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목초지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imulated water quality effects of alternate grazing management practices (가축 방목형태에 따른 수질영향 모의)

  • Park, Jo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52-52
    • /
    • 2018
  • 목초지에서 비점오염원 유출특성은 가축밀도(stocking rate)와 방목형태(grazing management practice)에 기인하여 다르게 나타난다. 전통적인 방목형태는 한 대상지역에서 높은 가축밀도의 연속적인 방목(continuous grazing)을 취하는 것인데, 이 경우 토양압밀에 따른 강우의 침투량 감소, 가축의 배설물 축적 등으로 비점오염 유출량이 증가할 수 있으며, 식물의 재성장기간 부족으로 지속적인 방목지 운영이 어려울 수 있다. 순환방목(rotational grazing)은 이러한 연속적 방목 형태의 부정적인 영향을 개선하고자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방법은 구역을 나누고 초본식물의 생육상태를 고려하여 일정기간이 지나면 다른 구역으로 이동 시키며 방목하는 형태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단위 면적당 적정 가축밀도, 필드규모에서 방목형태에 따른 비점오염 유출특성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결과들은 가축밀도의 영향보다는 방목형태에 의한 수문, 수질 영향이 더 크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축밀도(Heavy vs Light) 및 방목형태(Continuous vs Rotational)가 유역의 비점오염 유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미국 북텍사스 지역에 위치한 Clear Creek 유역을 대상으로 4개의 방목시나리오(heavy continuous[HC], light continuous[LC], multi-paddock[MP], no grazing)를 구성하고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 모형에 적용하였다. SWAT 모형은 대상유역 내 4개의 방목지에서 측정한 토양수분 및 식물 바이오매스 자료, 유역 출구점에서 관측된 장기간의 수문 수질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는 순환방목(MP) 시나리오가 수질보호 및 토양침식 방지, 식생의 영양염류 흡수능력이 커지는 것과 같이 생태계서비스 기능의 개선 측면에서 최적의 방목형태(best grazing management)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가축밀도 보다는 방목형태에 기인한 것으로 필드와 유역스케일에서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유역 내 목초지의 차지비율에 따라 순환방목 채택에 따른 비점오염 유출량의 감소효과는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 PDF

Current Status of Forage Use on the Goat Farming in Mountainous Pasture (흑염소 방목초지의 사초생산성 및 사료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 Moon, Sang Ho;Kim, Sang Woo;Choi, Gi Jun;Jang, Se Young;Park, Jae Hyun;Jeon, Byong Tae;Kim, Myoung Hwa;Kim, Sung Jin;Oh, Mi R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35 no.2
    • /
    • pp.112-118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basic information for the promotion of the goat industry and the improvement of mountainous-pasture management by investigating seasonal changes in forage and livestock productivity according to the grazing-pasture type. The forage productivity of rangeland was the highest (p < 0.05) in summer and decreased in autumn; but that of pasture was the largest (p < 0.05) in spring and had relatively stable productivity with minor seasonal differences, although it decreased slightly in autumn. The dry matter content was not seasonally different at pasture, but it was changeable from spring to autumn at rangeland. The crude protein content increased in autumn at pasture (p < 0.05), and decreased in summer and autumn compared with spring at rangeland. The crude fiber content was lower and the ether extract was higher at pasture compared with rangeland. The average daily gain of the goats was different depending on forage productivity and pasture type; consequently, the lowered forage productivity at rangeland compared with pasture means that rangeland needs to be changed or improved to a pasture type that provides a more effective grazing system for goats.

Effect of Rate and Timing of Reseeding on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Forages in Forest Fire Burnt Pasture (산불 피해 목초지에서 보파량과 보파 시기가 초지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 Lee, Joung Kyong;Yoon, Sei-Hyung;Lim, Young-Cheol;Ji, Hee-Chung;Kim, Ki-Young;Choi, Gi-Jun;Kim, Won-Ho;Kim, Jong-Geun;Park, Hyung-Soo;Tandang, L. L.;Seo, 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28 no.3
    • /
    • pp.245-250
    • /
    • 2008
  • On April 4 to 6, 2005, there was a huge fire in Yangyang-gun, Kangwon-do, Korea, which burned over 250ha of forests and 246 buildings including 160 houses. The effects of reseeding rate and timing on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forages in the forest fire burnt pasture in this study were investigated. The effect of reseeding could not be seen in the burnt pastures in terms of forage productivity and quality in short term but there was a long-term effect particularly with higher reseeding rates at later days after the fire on forage botanical composition. We concluded that forest fire brought reduction in pasture forage yield for a short period but it did not make a significant effect for a long term.

Weed Flora of Range Area in Cheju Island in Korea (제주도(濟州道) 목초지(牧草地)에 발생(發生)하는 잡초종(雜草種))

  • Kim, K.U.;Kim, S.H.;Kim, C.G.;Kim, J.H.;Shin, D.H.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 /
    • v.8 no.3
    • /
    • pp.291-294
    • /
    • 1988
  • About 136 weed species belonging to 44 families occurring in summer observed in Cheju island. The Compositae was the most widely occurring family covering 29 weed species, followed by 16 species in Graminae, 14 in Leguminosae, 13 in Rosaceae, 10 in Polygonaceae etc., The dominant weed species detected in range areas of Cheju island were Trifolium repens, Botrychium virginianum, Rosa multiflora, Miscanthus sinensis, Imperata cylindrica. The range areas of Cheju island consisted of the communities of Artemisia princeps-Botrychium virginianum, Artemisia princeps-Erigeron borariensis and Dianthus sinensis, and Artemisia-Lespedeza bicolor and Miscanthus sinensis and then the differential species of their communities were Botrychium virginianum, Erigeron boriensis, and Lespedeza bicolor and Miscanthus sinensis, respectively. The species of the high frequencies occurring in investigated sites were Artemisia princeps, Cirsium rhinoceros, Hydrocotyle ramijlora, Rosa multiflora, Sanguisorba officinalis, Rubus crataegifolius, Potentilla fragariodes, Erigeron annus, Plantago asiatica, Oxalis corniculata, Mosla dianthera in order.

  • PDF

프랑스 오리산업(波國鴨産業)

  • Korea Duck Association
    • Monthly Duck's Village
    • /
    • s.64
    • /
    • pp.75-79
    • /
    • 2008
  • EU시장통합에 의욕을 가진 미테랑 대통령은 경제기반의 강화, 금융.자본시장의 개혁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1992년에는 14년 만에 약 57억 달러에 이르는 무역흑자를 기록하는 등 농산물과 군수품 및 첨단 분야의 수출이 호조를 보였다. 제2차 세계대전 후 비약적인 발전에 대응하여 농업도 큰 변화를 계속하고 있다. 농업의 비중은 다른 선진 공업국에 비해 큰 편으로, 오늘날에도 여전히 공업국인 동시에 농업국으로서의 위치를 지키고 있다. 지금은 기계화 중심의 대규모 농업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농업경영의 통합이 촉진되어 농가수가 크게 줄어드는 경향으로, 농촌인구의 도시 유출이 현저하다. 프랑스에서 산출되는 농산물의 종류는 대단히 풍부하다. 국토의 25%가 목초지인 프랑스는 소와 말 사육을 비롯한 축산업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북경 오리생산업체인 Orvia가 프랑스에 있다.

  • PDF

우리나라 자생 사초의 생태적 반응에 관한 연구

  • 박근제;윤세형;이종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Conference
    • /
    • 1999.06a
    • /
    • pp.80-80
    • /
    • 1999
  • 본 연구는 목초지 및 야초지에 자생하는 주요초종에 대해 생태적 반응(생태가)를 부여하여 식생구성에 의한 초지의 토양 환경생태를 평가하는데 기여코자 하였다. 각 초종에 대한 생태가는 수분가 1-12, 토양반응가 및 질소가를 각각 1-9 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먼저 우리나라의 초지 및 산지초지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141 초종에 대해서 생태가를 부여하였다.(중략)

  • PDF

Soil microarthropods in pasture at Unbong, Namwon city (운봉지역 목초지의 토양미소절지동물)

  • 권용립
    • The Korean Journal of Soil Zoology
    • /
    • v.3 no.2
    • /
    • pp.72-77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of soil microarthropods in pasture at the Unbong Area, to fulfil this purpose, samples were taken from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Namwon branch from 24. June, 1998 to 18. Setemb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Collembola was hight in cattle and goat pasture, and Acarina was hight in wild and gathering pasture. Oribated mites were also hight in wild and gathering pasture more than cattle and goat pasture. Oribatid mites as a vectors of cestodes were identified 7 species of Carabodes peniculatus, Carabodes sp., Scheloribates laevigatus, Scheloribates latipes, Scheloribates rigidisetosus, Galumna cuneata and Galumna sp. The diversity indices showed hight in wild and gathering pasture. According to the MGP analysis I was type GP, and analysis II was type 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