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목조문화재건축물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9초

Parametric 모델링 방식을 이용한 전통목조건축물의 3D 디지털 복원 (3D Digital Restoration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 Using Parametric Modeling)

  • 이강훈;조세홍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1164-117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건물 부재간의 수치비례 관계를 이용한 Parametric Modeling 방식을 통하여 효율적인 전통목조건축물 구현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 목조건축인 경복궁 근정전의 구조 및 시공과정을 디지털로 구현한다. 일반적으로 전통건축문화재를 디지털화할 때 건축물의 외형적인 모습에 역점을 두고 제작을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해당건축물을 해체해야 알 수 있는 눈에 보이지 않는 구조물과 이러한 구조물들이 결합하는 건축 시공순서를 보여줄 수 있도록 수많은 부재를 제작하고 각 위치에 맞게 배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3D 디지털 근정전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한 Parametric 모델링기법과 Multi-Object Texture Mapping 기법, Physical Camera 와 GI Renderer 설정 그리 고 목조건물의 구조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 및 모델링 자료는 다른 목조건축물을 디지털로 제작하는데 활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 PDF

목조 건축문화재의 화재위험도 평가지표 및 활용방안 연구 -사찰 건축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Fire Risk Assessment Index on the Wooden Cultural Properties -focused on buddhist temples-)

  • 강석진;고명환;김동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550-3561
    • /
    • 2013
  • 본 연구는 문화재로 지정된 주요 목조 건축물을 방재(특히 화재예방)의 관점에서 안전하게 보호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마련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목조 건축문화재의 방재현황(화재 위험도)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와 활용방안 제안을 목적으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체크리스트는 관리 운영 대응의 관리운영, 배치계획 시설계획의 건축계획, 소방시설 방범시설의 설비계획으로 구성하였다. 내장사와 화엄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현장조사에서는 중요도가 높은 항목들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조문화재 흰개미 서식환경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Termite Inhabitation Environment on Wooden Cultural Heritages)

  • 서민석;조창욱;김수지;김영희;홍진영;이정민;정소영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7-393
    • /
    • 2015
  • 기후변화에 따라 다양한 생물종에 의한 목조문화재의 피해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미생물에 의한 부후와 곤충 종에 의한 생물피해는 목조문화재의 외형적인 변화와 구조적인 문제점의 원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목조문화재는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풍화되고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물리적, 환경적 요인 뿐 만 아니라 흰개미라는 목재 가해 곤충에 의해서도 심각한 위협을 받을 수 있다. 전라남도, 전라북도, 그리고 제주도에 있는 목조문화재를 중심으로 흰개미의 서식 실태와 건물의 내 외부 환경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거주하면서 난방시설이 설비되어 있는 건축물과 비거주하면서 난방시설이 구비되어있지 않는 목조건축물들의 온도, 습도, 함수율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사람이 활동하는 건축물일수록 온도는 높지만, 습도와 함수율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흰개미와 같은 목부재를 가해하는 곤충들의 서식 조건에 변화를 주는 요인으로 작용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목조문화재 흰개미 피해 조사는 대상 문화재와 주변 서식환경 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고 화학적 방제방법을 제시하는 것과 함께, 건축물의 난방 설비, 거주 유무, 주기적 관리 방법 등 친환경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제방안도 함께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스소화설비를 이용한 목조 문화재 적심부 화재진압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Method for Fire Suppression in a Central Area inside the Roof of a Wooden Cultural Property using a Gas Extinguishing Apparatus)

  • 김현성;김병선;조원철;임윤묵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5-71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 조상의 소중한 목조 문화재가 화재로 인해 소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재진압 방법 중 하나인 가스소화설비를 이용하여 목조문화재 적심부의 화재진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조문화재는 적심부로 연소 전이시 진압이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적심부 연소시 파괴를 수반하지 않는 화재 진압은 불가능하다. 스프링클러설비 등과 같이 현대 건축물에 설치되는 소방시설은 소화효과는 높은 반면에 설치와 작동에 따른 문화재 손상의 우려가 높아 목조문화재에 대한 적용성이 낮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면서 소화효과를 거둘 수 있는 소화설비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타당성이 입증된 시험결과를 토대로 설치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적심부는 한국 고유의 건축방식으로 외국에 유사사례를 찾아 볼 수 없어 고정소화장치 개발을 통한 화재진압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제고한 가스계 소화설비 소화방법을 개발하여 문화재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연구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연구 실험 모형틀을 제작하여 소화방법을 수립, 소화시설을 설치하여 1차로 개판 천공 주수공 설치의 화재진압 효과성을 실험하였고 2차로 개판 천공 소화가스 주입구 설치의 화재 진압 효과성을 실험하였으며 그에 따라 숭례문과 유사한 목조 문화재의 경우 지붕의 적심부가 화재진압의 성패를 결정함으로 향후 유사사건의 발생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화재진압을 위하여 소화방법에 관한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그에 따라 목조 건축물(문화재) 진압대책 수립을 위한 객관적 데이터를 확보하였고 가스계 고정소화설비의 설치를 통한 문화재 방화대책 효과의 과학적 검증을 제시하였다.

  • PDF

불교건축문화재를 통한 보존공사경향 연구 (A study on Conservation Works Trend of Architectural Heritage in Buddhism)

  • 조현정;김왕직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3호
    • /
    • pp.39-56
    • /
    • 2007
  • This study is conservation works trend since 1900. Objects for study are National Treasures and Treasures in Buddhism, in wooden architecture. And researched about the factor of conservation works, roof and tile, painting and dissolution conservation works cycle by dissolution, timber change ratio. The factor of conservation works is the most, roof and tile. Conservation works cycle by dissolution is 12.8 years. Painting cycle is 16.3 years. There are two concepts of conservation works, that is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There are many restoration before 1960's. To 1960's the preservation to be many to 1970's many Restoration. And since the end of 1970's is Preservation. These reasons are conservation works history of object, the rule for Heritage protection, people on works, and study of architecture. history.

  • PDF

한국 고대 건축의 부연(浮椽) 사용 시기에 관한 연구 (The Beginning of the Usage of Buyeon (浮椽) in Ancient Korean Architecture)

  • 한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3호
    • /
    • pp.90-105
    • /
    • 2021
  • 한국 목조 건축에서 외형의 아름다움을 결정하는 요소로 지붕의 형태는 매우 중요하다. 그 가운데에서도 처마의 곡선은 한국 목조 건축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요소이다. 이 처마의 곡선을 만들어내는 것이 바로 서까래와 부연(浮椽)이라는 부재이며, 특히 날렵한 처마곡을 만들어 육중한 지붕의 느낌을 보다 가볍고 역동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것은 부연이다. 부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져 있지만 처음 사용 시기와 관련해서 명확하게 알려진 바는 아직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 건축에서 부연이 최초로 사용된 시기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국·중국·일본의 고대 건축과 관련된 기록이 남아 있는 문헌, 발굴 유구, 현존 건축물과 건축물이 표현된 회화 및 조각 등의 고찰을 차례로 진행하고 이를 종합하여 한국 고대 건축의 부연 사용 시기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경우 6세기 중반 북제에서 처음 부연 사용이 나타나지만 일반화된 것은 당대인 7세기부터로 판단된다. 둘째, 일본의 경우 수도를 비조 지역에서 나라 지역으로 이전하는 8세기 중반 이후 부연 사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중국의 당과 직접적인 문화 교류를 추진하는 시기와 겹친다. 셋째, 한국의 경우 부연 사용은 6세기 중반 중국 북제로부터 백제로 도입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일반화되지는 못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이후 신라 통일기인 7세기 중반 중국 당과의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지면서 보편화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직선 검출 기법을 활용한 목조 건축물 변형 탐지 알고리즘 (An algorithm for detecting deformation of wooden buildings using a straight line detection technique)

  • 김민규;후쉬펑;김인기;임현석;곽정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653-654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문화재 손상 검출을 위한 직선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문화재 건물의 볼록함, 즉 배부름 현상을 검출하기 위하여 원본 이미지의 직선과 윤곽을 탐지하여 두 선을 비교한다. 배부름 현상이 나타난 문화재의 경우 곡선이 볼록하게 검출되기 때문에 직선과 비교했을 때 일치하지 않는다. 직선 탐지 기법과 윤곽 탐지 기법은 컴퓨터 비전을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선들은 이미지의 엣지를 이용하여 검출한다. 배부름 현상은 문화재의 전체 부분 중 일부분에 발생하기 때문에 직선과 윤곽을 비교했을 때 차이를 드러내므로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 PDF

동국대박물관 소장 보타전명 목조감실 과학적 분석 및 보존처리 (Scientific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Wooden Gamsil with Inscription of "Botajeon" in the Collection of the Dongguk University Museum)

  • 이의천;강민지;박정혜;김수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7권
    • /
    • pp.125-146
    • /
    • 2022
  •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보타전명 목조감실은 조선후기 목조 건축 양식으로 제작한 목조감실이다. 목조감실 안료의 박락, 부재의 탈락 등 손상이 확인되어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보존처리 전 손상형태와 유형을 분류하고, 과학적 분석(수종 분석, 섬유 동정, 안료의 성분분석(P-XRF))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제작에 사용된 목재는 주로 잣나무류, 현판은 가래나무속, 섬유는 벼섬유로 식별되었다. P-XRF 결과, 백색 안료는 연백과 아연화, 적색안료는 장단, 청색안료는 울트라 마린 블루, 녹색 안료는 에메랄드 그린으로 확인하였다. 목조감실의 보존처리는 건식·습식세척으로 고착된 오염물을 제거한 후 탈락한 부재들을 위치에 맞게 접합하고, 일부 결손부를 복원하였다.

단청안료의 열화 현상 분석 및 가시화 방안 (Analysis and Visualization on Aging Effects for Dan-Cheong Pigments)

  • 신도경;김재원;안은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312-313
    • /
    • 2012
  • 단청의 열화현상에 대한 연구는 주로 건축재로서의 내구성 향상에 초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본 연구는 가상유적지 재현을 위해 가상 건축물의 사실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열화현상을 분석하고 가시화 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전통건축에 나타나는 단청의 열화과정을 인간이 인지하는 색채감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한다. 우리나라 단청에서 사용된 안료를 살펴보고 문화재관리청에서 선정한 무기안료와 유기안료를 중심으로 내후성 시험을 통해 안료의 열화현상을 분석한다. 단청의 열화를 크게 색변과 박리 현상으로 나누어 촉진내후성시험기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목조 전통건축의 열화현상을 분석한다.

  • PDF

합성수지를 사용한 목조건조물문화재 보존처리 사례 연구 - 한국과 일본의 보존처리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servation of Historic Timber Architecture by Synthetic Resin in Korea)

  • 조현정;김왕직
    • 건축역사연구
    • /
    • 제15권1호
    • /
    • pp.41-60
    • /
    • 2006
  • Preservation of wooden architecture by means of synthetic resin, is physical and chemical work. Synthetic resins are using for consolidation and restoration of decayed members. Since 1978, synthetic resin became useful preserv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in Korea. The first object was Chimgyeru of Songgwang-temple in Suncheon city. In the 1980s, have begun the care of materials for conservation on the architectural heritage, it was influenced according to authenticity of UNESCO Venice charter's principle, in 1964. In Korea, preservation of wooden architecture by means of synthetic resin that is sing many kinds of epoxies. Among the specific types of epoxies are araldite XN1023, SV427, etc. The use of synthetic resin have merits and demerits in the restoration for architectural heritage. The merit is that it is more smaller change with new members during preservation work. But the demerit is an irreversibility of the epoxy resin. In 1999, 'ICOMOS International Wood Committee' recommend contemporary materials and techniques, should be chosen and used with the greatest caution. And preservation work should reversible, as possible as technically. Therefore, should be data continous for preservation of wooden architecture by synthetic resin. Because data is very important work about a preservation of wooden architecture by synthetic resin. And should be try to think about new materials and techniques instead of synthetic resin, in the long view.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