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음 유형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초

다중 활자체 한글 문자 인식을 위한 유형 분류 (The Type Clustering for the Multi-Font Hangul Character Recognition)

  • 김민기;권영빈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7년도 제9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94-199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글꼴의 변화와 잡영을 흡수할 수 있도록 자소의 탐색 영역을 정의 하였으며 이 영역에 나타나는 횡모음과 종모음의 주획을 추출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종모음 영역에서 추출한 수직획들과 횡모음 영역에서 추출한 수평획들을 각각 종모음과 횡모음의 주획이 될 수 있는 후보들로써 이들로 부터 종모음과 횡모음의 존재를 파악하는 것이 한글 유형 분류의 주된 내용이다. 그러나 다양한 글꼴에 나타나는 수평획들로부터 곧바로 횡모음의 존재를 파악하는 것은 쉬운 문제가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트리 분류기를 확장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특징을 단계별로 단순화시키고 트리 분류기의 상위 노드에서 결정된 정보와 제약 조건을 이용하여 유형을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한글 상위 빈도 1405자, 3가지 글꼴에 대하여 99.8 %의 유형 분류율을 보이고 있다.

  • PDF

한국어 발성 유형의 음향음성학적 연구 (An Acoustic Study of Korean Phonation Types)

  • 박한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343-352
    • /
    • 2005
  • 발성유형지수 k (PTI k)는 F0와 모음 음가의 영향을 배제한, 단순하고 단일화된 스펙트럼 기울기의 척도다. 본 논문은 한국인 20대 남성화자 10명으로부터 얻은 모음 /이, 에, 아, 오, 우/에 나타난 PTI k를 연구한다. 환경, 발성유형, 모음, 그리고 화자를 요인으로 하여 각 집단간에 PTI k의 값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연구 결과 환경, 발성유형, 모음, 그리고 화자 각각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An Acoustic Analysis on the Plosives of Korean and Japanese

  • Lee Seungmie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21_24호
    • /
    • pp.111-122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에 있어서 세 가지 유형의 파열음과 일본어에 있어서 두 가지 유형의 파열음과 일본어에 있어서 두 가지 유형의 파열음이 보여주는 시간적 특성을 어두 위치 및 모음간 위치로 나누어 비교해 보았다- 한국어에 있어서 세 가지 유형의 파열음은 어두 위치에서 모두 무성음으로 실현되므로 성의 대립으로는 이들을 유형화 할 수 없고, 그보다는 조음의 힘과 기식의 유무에 따라 연음, 무기 경음, 유기 경음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에 비해 일본어 파열음은 유성음인 연음과 무성음인 경음의 두가지 유형으로 대립된다. 유성음과 무성음, 그리고 유기음과 무기음의 구분에는 파열음의 개방에서부터 성대 진동까지의 시간인 성 시작 시간(VOT)과 기식의 길이가 변수가 된다. 경음과 연음의 구분에는 선행 모음의 길이, 폐쇄 지속 시간, Vl/(Vl+CL)의 비율이 유용한 정보가 된다. 양국어 어두 파열음의 VOT를 비교해 볼 때, 일본어 유성음은 음수의 VOT를 가지며, 한국어 무기 경음에서는 VOT가 10msec정도로 짧게 나타나고, 그 다음으로 한국어 연음. 일본어 무성음, 한국어 유기 경음의 순서로 길어진다. $\frac{선행 모음의 길이}{(선행 모음의 길이+폐쇄 지속 시간)}$의 비율은 언어의 특성도 반영해 주는데, 한국어의 경우 연음: 무기 경음: 유기 경음의 비는 0.63: 0.30:0.35, 일본어의 경우 유성음:무성음의 비는 0.69: 0.45로 나타났다. 청취 실험을 통해 한국인의 자음 인식 경향을 살펴본 결과, 성대 진동의 유무를 변별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국인 화자는 일본어 유성음은 연음으로, 무성음은 경음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모음 구조와 경험적인 규칙을 이용한 필기된 한글의 자소 분리 방법 (Phoneme Segmentation Method of Handwrittem Hangul Based on Vowel Structure and Heuristic Rules)

  • 곽후근;최영우;정규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8B권1호
    • /
    • pp.10-19
    • /
    • 2001
  • 기존의 필기된 한글의 자소 분리 방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진다 : 1) 자소 분리가 주로 세선화된 이미지에 적용되어 세선화 결과에 크게 의존하며, 2) 자소가 접촉되었을 때 명확한 자소 분리 특징점이 발생하는 단순한 접촉만을 대상으로 자소 분리 방법이 개발되어, 특징점이 없거나 특징점이 틀리게 찾아지는 경우처럼 복잡한 접촉에서는 자소 분리 오류가 쉽게 발생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세선화를 하지 않은 이미지에서 자소 분리를 수행하며, 자소가 접촉된 경우 명확한 분리 특징점이 발생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특징점이 없거나 특징점이 틀리게 찾아지는 경우에도 자소 분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소의 접촉을 유형별로 나누고 각 유형에 대하여 모음의 구조와 상대적인 위치 정보, 접촉의 형태 및 경험적인 규칙들을 사용하여 자소를 분리한다. 제안된 자소 분리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적용된다 : 1) 입력된 낱자 이미지에서 모음을 추적한다 ; 2) 모음의 관점에서 접촉 후 발생하는 특징점의 추출이 명확한가를 판단한다 ; 3) 각 경우에 대한 접촉 유형을 확인한다 ; 4) 접촉 유형에 따른 자소 분리 방법을 적용한다. 필기된 한글 데이터베이스 PE92를 사용한 분리 실험에서 89.5%의 높은 분리율을 얻어서 제안된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모음에 따른 화자의 음원특성 비교 (Comparison of Speaker's Source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Vowel Characteristics)

  • 이후동;강선미;장문수;박한상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2003년도 제19회 학술대회
    • /
    • pp.240-24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매개변수들과 달리 화자의 고유한 특성을 보여주는 화자인식 매개변수를 발성유형에서 찾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화자의 음원 특성이 발성 유형을 결정한다. 발성유형의 특성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로는 개방지수(open quotient)와 스펙트럼의 기울기 (spectral tilt)가 있으며, 스펙트럼의 기울기는 음향학적으로 그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측정방식은 사람마다 다른 기본 주파수와 모음의 영향을 전부 혹은 일부 배제하지 못하였다. (중략)

  • PDF

모음 유형과 표준문단의 문장 위치가 음성장애 환자의 청지각적 및 켑스트럼 및 스펙트럼 분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owel types and sentence positions in standard passage on auditory and cepstral and spectral measures in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 최미현;최성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81-90
    • /
    • 2023
  • 청지각적 평가 및 음향학적 분석은 음성평가를 위해 임상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해오고 있다. 본 연구는 음성장애 환자의 청지각적 및 음향학적 측정 시 말 과제 효과를 조사하고자 한다. 음성장애로 진단받은 총 22명의 환자로부터 모음연장발성(/a/, /e/, /i/, /o/, /u/, /ɯ/, /ʌ/)과 연속구어('가을'표준문단의 9개 하위문장)를 녹음하였다. 음성장애 평가 및 치료 경험이 있는 2명의 음성언어치료사가 맹검 및 무작위 음성 샘플을 사용하여 GRBAS('G', 'R', 'B', 'A', 'S')척도 및 CAPE-V('OS', 'R', 'B', 'S', 'P', 'L')를 사용하여 청지각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ADSV(analysis of dysphonia in speech and voice model)를 이용하여 켑스트럼 및 스펙트럼 측정치를 구하였다. 모음 유형에 따라 GRBAS 척도에서 'B'를 제외하고 청지각적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CAPE-V에서는 'OS', 'R', 'B'에 영향을 미쳤다(p<.05). CPP 및 L/H ratio 는 모음 유형과 문장 위치의 영향을 받았다. 표준문단의 CPP값은 모든 모음에서 'G', 하위 9문장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고, 특히, /e/모음(r=-.739)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두 번째 문장의 CPP는 모든 모음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CAPE-V는 말 자극에 따라 GRBAS보다 청지각적 평가에 더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B' 척도, CPP, L/H ratio는 모음 유형과 자음을 포함한 문장 위치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음성 장애 환자의 음성 평가에서 모음을 사용할 때는 /a/뿐만 아니라 ' 기식성'음질과 음향적으로 상관성이 높은 /i/모음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또한 /e/모음은 한국 표준문단 '가을' 및 하위 문장들과 음향적으로 상관성이 높았으므로 문단 대신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음성장애 신호들이 대부분 비주기적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CPP와 함께 표준문단 중 가장 음향적으로 상관성이 높은 두 번째 문장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말과제가 청지각적 평가 및 음향학적 측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임상적 증거를 제공하며, 이는 음성장애 환자의 음성 평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한글 두 글자 단어와 비단어의 어휘판단에 글자 빈도, 글자 유형, 받침이 미치는 영향: KLP 자료의 분석 (The Effect of Syllable Frequency, Syllable Type and Final Consonant on Hangeul Word and Pseudo-word Lexical Decision: An Analysis of the Korean Lexicon Project Database)

  • 신명석;박창호
    • 인지과학
    • /
    • 제34권4호
    • /
    • pp.277-297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어 심성어휘 데이터베이스(KLP-DB)의 분석을 통해 글자 빈도, 글자의 모음 유형, 받침 유무 등 글자 수준 정보가 두 글자로 된 단어와 비단어의 어휘판단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반응시간과 오반응률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단어의 어휘판단에는 단어빈도가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만, 첫째 글자의 빈도, 첫째 글자와 둘째 글자의 모음 유형과 받침 유무와 같은 글자 속성이 영향을 미쳤고, 두 글자의 모음 유형의 조합 및 둘째 글자의 빈도와 받침 유무의 조합도 영향을 주었다. 비단어의 어휘판단에는 첫째 글자와 둘째 글자의 빈도, 첫째 글자의 모음 유형, 첫째 글자와 둘째 글자의 받침 유무와 같은 글자 속성이 영향을 미쳤고, 두 글자의 사용빈도의 조합, 모음 유형의 조합, 및 첫째 글자의 빈도와 받침의 조합도 영향을 주었다. 단어빈도는 단어의 어휘판단에서 강력한 영향을 미쳤으며, 글자속성은 단어보다 비단어의 판단에서 더 일관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휘판단과제에서 단어와 비단어 목록의 구성 및 반응시간의 해석에 글자 속성의 문제를 충분히 고려해야 함을 가리킨다. 글자 속성의 효과에 대한 이해는 단어 재인 과정의 이해에도 기여할 것이다.

가중치 패턴 클러스터를 이용한 한글 문자 인식 (The Recognition of The Korean Characters Using The Weighted Pattern Cluster)

  • 김도형;이선화;차의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2)
    • /
    • pp.319-32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스캐너로 입력된 한글 문서 영상에서 한글 문자를 인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입력된 한글 문자를 한글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6개의 유형으로 분리하고, 각 유형에서의 모음의 형태학적 특징에 근거하여 모음을 인식한다. 각 유형에서의 자음의 인식을 위해서 가중치 패턴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클러스터와 원영상간의 유사도 측정을 통해 자음을 인식하게 된다. 오인식 가능성이 있는 자음은 오인식 교정을 위한 세부 유사도 매칭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인식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실험한 결과 스캐너로 입력받은 상용 한글 문자 14,983자에 대해 최종 95.68%의 인식률을 보였으며, 차후 정형화된 한글 문서 인식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동남아시아 언어의 모음체계 보편성 연구 - 타갈로그어, 말레이어, 타이어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Vowel System Universals of Southeast Asian Languages: The Cases of Tagalog, Malay and Thai.)

  • 허용
    • 비교문화연구
    • /
    • 제48권
    • /
    • pp.391-417
    • /
    • 2017
  • 동남아시아 언어들은 모음체계가 매우 복잡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자연언어 모음체계의 보편성을 논의하는 데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7개의 동남아시아 국어 또는 공식어 중 우선적으로 그 체계가 비교적 단순한 타갈로그어, 말레이어, 타이어의 3개 언어를 대상으로 모음체계의 보편성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모음의 보편성에 대해서는 여러 학자들의 견해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209개 언어의 분절음을 구축한 SPAP(Stanford Phonology Archive Project)나 451개 언어의 분절음을 구축한 UPSID(UCLA Phonological Segment Inventory Database)와 같은 대규모 말뭉치를 이용하여 모음체계의 보편성을 논의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그 연구들에 제시된 6가지의 보편성 분석 기준을 위 세 언어의 모음체계에 실험적으로 적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6가지 기준은 유형적 보편성에 속하는 (1) 모음 수(또는 모음 목록 크기)와 (2) 단계성에 따른 모음 구성의 두 가지, 그리고 음성적 보편성이라 할 수 있는 (3) 저설성 (4) 균형성과 대칭성 (5) 전설성 (6) 원순성의 네 가지이다. 그리고 위의 세 언어에 이 6가지 기준을 적용함에 있어 보편성을 판별하는 또 다른 기준인 기술적 보편성과 분석적 보편성의 두 가지 관점 모두에서 분석하였다. 논의의 결과 분석적 보편성의 관점에서는 세 언어 모두 6가지 기준에서 '높음' 단계의 보편성을 보이지만 기술적 보편성에서는 타갈로그 어는 모음 수와 단계성에 따른 모음 구성, 그리고 저설성에서 상대적으로 보편성이 낮으며, 타이어는 균형성은 다른 두 언어와 마찬가지로 높은 보편성을 보이지만 대칭성에 있어서는 '보통' 단계의 보편성을 보이고 있다. 한편, 말레이어는 모든 기준에서 '높음' 단계의 보편성을 보이는 매우 안정적인 모음체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글 글자 유형이 시각 폭과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yllable complexity on the visual span of Korean Hangul reading and its relation to reading abilities)

  • 최영은;김태훈
    • 인지과학
    • /
    • 제27권2호
    • /
    • pp.325-353
    • /
    • 2016
  • 읽기의 초기 단계에서 처리되는 글자의 정보량을 지칭하는 시각 폭은 개별 글자의 획수가 증가하거나 폰트의 종류, 고정된 지면에서 차지하는 잉크의 면적, 글자 간의 간격과 같은 복잡성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들이 조합되는 독특한 알파벳-음절 표기법을 사용하는 글자 체계를 가지고 있어 영어나 중국어를 중심으로 한 결과들에 비해, 자모구성의 글자 유형에 따라서도 복잡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특수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글자 쌍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글자의 유형에 따라 한글 읽기 시각 폭의 크기가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여러 글자 유형의 시각 폭 중 읽기 능력의 개인차를 예측하는 글자 유형을 확인해보고자 시각 폭과 읽기 폭, 읽기 유창성, 읽기 이해와의 상관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글자 유형이 복잡해질수록 글자 재인 정확률이 감소하고 시각 폭이 줄어드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나 자음+모음+자음의 형태가 자음+모음 형태보다 글자 재인율이 높고 시각 폭도 큰 것으로 나타나 자모조합의 복잡성에 따른 영향이 선형적이지 않고 다른 요인이 개입할 가능성이 관찰되었다. 자음만 제시한 조건과 CV조건의 글자 재인율은 읽기 이해와 정적 상관을 보여 향후 읽기 능력과 관련한 시각 폭 측정 시 사용할 수 있는 글자 유형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