;강봉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78-686
    • /
    • 1997
  • 감자의 생장점 배양을 통하여 생산된 소량의 소괴경(microtuber)을 경삽하여 균일하게 생장된 플러그우량묘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삽수를 정단 및 기부부위로 구분하고 NAA 및 IAA 10 mg /1 용액에 2시간 침지하여 cocopeat, vermiculite, perlite, peatmoss 혼용배지를 이용한 삽목과 온로장 처리 ,포장정식후 괴경형성효을에 대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감자의 소괴경 유내 줄기를 이용한 플러그 삽목시 고체배지는 cocopeat, vermiculite, perlite, peatmoss를 이용한 혼합배지에서 플러그의 형성율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2. 고온장일조건(2$0^{\circ}C$이상, 16시간의 일장)에서는 지상부생육 및 지하부발근이 양호하였으나, 외부방치구에서는 발근이 부진하고 복지가 발생하여 소괴경이 형성되었다. 3. 지상, 지하부 생체중은 생장조절제 전처리시 NAA 10mg/1 및 IAA 10mg/1 간에 차이가 없었다. 4. 삽수부위별로는 삽목묘의 초기생육은 초장에서는 비슷한 경향이었고, 그 외 엽수, 근수, 근장 등의 형질은 정단부위묘가 양호하였지만, 포장정식 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5. 삽목묘를 봄재배하여 괴경형성여부를 시험한 결과 초장은 70~80cm, 복지수 10여개, 괴경수는 7~8개가 형성되었다.

  • PDF

세포배양법과 PCR 방법에 의한 물에서의 폴리오 바이러스 검출 (Detection of Poliovirus in Water by Cell Culture and PCR Methods)

  • 조연희;이찬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98-204
    • /
    • 2002
  • 폴리오 바이러스는 전형적인 장관계 바이러스로 마비, 무균성 수막염, 뇌염 등을 유발한다. 폴리오 바이러스는 분변-구강 경로를 통해 전파되며, 오염된 물을 음용수로 사용할 시 공중 보건에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먹는 물에서 폴리오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것은 중요하다. 감염성이 있는 바이 러스와 불활성화(열처리와 자외선 처리)시킨 바이러스를 세포배양법,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법(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그리고 세포배양-중합효소 연쇄반응 통합법(integrated cell culture-PCR: ICC-PCR)으로 검출 실험을 했다. 감염성이 있는 폴리오 바이러스는 세 가지 방법으로 모두 검출이 되었으며, 이 중에서 바이러스를 검출하는데 ICC-PCR 방법이 가장 민감했다. 세포배양법은 적은 수의 바이러스를 검출하는데 약 2주의 긴 시간이 걸렸다. 열처리나 자외선 처리로 불활성화된 바이 러스는 세포배양과 ICC-PCR방법으로는 검출이 되지 않았다. 자외선 처리한 바이러스는 RT-PCR 방법으로 검출되지 않았으나 열처리한 바이러스는 검출되었다. RT-PCR 방법은 감염성 바이러스뿐 아니라 불활성화된 바이러스도 검출할 수 있으므로 감염성이 있는지 없는지를 구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감염성 있는 바이러스를 가장 민감하고 효과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이 ICC-PCR 방법이라는 것을 제시하여 준다.

오이(Cucumis sativus L.) 기관분화 및 체세포배 발생을 통한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Through Organogenesis and Somatic Embryogenesis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 김재훈;오승용;이행순;곽상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5-129
    • /
    • 1998
  • 기내에서 무균 발아시킨 오이 유식물체의 자엽절편과 하배축으로부터 기관발생 및 체세포배 발생 경로를 통한 식물체 재분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자엽절편을 1,0mg/L zeatin과 0.1mg/L IAA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4주간 배양하였을 때 사용한 모든 품종에서 부정아의 형성이 가장 양호하였다. 자엽절편의 기저부에서 유도된 부정아를 0.2mg/L IAA가 첨가된 MS 배지에 이식하여 뿌리를 유도하여 완전한 소식물체로 발달시켰다. 한편, 하배축을 약 5-10mm 크기로 절단하여 1.0mg/L 2,4-D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낙합계 품종에서 배발생 캘러스가 유도되었다. 같은 조건의 배지에서 2-3주 간격으로 계대배양을 실시하면서 배발생 캘러스만을 선발하여 유지 및 증식시켰다. 배발생 켈러스를 2,4-D가 첨가되지 않은 MS 배지에 옮겨 배양하였을 때 약 1주 후부터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구상형 시기의 체세포배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심장형, 어뢰형 및 자엽기 시기를 거처 발아하여 소식물체로 발달하였다. 자엽절편 및 하배축 배양으로부터 유도된 소식물체는 잎이 2-3장 정도 되었을 때 화분에 옮겨 온실에서 순화시켜 과실을 얻을 수 있는 완전한 식물체로 재분화시킨다.

  • PDF

형질전환된 상추내에서 GUS 유전자의 발현 및 후대검정 (Expression of $\beta$-Glucuronidase (GUS) Gene in Transgenic Lettuce (Lactuca sativa L.) and Its Progeny Analysis)

  • CHUNG, Jae Dong;KIM, Chang Kil;KIM, Kyung Min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25-229
    • /
    • 1998
  • 상추의 종자 무균발아후 4일된 자엽조직을 GUS 유전자가 도입된 A. tumefaciens LBA 4404와 2일간 공동배양한 다음 0.1mg/L NAA, 1.0mg/L 2ip, 50mg/L kanamycin, 500mg/L carbenicillin이 첨가된 MS 배지에 배양하여 식물체를 재분화시켰다. PCR 분석결과 GUS 유전자가 형질전환된 식물체의 게놈상에 삽입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부학적 GUS 활성을 분석하여 형질전환된 식물체의 줄기, 잎 그리고 뿌리에서 GUS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체로 확인된 식물체를 자가수정시켜 얻어진 종자의 GUS 활성을 분석하여 GUS 유전자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파종시기가 Fodder Beet ( Bta vulgaris crassa Alef. ) 품종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Times on the Fresh Yield of Fodder Beet Varieties)

  • 이주삼;안종호;조익환;노진식;상병돈;박무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0-145
    • /
    • 1995
  • This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eding times on the fresh yield of fodder beet varieties, and to select the most adaptable varieties of fodder beet in Daekwanryeong areas. Three varieties(Kyros, Zorba and Hugin) and six seeding times(25 July, 4 Aug. and 14 Aug. in 1993. and 30 Apr., 10 May and 20 May in 1994) were combined in the experiment.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seeding time for the highest fresh yield of fodder beet was obtained as 18.29 tonha on 25 July in 1993. Of various varieties, the highest fresh yields were 22.59 ton and 18.89 tonlha for Kyros and Zorba on 25 July, and 19.15 tonha for Hugin on 4 Aug. in 1993. 2. The fresh yield of fodder beet were 20.30 ton, 19.41 ton and 16.93 tonlha on 30 Apr., 10 May and 20 May in 1994, respectively. The highest fresh yield of the varieties were 77.78 ton for Kyms on 20 May, 19.79 ton for Zorba on 30 Apr., and 20.63 tonha for Hugin on 10 May in 1994. 3. Shoot and root(S/R) ratio was different between seedling times. S/R ratio of the varieties were increased in 1993 due to the delayed seeding times, but on the contrary it tended to decrease in 1994 with the delayed seeding times. 4. Shoot and root(S/R) ratios of varieties were 0.94, 0.89 and 1.18 for Kyros, Zorba and Hugin in 1993, and 1.29 for Kyms, and 1.85 for Zorba and Hugin in 1994, respectively.

  • PDF

감마선 멸균기술을 이용한 의약외품의 무균보증수준(SAL 10-6) 확보 및 세포독성 평가 (SAL 10-6 and Cytotoxicity of Sanitary Aid Products Utilizing Gamma Sterilization Technology)

  • 김광훈;엄용운;이후철;박성현;김수진;김관수;박순연;정일윤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3-140
    • /
    • 2014
  • The sterilization of health care products is widely used to choose conventional Ethylene Oxide gas sterilization in South Korea. But the method has brought serious issues because of the toxic residual gas and global warming of $CO_2$ evacuation after the sterilization process.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confirm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gamma sterilization instead of Ethylene Oxide in sanitary aid products. Four kinds of products (gauze, menstrual pad, bandage, menstrual tampon) were treated with gamma irradiation of 15 kGy, then analyzed the achievement of the sterility assurance level (SAL) $10^{-6}$ through BI test. The cytotoxicity of accelerated samples of 6 months elapse evaluated by means of colony forming rate at various concentration of the extracts. pH and UV measurements at extract concentrations were tested according to the MFDS (Ministry of food & drug safety) guideline to verify a stability & safety of product sterili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extrac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in cytoxicity assay as well as pH and UV values by gamma sterilization. All extract concentration was observed high cell viability, pH and UV values were calculated within the acceptable range prescribed by the guideline. It indicates that gamma sterilization could effectively substitute for conventional sterilization such as Ethylene Oxide sterilization in the sanitary aid products.

국내 환경에서 실내 부유진균 포집 방법 연구 (Study on sampling methods for mold from indoor air in domestic environment)

  • 안금란;김보영;김지은;손부순;박무균;김성연;권명희;김성환
    •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7-53
    • /
    • 2017
  • Mold is one of the important bio-aerosols affecting human health in the indoor environment. To manage mold contamination, it is necessary to use an appropriate method for its detection and enumeration. Recently, the impaction method of ISO 16000-18 has been established as one of methods to detect and enumerate molds in air. To investigate the general use of the impaction method for mold detection in domestic indoor environments, the suitability of the method was assessed using different antibiotics, media and air samplers. All of the three antibiotics tested - ampicillin, chloramphenicol and streptomycin -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bacterial colony formation on MEA and DG-18 media, without inhibiting mold growth. Of these three antibiotics, ampicillin was the most effectiv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MEA and DG-18 media in the measurement of mold concentration. The formation of discriminative colony morphology was more apparent in DG-18 media.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surement of mold concentration was found between Andersen samplers and MAS-100NT samplers, which are two major samplers introduced in Korea.

산불로 인해 훼손된 비봉산 산림유역의 수질 영향 평가 (Evaluation of the Water Quality Impact of Bibong Mountain Forest Basin for Forest Fire Damage)

  • 안성훈;김의석;안용빈;홍은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16-416
    • /
    • 2023
  • 전 국토의 산지 비율이 높은 우리나라는 산림지의 특성이 수질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산림지역의 화재에 있어 산림이 갖는 수질, 토성의 변화와 발생한 연소 퇴적물, 유기물로 인해 수자원에도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산불은 단순한 산림지의 자원 유실뿐만 아니라 토양층의 물리적약화와 강수저류 효과를 떨어뜨려, 산불 후 유출의 증가를 보인다. 삼척시의 산불 선행연구에 따르면, 산불 발생 직후, 지역의 직접 유출이 기저 유출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모든 수질인자의 평균 농도는 비발생지역에 비해 발생 지역의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이 중 T-N, T-P, SS의 농도가 특히 크게 나타났다. 또한, 계류 수질의 경시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BOD와 COD는 산불 발생 최소 4개월의 기간을 거친 후 점차 안정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산불로 인해 훼손된 물 환경의 상황을 복구하고자 하는 연구의 데이터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2년 4월 산불이 발생한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송청리 비봉산 일대의 산불 유역을 대상으로 산불에 따른 물 환경의 변화를 밝힘으로써 산불로 훼손된 지역의 효과적인 수질 회복과 물 환경 보전 대책 수립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2023년 4월 양구 비봉산의 산불 복구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데 복구 전 현재 수질의 상황을 살펴봤다. 조사 지역은 비봉산 일대의 산불 지역과 비발생 지역, 오봉산 일대까지의 유역 출구 총 7개의 지점을 선정하였다. 기본 수질항목은 현장에서 YSI PROPLUS (Mobile Multi Sensor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채취한 시료는 무균 채수 병에 담아 실험실로 운반하여 SS (Suspended Solids), TP(Total Phosphorus), TOC (Total Organic Carbon) 항목에 대해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SS, TOC, t-p의 경우, 지정학적 특성, 산불에 의한 퇴적물들의 변화와 토양의 형태 및 식생의 변화로 인한 결과의 차이를 보였다. 1년이 지난 지금 산불 직후처럼 높은 수치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아직 복구 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아 그 영향에 대해 무시할 정도로 안정화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산불 발생 후 강우 및 토사유출에 대한 비 산불 지역과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수질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또한, 수처리 기술개발을 포함한 예방책을 만들어 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길 바란다.

  • PDF

Rapid Progression to Brainstem Encephalitis Caused by Enterovirus 71 Without Throat and Skin Lesions After a One-Day Fever

  • Kyung Min Kim;Soo Yeon Kim;Mi Kyoung Song;Ji Young Kim;Anna Cho;Ji Young Park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0권2호
    • /
    • pp.91-96
    • /
    • 2023
  • Enterovirus (EV) 71은 무균성 뇌수막염 환자로부터 처음 분리된 이후로 주로 수족구병으로 나타났으며 소아에서 전형적인 피부 발진, 구강 병변 및 발열을 동반한다. 피부 발진은 수포성으로 손과 발에 영향을 미치고 수포가 없는 반구진 양상일 수도 있으며 특히 어린 소아 및 유아에서는 팔꿈치, 무릎 그리고 엉덩이를 침범할 수도 있다. EV 71 감염으로 인한 신경학적 합병증은 매우 드물지만 주로 뇌간 뇌염으로 나타난다. 대근육 운동 발달 지연 이외에 건강했던 30개월 된 남아가 발열, 혼수 증상으로 내원하였고 입원 후 무호흡 및 호흡 정지 증상이 동반되어 뇌척수액 검사 및 뇌 MRI, 뇌파검사를 하였다. 검사 결과 뇌간 뇌염 및 미만성 대뇌 기능 장애가 확인되었고 비인두도말 및 대변 검체에서 EV 71이 검출되었으며 유전자 검사에서 myoclonic epilepsy with ragged red fiber syndrome이 확인되었다. 저자들은 기저미토콘드리아 질환으로 인해 인후 및 피부 발진의 증상 없이 발열 하루 만에 빠르게 진행되는 EV 71 감염으로 인한 뇌간 뇌염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