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음 추이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5초

구어 말뭉치를 통한 한국어 용언활용에서의 모음조화 변이 및 변화 추이 연구 (Transition of vowel harmony in Korean verbal conjugation: Patterns of variation in a spoken corpus)

  • 강희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2호
    • /
    • pp.21-29
    • /
    • 2023
  • 이 논문은 현대 한국어 용언활용에서 모음조화 양상에서 보이는 변이(조화형과 비조화형의 공존)가 어떤 언어 내적/외적 변수들에 의해 통제되고 있는지 확인하여 그 변화의 발동과 전파 과정을 설명하려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국립국어원 발행 일상 대화 음성 말뭉치를 활용하여 42개 어간의 조화형 및 비조화형을 검색한 후 음운/형태적 특성 및 사회언어학적 특성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비조화형의 비율이 1% 미만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은 /ㅏ/-모음 어간이 단모음 종결 어미와 결합한 사례임을 확인하였다. 다만 기존 연구들에서 거의 보이지 않던 연결 어미나 선어말 어미의 경우에도 비조화형이 소수 나타났다. 말뭉치에서 발견된 /ㅗ/-모음 어간의 비조화형을 자료로 삼아 청취실험을 실시하여 비조화형의 발동이 음운 감쇄나 과소 실현에 의해 일어났을 가능성을 보였다. 다만 전파되는 과정에는 모음의 변별도나 형태적 분석과 같은 인지적 관점에서의 설명이 더 나음을 주장한다. 결과적으로 현대 한국어의 모음조화 변이 및 변화는는 조음적/인지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되었다고 본다.

어말 위치 /ㅗ/의 /ㅜ/ 대체 현상에 대한 문법 항목별 출현빈도 연구 (Frequency of grammar items for Korean substitution of /u/ for /o/ in the word-final position)

  • 윤은경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1호
    • /
    • pp.33-42
    • /
    • 2020
  • 본 논문은 구어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국어 /ㅗ/가 /ㅜ/로 고모음화되는 현상(예, '별로' [별루])에 대해 문법 항목별로 차이를 살펴보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한국어의 /ㅗ/와 /ㅜ/는 [+원순성] 자질을 공유하지만, 혀 높이 차이로 변별된다. 그러나 최근 /ㅗ/와 /ㅜ/의 두 모음의 음성적 구분이 모호해지는 병합 현상이 진행 중이라고 여러 논문에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어말 위치의 /ㅗ/가 한국어 자연언어 구어 말뭉치(The Korean Corpus of Spontaneous Speech)에서 음성적으로 [o] 또는 [u]로 실현되는 현상을 연결어미, 조사, 부사, 체언의 문법 항목별로 출현빈도 및 출현비율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연결어미, 조사, 부사에서 /ㅗ/는 약 50%의 비율로 /ㅜ/로 대체되는 것을 확인했고, 체언에서만 상당히 낮은 비율인 5% 미만으로 대체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빈도 형태소 중에서 가장 높은 /ㅜ/ 대체율을 보인 형태소는 '-도 [두]' (59.6%)였고, 연결어미에서는 '-고 [구]' (43.5%)로 나타났다. 구어 말뭉치를 통하여 실제 발음형과 표준발음의 차이를 살펴보았다는 데 연구 의의가 있다.

미국영어에서의 후설원순저모음의 사용분포와 확산추이 (A trend of Open rounded back /a:/ distribution in American English)

  • 박충연
    • 인문언어
    • /
    • 제8집
    • /
    • pp.313-329
    • /
    • 2006
  • In some American English dialects, the vowels /a:/ or /c:/ have been replaced with /a:/, as in caught /ka:t/ dog /da:g/ that were pronounced in /kc:t/, and /dc:g/ previously. General American does not have /a:/ in its vowel system. But in East American and Western Pensylvania, cot and caught are homophones, /ka:t/, and similarly with other pairs such as collar vs. caller, stock vs. stalk, don vs. down, knotty vs. naughty. The use of /a/ or /c/ is quite unstable, and is a well-known diagnostic for distinguishing the northern speech area of the United States from the midland and southern area. For an increasing number of Americans, however, entirely lack the opposition between /a/ and /c/, merging to /a/, referring to 'both' of the vowels of lo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use of /b:/ in American dialects and its relationship with /a:/, /c:/ in AE, and with short /a/ in RP. Examining the isoglosses of the use of /a:/ in various databases of the phonological atlas of North America, this paper discusses the use, position, and trend of merger to /a:/ from the vowels of /a:/ and /c:/ in Current American English.

  • PDF

어깨뼈 내밈 운동 시 어깨관절 수평 벌림과 수평모음 저항과 외부 무게에 따른 앞톱니근, 위등세모근, 그리고 큰가슴근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the Serratus Anterior, Upper Trapezius, and Pectoralis Major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Horizontal Abduction and Horizontal Adduction Resistance and External Weight During Protraction Exercise)

  • 배창환;김규령;추이저;김명권;박수형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7-46
    • /
    • 2021
  • Background: The increase in the activity of the upper trapezius (UT) muscle and decrease in the activity of the serratus anterior (SA) and lower trapezius (LT) muscle produce an abnormal scapulohumeral rhythem. Therefore, the SA is the focus of therapeutic exercise protocols for the rehabilitation.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activity of the muscles according to resistance levels during protraction exercise. Methods: Thirteen healthy 20 to 30 years old male and female subjected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subjects performed the scapular protraction exercise with the weights of 0, 5, and 10kg, combined with horizontal shoulder abduction and adduction. The electromyography data of the SA, UT, and pectoralis major (PM) during the exercise were recorded using surface electrodes. The ratios of PM/SA and UT/SA were calculated. Repeated one-way ANOVA was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scle activity of the SA and PM (p<.05). Specifically, SA had the highest activity and PM had the lowest activity at an abduction resistance 10kg (p<.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s of UT/SA and PM/SA (p<.05). The ratio of PM/SA was the lowest at the abduction resistance of 10kg (p<.01). Conclusion: According to this study, for the selective activation of the serratus anterior, protraction exercises should be applied as a method of adding resistance to protraction and horizontal ab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