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hysical Properties of Hybrid Boards Composed of Green Tea, Charcoals and Wood Fiber

녹차-숯-목재섬유 복합보드의 물리적 특성

  • Park, Han-Min (Faculty of Forest Science,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Heo, Hwang-Sun (Faculty of Forest Science,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Sung, Eun-Jong (Faculty of Forest Science,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Nam, Kyeong-Han (Faculty of Forest Science,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im, Jae-Seop (Faculty of Forest Science,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박한민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허황선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성은종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남경한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임재섭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Received : 2012.10.04
  • Accepted : 2012.11.19
  • Published : 2012.11.25

Abstract

In this study, eco-friendly hybrid composite boards were manufactured from green tea, three kinds of charcoals and wood fiber for developing interior materials to reinforce the functionalities such as the deodorization and the absorbability on the green tea-wood fiber hybrid boards in the previous researches. The effects of kind of raw materials and the component ratio of raw materials on dimensional stability, deodorization and emission of formaldehyde were investigated. Thickness swelling of the hybrid composite boards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component ratio of green tea and charcoals, but the values were markedly lower than that of Korean standard (KS) for commercial medium density fiber board (MDF), except for hybrid composite boards composed of greed tea, activated charcoal and wood fiber. Reduction rate of ammonia gas for the hybrid composite boards composed of green tea, activated charcoal and wood fiber showed a high value of 96% after 30 minute from the beginning of the test, and the other hybrid boards also showed a high value of about 95% after one hour. Emission amount of formaldehyde was similar to that of $E_0$ grade in case of using $E_1$ grade urea resin, and was similar to that of super $E_0$ grade in case of using $E_0$ grade urea resin.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발표된 목재섬유에 녹차를 복합한 친환경 복합보드에 탈취성과 흡착성 등의 기능성을 보강한 건축내장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흑탄, 백탄, 활성탄 등 3종류의 숯을 혼합한 녹차-숯-목재섬유 복합보드를 제작하였고, 구성원료의 종류 및 배합비율이 복합보드의 치수안정성, 탈취성 및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녹차-숯-목재섬유 복합보드의 흡수두께 팽창률은 녹차와 숯의 배합비율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활성탄 함유 복합보드를 제외하고, KS에 규정된 그 값보다 현저히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복합보드의 암모니아가스 감소율은 활성탄 10% 함유 복합보드에서 30분 경과시 96%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다른 모든 복합보드에서도 1시간 경과 후 거의 95%전후의 높은 암모니아가스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복합보드의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은 $E_1$급 요소수지를 사용했을 경우, $E_0$급에 가까운 방산량을, $E_0$급 요소수지를 사용했을 경우는 super $E_0$급의 낮은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석우, 김병로. 2002. 국산 주요 수종 및 목질재료 탄화물의 흡착 특성. 목재공학 30(4): 33-40.
  2. 권성민, 김남훈. 2006. 목재의 탄화기구 해석(I). 목재공학 34(3): 8-14.
  3. 김남훈, 황원중, 권성민, 권구중, 이성재. 2006. 제조온도에 따른 굴참나무 목탄의 해부학적 특성. 목재공학 34(4): 1-8.
  4. 박상범. 2006. 은행나무 잎을 혼합하여 제조한 파티 클보드의 물리.기계적 성질과 포름알데히드 저감 효과. 임산에너지 25(2): 28-33.
  5. 박상범, 박주생. 2012. 대나무 숯 성형보드의 연소특성. 목재공학 40(1): 19-25.
  6. 박한민, 강동현, 임나래, 이수경, 정강원, 김종철, 조경환. 2010. 녹차와 목재섬유복합보드의 정적 휨 강도 성능에 미치는 녹차배합비율의 영향. 농업생명과학연구 44(5): 1-8.
  7. 박한민, 이수경, 석지훈, 최남경, 권창배, 허황선, 변희섭, 양재경, 김종철. 2011a. 녹차-목재섬유복합보드의 동적탄성률에 미치는 녹차배합비율의 영향 및 휨 진동법에 의한 정적 휨 강도성능 예측. 목재공학 39(6): 538-547. https://doi.org/10.5658/WOOD.2011.39.6.538
  8. 박한민, 이수경, 석지훈, 최남경, 권창배, 허황선, 김종철. 2011b. 목재섬유, 톱밥 및 녹차 이종복합보드의 정적 휨 강도성능에 미치는 녹차 및 톱밥 배합비율의 영향. 농업생명과학연구 45(6): 41-46.
  9. 박한민, 이수경, 석지훈, 최남경, 권창배, 허황선, 변희섭, 양재경, 김종철. 2012. 이종복합보드의 동적탄성률에 미치는 녹차와 톱밥배합비율의 영향 및 정적 휨 강도성능의 예측. 농업생명과학연구 46(2): 9-17.
  10. 박한민, 문성재, 최윤은, 박정환, 변희섭. 2009. 목재와 목질재료 복합적층재의 휨강도성능. 목재공학 37(6): 546-555.
  11. 안병준, 조태수. 2005. 탄화물의 에틸렌가스 흡착 특성. 한국목재공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490-493.
  12. 이동영, 김병로. 2010. 국내시판용 목탄의 흡착특성 (I). 목재공학 38(1): 27-35.
  13. 이세나, 이병호, 김현중, 김수민, 엄영근. 2009. 대나무 분말의 함량 및 입자크기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의 물성평가. 목재공학 37(4): 310-319.
  14. 이오규, 최원준, 조태수, 백기현. 2007. 목탄계 건축자재에 의한 포름알데히드 흡착. 목재공학 35(3): 61-69.
  15. 이화형, 김관의. 2003. 점토목재파티클보드로 제조된 Clay-Woodceramics의 성질. 목재공학 31(5): 80-87.
  16. 이화형, 조윤민, 박한상. 2004. 오버레이 백탄보드의 에칠렌가스 흡착과 딸기 보관성 효과. 목재공학 32(5): 86-92.
  17. 정명준, 김수연, 임윤희, 김대영, 조병묵, 오정수. 2004. 실내 오염 물질에 대한 숯의 흡착 제거 효과. 한국목재공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67-71.
  18. 井出勇, 石原茂久, 川井秀一, 吉田弥寿郎, 中路誠, 高松敦久. 1991. 耐火性炭素複合材料の製造と開発(第1報) -グラファイトフェノールフォルムアルデヒド樹脂熱硬化性オーバーレイしたパーティクルボードの耐火性能と物性. 木材学会誌37(11): 1026-1033.
  19. 井出勇, 石原 茂久, 樋口 尙登, 西川 昌信, 1994. 竹炭からの機能性炭素複合材料素材の開発. 材料 43(485): 152-157.

Cited by

  1. Effect of Carbonization Temperature on Hygric Performance of Carbonized Fiberboards vol.42, pp.5, 2014, https://doi.org/10.5658/WOOD.2014.42.5.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