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몸통벨트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ATB 프로그램에서 삼점식 좌석 벨트 모델의 구현 (Implementation of 3-point Seat Belt Model into ATB Program)

  • 전규남;손권;최경현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45-154
    • /
    • 2003
  • Occupant simulation models have been used to study trends or specific design changes in several typical crash situations. The ATB, Articulated Total Body, was developed and used to predict gross human body responses to vehicle crashes and pilot ejections. Since the ATB source code is open to public, the user can add their own defined modules and functions. The introduction of seat belts into car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injury risk of passengers in frontal impacts. In this paper, a new seat belt model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to the ATB. For this purpose, a subroutine of the new seat belt was constructed. A force-deflection function was added to replace an existing function to consider energy absorption. The function includes hysteresis effects of the experiment data of the loading and unloading parts of the seat belt load-extension curve. Moreover, this belt model considers a slip between ellipsoid and belt segments. This paper attempted to validate the ATB program which includes the subroutine of new belt models comparing with the real car frontal crash experiments and MADYMO frontal models. The analysis focusses on the human movement and body accelerations.

Effects of Thorax Belt Application on the Spinal Stability in Subjects with Wide Infra-sternal Angle

  • Ha, Sung-m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143-14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 범위보다 큰 명치각을 가진 대상자들에게 가슴벨트 적용이 척추 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상 범위보다 큰 명치각을 가진 총 15 명의 대상자가 본 연구에 참여했으며 가슴벨트 적용 유-무의 조건에서 능동적 두 다리 내리기와 능동적 한 다리 올리기가 수행되었다. 가슴 벨트 적용 여부에 따라 수행 된 두 가지 척추 안정성 테스트 (능동적 두 다리 내리기와 능동적 한 다리 올리기)는 각 조건 간에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가슴벨트 적용은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명치각으로 인해 척추 또는 몸통 불안정성을 가진 대상자에게 척추를 안정화 시켜줄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적 방법으로 여겨진다.

복부압박벨트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즉각적으로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Immediate Effects of Abdominal Pressure Belt on Limited of Stability and Gait Parameter in Patients after Chronic Stroke: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 박신준;조균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63-69
    • /
    • 2020
  • 본 연구는 복부압박벨트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안정성한계와 보행 변수에 즉각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뇌졸중 환자 30명을 모집하여 복부압박벨트 착용 전과 복부압박벨트 착용 후 변화를 확인하였다. 측정은 균형변수인 안정성한계(limited of stability), 시공간적 보행 변수(spatiotemporal gait parameter)를 측정하였다. 복부압박벨트 착용 후 마비측, 비마비측, 전방, 후방 이동면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시간적 보행 변수인 분속수(cadence), 보행속도(gait velocity), 공간적 보행변수인 보폭(stride length)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본 연구를 통해 복부압박벨트 착용은 뇌졸중 환자에게 균형과 보행 기능 개선에 즉각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기능 개선에 효율적인 복부압박 수준과 중재기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양반 앉은 자세에서의 SPINE-GUARD 착용이 허리부위의 코브각 및 통증 그리고 몸통 굽힘각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Impacts from the Wearing of a SPINE-GUARD on a Cross-Legged Sit on Variations of the Cobb's Angle, Lower Back Pain and Trunk Flexion Angle)

  • 최석주;정봉재;최완석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277-282
    • /
    • 2011
  • 앉은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면 허리의 만곡에 변화가 오면서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양반 앉은자세에서 SPINE-GUARD(허리 안정화 벨트) 착용이 허리뼈의 코브각과 허리통증 그리고 몸통 굽힘각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자 15명(남자)은 2주 동안 주 5회 매회 90분씩 벨트를 착용한 채로 영화를 감상하거나 강의를 들었다. 허리뼈의 코브각은 착용전 $48.36{\pm}14.57$에서 착용후 $28.09{\pm}11.63$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통증은 착용전 $4.53{\pm}2.36$이고, 착용후 $2.733{\pm}2.153$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몸통의 굽힘각도 또한 착용전 $82.33{\pm}20.30$에서 착용 후 $70.2{\pm}19.43$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이것으로 보아 SPINE-GUARD의 착용은 허리뼈의 코브각 및 몸통굽힘각도의 변화 그리고 통증의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스마트 웨어러블 지뢰탐지 장치 연구 (A Study on Apparatus of Smart Wearable for Mine Detection)

  • 김치욱;구경완;차재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63-267
    • /
    • 2015
  • 현 지뢰탐지기는 탐지를 실시한 곳과 실시하지 않은 지역을 구분할 수 없고, 많은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센서 헤드부를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지 않거나, 너무 빨리 움직이는 경우 지뢰를 정확히 탐지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단방향 초음파 센싱신호를 통한 지뢰탐지 오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Human Body 안테나부,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부, 스마트 안경부, 바디장착형 LCD모니터부, 무선데이터 송수신부, 벨트형 전원공급부, 블랙박스형 카메라부, 보안통신 헤드셋으로 구성하여 전투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신체의 머리, 몸통, 팔, 허리, 다리에 탈 부착식으로 장착, Superhigh Frequency RF Beam을 통해 지뢰를 탐지하는 Human Body 안테나부를 적용, 지뢰의 금속 비금속이 아닌, 지상(하)에 매설된 기폭제를 전방위($360^{\circ}$)로 탐지할 수 있고, 지뢰의 거리 위치 형태 재질을 2D 또는 3D 영상으로 스마트 안경 및 신체장착형 LCD모니터부에 실시간 표출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투병이 지상(하)에 있는 지뢰를 회피, 신속하게 기동할 수 있다. 아울러 휴대용 배터리와 벨트형 전원공급부의 Twin-Self Supplements of electricity을 통해 별도의 충전 없이 3~7일간 전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원격지의 전투상황을 원격지 전투지휘서버에서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전투병 1:1로 전투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전투현장에 있는 것과 같은 생동감 있게 전투상황을 원격지휘할 수 있는 스마트전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Smart Wearable Minefield Detection System을 제안하고자 한다.

옆으로 누워 엉덩관절 벌림운동 시 복부드로우-인, 복부브레이싱, 골반압박벨트가 중간볼기근과 몸통 근육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bdominal Draw-in Maneuver, Abdominal Bracing, and Pelvic Compression Belt on Muscle Activities of Gluteus Medius and Trunk During Side-Lying Hip Abduction)

  • 김동우;김태호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2-30
    • /
    • 2018
  • Background: Improvement of lumbo-pelvic stability can reduce the compensatory action of the quadratus lumborum (QL) and selectively strengthen the gluteus medius (GM) during side-lying hip abduction (SHA). There are abdominal draw-in maneuver (ADIM) and abdominal bracing (AB) as active ways, and pelvic compression belt (PCB) as a passive way to increase of lumbo-pelvic stability. It is necessary to compare how these stabilization methods affect the selective strengthening of the GM. Objec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IM, AB, and PCB during SHA on the electromyography (EMG) activity of the GM, QL, external oblique (EO) and internal oblique (IO), and the GM/QL EMG activity ratio. Methods: A total of 20 healthy male adul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ubjects performed three conditions in side-lying in random order: SHA with ADIM (SHA-ADIM), SHA with AB (SHA-AB), and SHA with PCB (SHA-PCB). To compare the differences among the three conditions, the EMG activities of the GM, QL, EO and IO, and GM/QL EMG activity ratio were analyzed using one-way repeated ANOVA. Results: The EMG activity of the Q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HA-AB than in SHA-ADIM and SHA-PCB. The GM/QL activity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HA-PCB than in SHA-ADIM and SHA-AB. In addition, the figure for SHA-ADI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or SHA-AB. In the case of the EO, the figure for SHA-AB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rresponding values for the other two conditions. The figure for SHA-ADI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or SHA-PCB. The EMG activity of the 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HA-AH than in SHA-PCB. Conclusion: It can be suggested that wearing the PCB can more selectively strengthen the GM than to perform ADIM and AB during SHA. In addition, the ADIM can be recommended when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abdominal muscles during S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