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목조 주택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4초

축소모형 실험을 통한 벽체의 열관류 측정 (Assessment on Thermal Transmission Property of Wall Through a Scaled Model Test)

  • 장윤성;김세종;심국보;이상준;한영중;박용건;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884-889
    • /
    • 2015
  • 구조용 부재의 단열성능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냉난방에너지에 대한 합리적 제어는 건물의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한국의 일반적인 주택 난방방식은 바닥난방이다. 이와 같은 복사난방방식은 국내의 지정학적인 조건 또는 기후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온열감에 따른 정서적 안정감을 준다는 장점을 가진다. 국내의 바닥난방시스템을 적용하여, 목조공간과 콘크리트조 공간을 대상으로 축소모형을 제작하였다. 천장은 스티로폼으로 단열하고 벽과 바닥은 각각 합판과 콘크리트로 구성하였다. 바닥에는 난방필름을 부착하였다. 바닥난방에 따른 실내의 온도분포는 열전대로 측정하였고, 벽체 표면의 온도는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하였다. 목조주택의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축소모형의 단열성능을 평가하였다. 다양한 벽체와 바닥구성을 지닌 모형들의 단열성능평가 자료는 실제 주택의 열환경 분석시 참고기준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의 주택시장구조(住宅市長構造)와 목조주택개발(木造住宅開發) (Housing Market and Opportunities for Wood Frame Housing in Korea)

  • 박문재;김외정;한갑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9권3호
    • /
    • pp.45-52
    • /
    • 1991
  • To investigate opportunities for wood frame housing and to activate wood frame house construction, trends of construction activities. preference about housing, and building codes related to wood frame housing were discussed. And two models of wood frame house were developed and construction cost was analyzed to compare with comparative masonry house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While 77.8% of people prefer single-family houses, majority of people(74.9%), ironically, possess multi-family houses such as apartments Wood work cost was ratio of 4% of total building cost. while wood material cost accounted merely for 11 % out of total building material cost. 2. Building code was not major barrier to residential house at height under 13m. The building code regulated major structural member and family boder wall of multi-family house to be built with fire retardant material. 3. The proper wood frame house was analyzed of town house or villa type locating in suburban of big city with hot ondol system for the upper middle class. 4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nstruction cost between western style wood frame house and comparable masonry house, but construction cost for Korean style wood frame house is 27% higher than that of comparable masonry house. It was necessary to reduce materials and cost down by prefabrication technique for both style of wood frame house.

  • PDF

우리나라 주택분야 내 목제품의 탄소저장량 추정 (An Estimation of Carbon Stocks in Harvested Wood Products in Korean Houses)

  • 최수임;주린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4호
    • /
    • pp.708-714
    • /
    • 2011
  • 목재는 연소나 분해되기 전까지 산림이 흡수한 이산화탄소를 장기간에 걸쳐 목제품 내에 저장한다. 이러한 목제품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곳은 종이 및 펄프를 제외하면 주택분야로서 주택 내의 목재사용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주택 내에 사용되고 있는 목제품의 탄소저장량은 어느 정도인지 추정하였고, 이러한 주택 내에 사용한 목제품의 탄소저장량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주택 내 목제품의 탄소저장량은 2010년 현재 28.4백만 $tCO_2$으로 2007년 기준 우리나라 연간 온실가스 총 배출량(620백만 $tCO_2$)의 약 4.6%, 토지이용, 토지이용변화 및 산림부분(LULUCF) 흡수량의 약 77.4%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주택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역할은 목재사용량이 가장 많은 목조주택이 거의 없음에 불구하고 2010년 주택 내 목제품의 탄소저장량이 1975년 대비 약 4.1배(21.4백만 $tCO_2$)증가한 것은 1980년대 후반부터 본격화된 아파트 건설의 의한 탄소저장량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경골목조주택의 벽체-바닥체 못결합부의 감쇠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amping Ratio of Nailed Joint Connecting Wall to Floor in Light Frame House)

  • 김광모;이전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3호
    • /
    • pp.65-71
    • /
    • 1996
  • In the design of wood structures, the consideration of the dynamic load effect has been increased. Generally, damping ratio is presented as the method of considering dynamic load effect. So, the relationship between joint type and damping ratio was investigated. It has been known that the joint extremely damp the dynamic load in wood structures. Static 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ail size and friction area on joint strength and stiffness. Joint strength and stiffness were increased with nail size. However, the static properties of joint was not affected by friction area. Cyclic 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ail size, friction area and load magnitude on damping ratio, Damping ratio was affected by all factors. Increasing the width of the bottom plate was suggested as the most adequate method to increase the damping ratio without the reduction of the static properties of the structures.

  • PDF

Light Gauge Steel Frame의 해석 및 설계기법

  • 홍건호
    • 전산구조공학
    • /
    • 제10권1호
    • /
    • pp.70-74
    • /
    • 1997
  • LGSF Housing의 설계는 기존의 2*4 목조주택의 설계방법을 그대로 수용하되 박판의 강재를 사용한다는 특성에 따라 부재의 좌굴특성을 고려하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부재의 허용내력은 부재의 형상에 따라 그 좌굴모드가 결정되고 각 모드 중 최소의 값이 부재의 최종 허용내력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은 성상을 살펴볼 때 LGSF Housing은 사용되는 자재의 단면형상 개발에 따라 그 내력의 증진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스틸하우스는 공장에서 제작된 스터드의 현장조립에 의하여 시공되므로 이들 부재간의 접합방법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기존 외국의 시공사례를 살펴보면 부재간의 접합은 주로 핸드건 등에 의한 스크류를 사용한 접합방법이 이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접합방법의 내력평가방법도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제반 문제점 등이 해결된다면 LGSF Housing은 건설공기의 단축을 기할 수 있고, 시공의 신속.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향후 벽체 패널의 공장생산 등을 통한 공업화 건축이 가능하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국내 저층구조물의 설계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농촌 한옥 표준설계도 연구 (A Study on Standard Hanok Design for Rural)

  • 김재웅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9-28
    • /
    • 2016
  • This research aimed to suggest a standard design that reflects Hanok design tendency, and present a selective design that can fulfill a building owner's intention beyond the simple function of building permit or report. In addition, this research attempted to become a standard by establishing a criterion in calculating the measurements of section design or primary framework members, in order to be a guideline for designing Hanok in different sizes and for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building area of Hanok standard design was set to be below $85m^2$, with a straight type of $83.16m^2$ and an L-shape of $84.24m^2$. By dividing the plane into a straight type and L-shape, two straight types were suggested: 'general type' and 'large living room type.' The upper floor space, along with the main room and small room, was proposed as an option to be changed into a room where an underfloor heating is installed depending on the building owner's intention. In addition, a criterion for side design and calculation of framework measurements was suggested and applied, while a five-girder design without high pillars was suggested for material-assembling structure. Two types of pillars-circumference and square cylinder-were proposed for the building owner to choose from, and a pointed beam house and ikgong(orthogonally-projected bracket) house were suggested for pojak bracket structure so either of them could be chosen according to the building owner's taste and economic condition. Finally, the sectional size of main material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form of pojak bracket structure to be proposed.

구조용 직교 집성판 슬래브와 상부 토핑 조건에 따른 바닥충격음 및 공기전달음 평가 (Evaluation of floor impact sound and airborn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cross laminated timber slabs and their toppings)

  • 이효진;하연수;이상준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72-583
    • /
    • 2023
  •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2050 실현을 위한 목조 건축물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구조용 직교 집성판(Cross Laminated Timber, CLT)을 이용한 목조 고층 건축물에 대한 기술적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LT의 기초 음향성능을 검토하기 위해, 국내산 낙엽송과 소나무로 CLT 슬래브(두께 150 mm)를 제작해 바닥 충격음 차단 성능과 음향투과손실을 측정했다. 실험은 상하로 연결된 페어 잔향실에서 수행했으며, CLT 슬래브에 콘크리트 토핑(두께 50 mm ~ 210 mm, 6조건)을 추가해 차음성능 개선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했다. 수종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 성능의 단일수치 평가량을 비교하면, 낙엽송 CLT가 소나무 CLT보다 중량 바닥충격음에서 3 dB, 경량 바닥충격음에서 1 dB 낮았으나, 상부에 콘크리트 토핑을 추가한 조건에서는 수종 간 차이가 없었다. 상부의 콘크리트 층 두께 상승에 따라 중량 바닥충격음이 9 dB ~ 20 dB, 경량충격음이 20 dB ~ 30 dB 저감했다. 이 관계를 면밀도로 분석한 결과, CLT 슬래브의 바닥충격음 차단 성능은 면밀도와 높은 상관관계(R2 = 0.94 ~ 0.99)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CLT 슬래브의 음향투과손실은 수종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면밀도와 주파수로 산출한 음향투과손실 이론치와 실측치의 주파수 특성은 유사하지만 실측치가 8 dB ~ 12 dB 낮아, 보정치를 이용해 실험 대상인 CLT 슬래브의 음향투과손실과 주파수 특성의 관계를 도출했다.

목조주택 모형개발을 위한 평면모듈 설정에 대한 연구 - 기둥-보 방식 구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 Modular Establishment for the Development of Wooden Dwelling Model - Focused on the Post & Beam Structure -)

  • 강만호;주석중;김재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41-148
    • /
    • 2007
  • In this research, to develope wooden house model with post & beam structure which is commensurate with domestic environment, we analyzed the size and module of a unit space and space organization of existing habitation, then, based on the result, we tried to suggest general wood house modules. For this, we investigated 98 floor plans for 30 pyeong apartment in Seoul, Gyounggi-do, Gwangju, and Jeolla-do. The results are showed as follows. 1) It has shown that 7 posts distances are available in 2 bay floor plan type - 3.0 m, 3.3 m, 3.6 m, 3.9 m, 4.2 m, 4.5 m, and 4.8 m. 2) It has shown that 8 posts distances are available in 3 bay floor plan type - 3.0 m, 3.3 m, 3.6 m, 3.9 m, 4.2 m, 4.5 m, 4.8 m, and 5.1 m. It was concluded as follows, applying the standard of regulations of horizontal modular coordination design, from $\ulcorner$the standard of modular coordination design in architecture(KSF 1525)$\lrcorner$. 1) The available widths are 3.0 m, 3.3 m, 3.6 m, 4.2 m, and 4.8 m, and the available depths are 3.0 m, 3.3 m, 3.6 m, and 4.2 m. 2) To guarantee a space through post module of a room combination, we can use a module of 3.6 m, 4.2 m, 4.8 m except 3.0 m, 3.3 m among available modules. The module investigated in post & beam structure wooden house is applied in basic 6 floor plans as follows. 1) When organize the room on the basis of tile module of 3.6 m, 4.2 m, it was possible to organize the floor plan. 2) After arranging main room, making practical application of variableness which is advantage of post & beam structure, putting to practical use of extra space that becomes the combination of atypical room such as kitchen, dining room, and bathroom, it was possible to organize the floor plan of the residence. 3) It is possible to organize whole rooms through the plan module from 3.6 m to 4.2 m, that decides the floor plan of a wooden house.

수성접착제를 이용한 목조주택 내벽용 황토 마감재의 물성 및 친환경성 (Loess(Yellow Soil) Finishing Materials Using Water-based Adhesive for Wooden Construction Indoor Wall)

  • 안재윤;김기욱;김수민;오진경;김현중;박문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100-107
    • /
    • 2007
  • 현대인들은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하루 중 90% 달하는 것을 간주할 때 실내의 공기는 현대에게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1960년대 이후로 산업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건축 재료는 천연재료에서 화학물질을 기본으로 하는 재료로 변하게 되고 에너지 절약의 대책으로 건물의 기밀도를 높임으로써 건축자재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이 현대인에게 악영향을 미치기 시작했고 이런 요소들이 근원이 되어 새집증후군을 유발하게 되었다.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사람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게 되고 보다 유익한 친환경 건축자재를 요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황토, 물, 수지, 경화제, 무기물 충전제를 이용한 친환경 황토 마감재를 개발하였고 한국형 목조 주택 내장벽에 사용할 수 있는 최적의 비율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런 황토 마감재가 실내벽에 사용 시 요구물성인 내잔갈림성, 내세척성, 내충격성, 부착강도를 측정하였고 황토마감재의 특성인 원적외선 실험과 포름알데히드, TVOC 방산 농도를 통하여 친환경성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침엽수 합판의 구조용 및 콘크리트 거푸집용으로서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Softwood Plywood as Structural and Concrete-Form Panels)

  • 이전제;김광철;이국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3호
    • /
    • pp.14-2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향후 공급량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라디아타소나무와 국산 낙엽송의 두 수종을 이용하여 합판을 제조하고 구조용 합판 및 콘크리트 거푸집용 합판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초적인 재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합판의 재질시험 및 못성능 등의 시험을 실시하였고, 콘크리트조 주택 혹은 목조주택 등의 구조용 재료로의 사용을 검토하기 위해 집중하중과 균일분포하중에 의한 구조성능 시험 및 콘크리트 거푸집용으로서의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합판의 기초 재질에 해당되는 비중, 너비 굽음, 길이 굽음 비틀림에 대한 실험 결과, 구조용 재료로서의 기준을 만족하였다. 못 측면 저항력, 못 인발 저항력 그리고 못머리 관통력에 대한 실험 결과, 구조용 재료로서의 벽체나 지붕재에 대한 표준성능을 만족하였다. 이들 두 수종으로 제조한 합판의 경우, 집중하중과 균일 분포하중에 의한 구조성능 평가, 콘크리트 거푸집용으로서의 성능 평가 결과를 볼 때 구조용 덮개재, 바탕바닥 마감재, 콘크리트 거푸집용 재료로의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