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목재 종류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9초

곤충에 의한 목조 고 건축물 기둥의 손상에 대한 연구 (Study on Damage of Column of Wooden Traditional Building by Insects)

  • 김광철;정인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69-76
    • /
    • 2003
  • 곤충에 의한 침해는 건물의 앞쪽기둥에서 피해정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기둥의 밑 부분과 중간부분, 그리고 윗부분 등 높이별로 구멍의 지름이 많은 차이가 있어, 각 부위별 가해 곤충의 종류가 틀린 것으로 판단되었다. 기둥의 높이별로는 기둥의 중간 정도의 높이에서 가장 피해가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목재를 가해한 곤충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는 구멍의 직경은 1 mm에서 10 mm까지 다양하였으며 대략 직경 5 mm 정도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소나무와 낙엽송 스킨팀버의 ACQ, CUAZ, CuHDO 가압처리를 위한 처리용 목재의 적정 함수율 및 처리목재의 정착 특성 평가 (Evaluation of Pretreatment Moisture Content and Fixation Characteristics of Treated Wood for Pressure Treatment of Japanese Red Pine and Japanese Larch Skin Timber with ACQ, CUAZ and CuHDO)

  • 최용석;오세민;김규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6호
    • /
    • pp.481-48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와 낙엽송 스킨팀버의 ACQ-2, CUAZ-2, CuHDO-1 가압처리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소나무 변재부와 낙엽송 심재부 시험편을 대상으로 처리용 목재의 함수율이 방부제 처리도에 미치는 영향과 방부제 유효성분인 구리의 처리목재 내 정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소나무 변재부는 방부제 종류에 관계없이 함수율 30%부터 사용환경 범주 H3용 처리목재의 침윤도와 흡수량 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완벽한 방부제 침투가 가능한 소나무 변재부에서 깊이에 따른 방부제 흡수량 경사를 조사한 결과, 방부제 종류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었다. CuHDO-1 처리 시험편에서 발생한 경사가 ACQ-2와 CUAZ-2 처리 시험편에서의 경사보다 심했는데, 특히 고함수율(25, 30%) 시험편에서 경사가 저함수율(15, 20%) 시험편에서보다 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난주입성인 낙엽송 심재부는 처리용 목재의 함수율 조건 및 방부제 종류에 관계없이 처리도 가 매우 불량하였다. 낙엽송 심재부의 처리도 개선을 위해 증기 전처리($121^{\circ}C$의 포화수증기 조건에서 12시간 처리)를 실시한 결과, 낙엽송 심재부의 침윤도와 흡수량 모두 사용환경 범주 H3용 처리목재 기준에 부합하게 처리도가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나무 변재부와 낙엽송 심재부 시험편에서 공히 방부제 유효성분인 구리의 정착이 비건조 양생에 비하여 건조 양생에서 빨리 진행되었다. 소나무 변재부는 양생 초기 3~6일, 낙엽송 심재부는 양생 1일 이내에 3주간 정착된 구리 양의 95% 이상이 정착되었다. 양생 3주 후 처리목재 내에 미정착 상태로 남아있는 구리의 양은 ACQ-2, CuHDO-1, CUAZ-2 순으로 많았는데, 이는 처리용 작업액에 존재하는 구리의 양과 비례하였다.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목재펠릿보일러 연소모델 정립 및 검증 (Simulation and Model Validation of Combustion in a Wood Pellet Boiler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 오광철;어승희;오재헌;김대현
    • 에너지공학
    • /
    • 제23권3호
    • /
    • pp.203-21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목재펠릿보일러의 연소현상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예측 값과 실제 실험데이터를 비교하여 분석했다. 목재펠릿보일러의 개발과정에 있어서 연소실형상, 투입 공기의 속도, 연료의 양, 온도 및 연료특성 등에 따라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됨에 따라 여러 방향의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고 있다. 따라서 해석모델의 개발을 통한 수치해석 방법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을 이용한 모의실험(Simulation)을 통하여 목재펠릿의 종류 및 구성 원소의 변화에 따른 목재펠릿보일러의 연소실 출구온도 및 배기가스의 구성성분을 예측하고자 하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목재펠릿 연소특성을 파악하여 최적의 이용 및 활용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예측값과 실험값은 : $CO_2$ 0.60 % $O_2$ 0.73 % 오차를 나타내었다.

건설현장 폐목재의 발생원인 분류를 통한 재활용 요인분석 (Recycling Factor Analysis on Wood Wastes in the Construction Site by Classification Origination Reason)

  • 정찬영;김재준;정영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07-11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건설폐목재의 발생현황 및 원인을 조사 분석하고, 국내 및 국외 폐목재의 발생, 처리, 재활용 동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오늘날 산업사회가 고도로 발달하면서 인간의 생활은 보다 편리하고 윤택해졌지만, 그 부작용으로 환경오염과 자원고갈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최근 건설 산업에서 환경보호와 자원의 절약 등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의 관리와 재활용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발생되는 폐기물은 양적으로도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매우 복잡 다양하여 이들의 원천적 감량과 재자원화 촉진 등 자원 순환형 처리방식의 절감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그 중 폐목재는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여러 종류의 자원 중에서 약33%정도만 재활용하고 나머지는 소각하거나 비정상적인 유통과정을 거쳐 처리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건설현장 폐목재 처리현황의 실태 및 요인분석을 통하여 폐목재의 적법한 처리 및 재활용에 불합리한 원인은 무엇이며 그에 영향을 주는 수많은 변수들을 도출하고 요인분석을 통하여 몇 가지 요인으로 묶어 단순화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합판류 목재의 두께별 입사열유속에 따른 연소특성 비교 연구 (Analysis of Fir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hickness and Incident Heat Flux of Wood)

  • 황선우;박원희;김창용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13-2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건축내장용 합판류 목재를 대상으로 목재의 두께별 다양한 입사열유속에 따른 연소특성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측정한 연소특성은 EHC, HRR peak 및 도달시간, MARHE, 인화온도이다. 실험에 사용된 목재 시편은 4.8~18 mm 두께, 목재 시편에 유입되는 입사열유속은 25, 35, 50 및 60 kW/㎡을 적용하였으며, 목재 시편의 종류는 MDF 2종, 파티클 보드, 일반 합판이다. 종합적인 비교를 통하여 연소특성별 각각의 목재에 해당하는 화재패턴을 분석하여 화재에 대한 위험성을 검토하였다. 파티클 보드의 경우 화재 위험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제시한 연소특성 정량화 결과는 복합 가연물의 화재하중 산정에 중요한 입력 요소로 기여될 수 있다.

온·습도 변화에 따른 목재 철물 접합부의 못 뽑기 저항성 (A Study about Resistibility of Extracting Nails from Metal Connections on Wood According to Chang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 김종근;박철우;윤태호;임남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119-127
    • /
    • 2013
  • 외부에 설치된 목재 구조물 및 목조주택의 경우 기본적인 접합에 사용되는 철물은 스크류 볼트, 스테인리스 못, 일반 철못을 사용하는데, 목재의 철물 접합 부분이 외기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온습도 변화에 의한 영향으로 철물 접합부 못의 마찰 저항성이 저하되어 이에 대한 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유지보수가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문제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와 같은 실험 분석 등 현재까지 많은 연구와 대책수립이 이루어지지 않아 하자가 발생된 목재 구조물이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목재 및 철물 종류별 접합부의 마찰 저항성 분석을 통해 이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한 못 뽑기 저항 특성 분석으로 목재 수종 및 제조 조건 별 올바른 철물 사용 제안과 유지관리 및 보수 보강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오염화석탄산(PCP)으로 방부 처리된 목재로부터 PCP의 용매추출 (Solvent Extraction of Pentachlorophenol(PCP) from PCP-treated Wood)

  • 이종철;최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2호
    • /
    • pp.227-233
    • /
    • 2006
  • 오염화석탄산(pentachlorophenol : PCP)으로 방부 처리된 탄약 목상자를 분해한 목재시료로부터 메탄올, 에탄올, 아세토니트릴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PCP를 추출하였다. 실험변수로는 용매종류, 건조목재 시료당 용매의 사용비율, 시료의 형태 및 크기, 추출온도 및 초음파 효과를 선정하였다. 목재의 PCP 농도는 평균 720 ppm 이었으며 추출효과는 메탄올이 가장 우수하였다. 농도가 가장 큰 시료(초기농도 1297 ppm)를 메탄올로 상온에서 추출한 결과 2시간 이내에 99%까지 제거되었다. 건조시료당 메탄올의 최소 사용비율(v/w)은 10이었으며 이 실험에서 시료의 형상(chip 및 톱밥)이나 추출온도 및 초음파 사용은 PCP 추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太陽에너지의 經濟性 및 效용性 IV -전환과 그 정책-

  • 박이동
    • 기계저널
    • /
    • 제20권3호
    • /
    • pp.171-175
    • /
    • 1980
  • 증식로 system과는 대조적으로 태양 energy system은 대단히 많은 종류의 형태로 energy를 공급한다. 산림지역에서는 태양 energy는 목재와 같은 고체 연료형태로 생산되고 농업지역 에 서는 곡식에서 나오는 alcohol과 같은 야체연료, 비료나 퇴비로부터 얻어지는 methane과 같은 기체연료, 산악지방에서는 수력 발전 기상이 맑은 지방에서는 집광발전으로 거의 모든 곳에서 직접적인 열로서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얻을 수 있는 태양 energy의 양과 종류는 지역적인 조건에 대단히 의존 될 수밖에 없다. 단 한가지의 태양 energy 생산 방식만으로는 모든 지역 에서 energy 생산 방식은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르다. 그래서 전기만을 생산하는 증식로 방식에 비해 태양 energy 방식은 system의 고안에 전체적으로 복잡성을 포함하며 다양한 형태의 energy를 생산하게 될 것이다.

  • PDF

녹차-숯-목재섬유 복합보드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Hybrid Boards Composed of Green Tea, Charcoals and Wood Fiber)

  • 박한민;허황선;성은종;남경한;임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6호
    • /
    • pp.406-417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발표된 목재섬유에 녹차를 복합한 친환경 복합보드에 탈취성과 흡착성 등의 기능성을 보강한 건축내장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흑탄, 백탄, 활성탄 등 3종류의 숯을 혼합한 녹차-숯-목재섬유 복합보드를 제작하였고, 구성원료의 종류 및 배합비율이 복합보드의 치수안정성, 탈취성 및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녹차-숯-목재섬유 복합보드의 흡수두께 팽창률은 녹차와 숯의 배합비율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활성탄 함유 복합보드를 제외하고, KS에 규정된 그 값보다 현저히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복합보드의 암모니아가스 감소율은 활성탄 10% 함유 복합보드에서 30분 경과시 96%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다른 모든 복합보드에서도 1시간 경과 후 거의 95%전후의 높은 암모니아가스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복합보드의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은 $E_1$급 요소수지를 사용했을 경우, $E_0$급에 가까운 방산량을, $E_0$급 요소수지를 사용했을 경우는 super $E_0$급의 낮은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폐목재파티클을 이용한 재생보드의 제조특성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Boards Recycling Waste Wood Particle)

  • 김외정;서진석;한태형;박종영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20-127
    • /
    • 2006
  • 폐목질원료로서, 제재, 합판, PB, MDF와 폐침목 등의 해머밀에 의한 파쇄특성과 재생파티클 종류와 혼합비율에 따른 재생보드의 물성을 구명함으로써, 보드원료로서 재자원화 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재생보드의 휨성질은 목질원료의 입자형태 및 입도분포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파티클, 섬유와 같은 element가 압축고화된 상태의 판넬(PB, MDF)로부터 재생한 파티클은 물성저하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재생파티클에 이미 도포 경화된 수지에 의해 재생보드의 치수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보드원료로서의 적합한 요건은 건전폐목재(제재, 합판)와 저급폐목재(PB, MDF)의 적정한 혼용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전폐목재 재생파티클과 재생 PB파티클의 혼용시험에서 제재파티클이 휨성질(MOR, MOE)과 박리강도에 기여하고, 합판파티클은 치수안정성에 더욱 기여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보드의 중층용 원료로 재생PB파티클의 혼합비율을 증가함에 따라서 보드의 휨성능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혼합률 40%까지는 유의차가 없이 보드 15형(MOR : $153kgf/cm^2$, MOE : $27.5tonf/cm^2$) 수준의 성능이 구비되었다. 향후 생활폐목재(폐가구 등)와 같은 저급폐목재의 활용방안이 강구된다면 보드원료의 수급에 한층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