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성 건강

Search Result 67,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Understanding Maternal Role Attainment in Taejon, Korea through the Use of a Structural Model (구조모형을 이용한 모성역할 획득 이해 (대전에 사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 Lee, Hae-Kyung
    • Women's Health Nursing
    • /
    • v.4 no.2
    • /
    • pp.162-172
    • /
    • 1998
  • 모성역할 획득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이해한다는 것은 모성역할 획득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실질적인 간호중재를 가능하게 한다. 생후 4개월된 첫 아기가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성역할 획득모형을 발전시키려고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가설적 모형은 5개의 변수(모성역할 획득, 모성역할 긴장, 일상생활의 시간적 여유, 아기 기질, 사회적지지)로 구성되었다. 대전시에 거주하는 대상자에게 전화를 통하여 동의를 얻은 후, 우편으로 250명에게 질문지를 보내어 161명(64.4%)으로부터 회수되었다. 자료를 Lisr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을 한 결과, 자료와 가설적 모형과의 전반적 지수는 자유도 21에 카이자승치 31.47, GFI와 AGFI의 값은 .970, .935였고, RMSR, NFI, NNFI는 각각 1.668, .9097, .9425이었다. 간명하고 부합도가 더 좋은 모형을 찾기 위하여 통계적 결과와 이론적 적합성에 따라 2경로(아기기질에서 모성역할 획득, 모성역할 긴장에서 모성역할 획득)를 고정시켰다. 수정모형의 PFI (간명도)가 .7297로 증가하여 수정모형이 더 간명하면서도 부합도가 좋은 모형으로 나타났다. 공변량구조분석 결과 나타난 변인간의 관계는 일상생활의 시간적 여유가 많을수록,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아기기질이 순하다고 생각할수록 모성역할 긴장은 적었고, 일상생활의 시간적 여유가 많을수록,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모성역할 획득은 잘 되었다.

  • PDF

Determinants of Utilization of Postnatal Care in Kapchorwa District, Eastern Uganda (산후건강관리서비스 이용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우간다 동부 카프초르와 구를 중심으로-)

  • Chelangat, Irene Kapsawani;Jin, Ki-Nam;Kim, Sunmi;Um, Tae Rim;Kim, Jinjoo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 /
    • v.16 no.1
    • /
    • pp.51-63
    • /
    • 2015
  • 목적: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 중저소득국가 모성보건지표의 더딘 개선율은 MDG 5(모자보건향상) 미달성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간다 동부 카프초르와 구의 모성사망과 밀접한 산후건강관리(PNC, Postnatal care)서비스 이용결정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지역건강관리자들에게 PNC 서비스 이용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 및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MDG 5 지표 개선에 일조하고자 한다. 방법: 표본 집단은 카프초르와 구의 15세~49세 여성들 중 최근 1년 내에 출산을 경험한 자들을 대상으로 편의추출 되었다. 조사기간은 2014년 7월부터 10월까지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에 총 171명이 응답하였고, 19명의 주요 정보제공자와의 심층면담도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PNC 이용행태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독립변수가 PNC 이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응답자의 55%만이 의료시설의 PNC 서비스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서는 응답자의 연령과 사회적 네트워크, 인지된 건강상태, 산전관리서비스 이용이 PNC 서비스 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료시설과의 거리, 가족의 규모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PNC 서비스 이용개선을 위해서는 먼저 여성의 사회적 자본 확충 및 개선을 위한 모성보건교육인 소프트 인프라 지원이 지자체 차원에서 실시되어야 할 것이며, 서비스 이용을 가능케 하고 접근성을 높이는 응급후송체계 구축과 같은 물리적 인프라 지원도 도입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가족계획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모성보건관리에 대한 지자체의 민감성을 높이는 것도 필요하겠다.

Differences in Maternal Role Attainment for Breastfeeding and Bottlefeeding Mothers at Four Months after Delivery (모유수유 유무와 산후 4개월된 어머니의 모성역할 획득정도 차이)

  • Lee, Hae-Kyung
    • 모자간호학회지
    • /
    • v.4 no.1
    • /
    • pp.33-40
    • /
    • 1994
  • 모유수유 유무와 아기의 신체적, 정서적 발달과의 관계, 모유수유 성공에 영향을 주는 요소, 모유수유를 성공시키기 위한 전략 등 모유수유를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 졌다. 이에 비하여 모유수유가 어머니의 모성행위, 어머니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등 모유수유 유무가 어머니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많은 모성간호사들은 모유수유 어머니가 인공수유 어머니보다 아기 양육에 더 자신감을 갖고 있고, 어머니로서의 역할에 더 만족한다고 믿고 있다. 또한 피치못할 사정으로 인공수유를 하는 어머니들 스스로도 모유수유를 하지 못함 때문에 아기에 대한 죄의식을 갖고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생후 4개월된 아기를 갖고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유수유 유무와 어머니의 모성역할 긴장과 모성역할 획득 정도에 차이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모유수유 유무에 따라 모성역할 획득정도에 차이가 없었으며, 모성역할 긴장에도 차이가 없었다. 또한 남편의 지지와 친척 및 친구의 지지를 공변량으로 처리하여 모유수유 유무에 따라 모성역할 획득정도에 차이를 알아 본 결과 모유수유 유무에 따라 모성역할 획득 정도에 차이가 없었고, 모성역할 긴장 역시 차이가 없었다.

  • PDF

Low Fertility Era and Maternal Health Promotion (저출산 시대와 모성의 건강증진)

  • Jeon, Bye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6
    • /
    • pp.162-173
    • /
    • 2014
  • Among OECD countries, Korea is the only country which has continuously recorded total birthrate below 1.3 person for over 10 years. Since 2006, the Korean government has promoted the population policy in full scale. But, the fertility rate which became low has not shown any sign to go up again. Thus, Korea can be understood as having fallen into 'low fertility trap'. Such a low fertility can cause serious problems such as weakening of national competitive power and even survival of the country. In Korea, due to studies and finding jobs among young women, their childbirths are kept being postponed. In some cases, poor working conditions where women work can cause physical conditions not appropriate for pregnancy.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let childbearing women, pregnant women take care of their health. Accordingly, conscious of this low fertility era, this study examined maj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countries' health promoting strategies-with focus on motherhood and suggested some methods to effectively improve health for motherhood.

Community diagnosis of health life style in the maternal community -A project for maternal & child health at Ban Nong Loob division in Thailand- (지역사회 진단을 통한 모자보건사업 계획)

  • So, Ae-Young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5 no.2
    • /
    • pp.227-235
    • /
    • 1994
  • 본 프로젝트는 1993년 6월부터 9월까지 태국의 International Community Maternal and Child Health Nursing Training Program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17개국 참석자 중 8개국 참가자들이 태국의 권케지역(태국 북동부)중 한 농촌지역을 택해 1개월간의 가정방문과 Group Work을 통해 지역사회 진단후 진단내용을 근거로 사업계획을 시행한 것이다. 조사지역 -Ban Nang Loob Village-은 우리나라의 일차보건의료를 수행하는 가장 말단지역인 이(里)에 해당하며, 이 중 5세 미만의 영유아가 있는 어머니들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가구는 75가구였으며, 자료수집도구는 일반적인 특성, 환경상태, 지역사회 조직, 모자보건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과 관련된 내용으로 총 52개 문항이었다. 자료수집은 면접과 관찰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면접은 통역을 위해 태국 권켄대학의 간호대학 교수들과 함께 시행하였다. 본인이 참석한 그룹에서는 모자보건사업 중 모성건강에 관한 조사만 이루어졌으므로 이 지면에 소개된 프로젝트는 모성건강문제에 국한된다. 본 조사에서는 3가지 모성 건강과 관련된 문제가 나타났는데 이를 문제의 정도, 심각성, 예방가능성, 지역사회의 관심정도로 점수화하여 총계를 낸 후, 가장 커다란 문제점으로 '모성의 임신과 산욕기 동안의 합병증에 대한 지식부족'이 제기되어 이를 기초로 Master Plan, Operational Plan, Time Frame, Budget이 제시되었다. 본 프로젝트에서 제시된 사업계획은 담당지역의 Health Center, 권켄 간호대학, 지역사회 주민조직의 협조로 지역주민의 모자보건사업 활성화를 위해 실제로 시행될 계획이다.

  • PDF

Women and Children's Health Care in Korea: Status and Strategies (한국의 여성과 어린이 건강 - 실태와 전략 -)

  • Lee, Kyung-Hye
    • Women's Health Nursing
    • /
    • v.7 no.4
    • /
    • pp.657-665
    • /
    • 2001
  • 여성건강은 개인 뿐만 아니라 가족, 사회, 국가적으로 대단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미래사회의 자원인 인간을 출산하고 양육하는 것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여성은 스스로 자신의 몸을 지키고 건강행위를 위한 결정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출산과 관련하여 여성은 자신의 건강을 유지 증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한나라의 발전수준은 모자보건의 수준으로 결정하며 영아 사망률과 모성사망률은 국가 발전의 수준을 대표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 여성과 어린이 건강 실태를 살펴보았다. 모성사망률과 영아사망률은 여성의 산전간호 수진률의 증가와 영아 예방접종률의 증가로 점차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모유수유률의 감소와 영아의 사고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은 자라나는 어린이의 건강을 위협한다. 어린이 사고는 환경과 돌보는 어른들의 부주의에 의해서 발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어린이 사고를 방지하고 모유수유률을 증가시키는 예방전략이 필요하다. 여성의 흡연, 음주, 약물의 사용이 증가하는 것과 여성폭력이 증가하는 것은 여성건강을 위협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또한 식습관 장애와 같은 잘못된 건강행위는 여성의 건강을 위협할 뿐 아니라 자녀출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여성과 어린이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해서는 여성이 여성으로서의 인식을 가지고 건강관리기관을 찾고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간호사를 비롯한 의료인은 여성이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고 자가간호 할 수 있는 힘과 의지와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여성건강전문간호사가 필요하다. 또한 국가와 사회단체(NGO)가 함께 여성건강이 국가적인 사업임을 인식하고 지원과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PDF

Maternal Role Development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Graduate Mothers of Premature Infant (신생아 집중 치료실 퇴원 후 미숙아 영아 어머니의 모성 역할 발달)

  • Kim, Ah Rim;Tak, Young Ran
    • Women's Health Nursing
    • /
    • v.21 no.4
    • /
    • pp.308-320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dictive factors for maternal role development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A total sample of 121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following discharge from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were recruited using two strategies; an internet-based survey and an in-person data collection in a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regarding personal, birth variables, marital intimacy, maternal attachment, maternal identity and maternal role development. Result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parity, maternal attachment, marital intimacy and maternal identity were predictors for maternal role development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accounting for 70% of the variance. Among these variables, maternal attachment i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for maternal role development. Conclusion: Nursing interventions during hospitalization to post-discharge education that includes parents of premature babies with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couples strengthening marital intimacy and promotes maternal attachment that leads to integrate maternal identity should be considered by priority. Community-based family services such as home visits should be focused on maximizing the predictive factors for maternal role development in transition to motherhood that can contribute to maternal health as well as optimal growth and development of premature infants.

Effect of Maternal Employment and Infant's Prematurity on Postpartum Health (모성 취업과 미숙아 출산이 산후 건강회복에 미치는 영향)

  • Ahn, Suk-Hee
    • Women's Health Nursing
    • /
    • v.8 no.1
    • /
    • pp.55-68
    • /
    • 2002
  • While the survival rate of preterm infants and employment rates of mothers with infants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ing, little is known about the impact of maternal employment and having premature infants on maternal health recovery after delivery. The purpose of this longitudinal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postpartum health by mother's employment and infant's prematurity over time during the first 3 months postpartum. The study used a longitudinal design and was secondary data analysis from a large study. A convenience sample of 132 mothers was recruited with mothers who had fullterm or preterm infants through the postpartum unit. They were followed up for 3 times (at 1-2 days, 6 weeks, and 3 months) during the first 3 months postpartum period. Level of fatigue and hysical symptoms were indicators for postpartum physical health;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were assessed for postpartum mental health, and role functional status after childbirth was for role performance. Finding indicated that health indicators changed significantly over time but there was no main or interaction effect for maternal employment status. There were main effects of infant's prematurity on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and role functional status (self-care and social and community activities). This study enhanced the understanding of postpartum health of mothers with preterm infants as well as those with fullterm infant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 PDF

The Effects of Maternal Health Care Program on Depression, Maternal Role Self-confidence and Delivery Self-efficacy in Pregnant Women (모성건강관리프로그램이 임부의 우울, 모성역할자신감, 분만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 Kim, Youn Sil;Lee, Yun Jeong;Park, Gyu Hee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 /
    • v.23 no.2
    • /
    • pp.134-141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aternal health care program on pregnant women's depression, maternal role self-confidence and delivery self-efficacy in a public health center. Method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 design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aternal health care program. In the experimental group (39 participants), maternal health care program was applied for 120 minutes for 8 weeks, and the control group (40 participants) was provided with a booklet for maternal health car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 2015 to November 30, 2015.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Results: The maternal health care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maternal role self-confidence and delivery self-efficacy compared to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maternal health care program conducted at the public health center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maternal role self-confidence and delivery self-efficacy. Further development of a program to mediate the depression of the expectant mothers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