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델 이해

Search Result 2,80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ata Assimilation of Leaf Area Index for Drought Assessment In East Asia (잎면적 지수 자료동화 기반 동아시아 가뭄 평가)

  • Seo, Hocheol;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1-31
    • /
    • 2019
  • 잎의 생태 계절학적 변화는 지상의 탄소/질소 순환에 큰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토양 수분, 증발산과 같은 물 순환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이를 모의하기 위하여 많은 지면-생태 생태모형들이 개발되어져 왔지만, 자연현상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모델 결과값과 실제 관측 값에 차이가 발생된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제 모형과 관측되어진 자료를 실시간으로 융합하는 자료동화 기법이 개발되어져 모델들의 오차를 줄여주거나, 실제 모델의 파라미터들을 보정하는데 사용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기후모형인 Community Land Model(CLM)을 기반으로 하여 2003년부터 2010년까지 동아시아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면-대기-해양 모델로부터 발생되어진 40개의 앙상블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도출된 잎면적 지수와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잎면적 지수를 실시간으로 융합하는 앙상블 칼만 필터기법을 이용하여 잎면적지수 자료동화가 생태 생태 수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특히 잎면적 지수 자료동화가 동아시아 지역의 가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1~3 m 의 토양수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가뭄을 정의하였다. 이러한 토양수분 가뭄을 시 공간적으로 나타내어 동아시아지역의 가뭄의 기간, 심도 와 같은 가뭄을 특성을 이해하여 보고자 하였으며, 잎면적 지수 자료동화가 가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 PDF

Development of Network and Digital creation tools Curriculum Model to consider understanding concepts and learning activity (개념이해와 학습활동을 고려한 네트워크 및 디지털 창작도구 교육과정 모델 개발)

  • Sung, Younghoon;Jeong, Youngsik;Park, Namj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0 no.6
    • /
    • pp.563-574
    • /
    • 2016
  • This paper is a research on the curriculums of network and digital creation tools among SW education in order to apply them to SW curriculum in education fields. For doing so, a curriculum model was developed by extracting main key words through the analyses of domestic and foreign SW curriculum, and reorganization of concept understanding and learning activity elements was made so as to be fit to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 And curriculums were remodeled by curriculum such like concept understanding was focussed in network, activities in digital creation tools and its validity was suggested through expert verification by composing contents elements based on the results. Also, this model was proposed so that each school could recompose it easily by combining contents elements of other curriculums. Therefore, the suggested model could be utilized as a basic research data in applying domestic SW curriculum standard model.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Information Model and Usability of Website (웹사이트의 정보 모델과 사용성의 관계)

  • 이지수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no.4
    • /
    • pp.67-76
    • /
    • 2000
  • Websites support various user activities in a wide range of contents domain and so they require different approach to extract principal design problems. In the point of media perspective on websites, this paper figures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er, user and website and discusses design factors of usability. It aims for the basic framework for interface design. In the media perspective website is an information entity mediating user and designer. Information entity is composed of various design factors relating to user, designer, website and others. It intends that user and information entity are accommodative to each other and have common conceptual model. To do so it is necessary for achieving usability objectives such as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user goal,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point of usability we examine design factors and features that are appropriate for users cognitive and affective function according to information entity model that constitutes contents, organization and representation level.

  • PDF

Plan-based Ellipsis Resolution for Utterances in Noun-Phrase-Form in Restricted Domain Dialogues (제한된 영역의 대화에서 체언구 형태의 발화 이해를 위한 계획기반 생략 처리)

  • 윤철진;서정연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1 no.1
    • /
    • pp.81-92
    • /
    • 2000
  • Elliptical fragments are common in natural language dialogues between humans. Since most elliptical fragments should be interpeted within the context. it is not easy for computers to recognize the speaker's intention from the elliptical fragments. In t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to recognize speaker's intention from elliptical fragments 1 in Korean by expanding the tripartite plan-based model proposed by Lambert. We add new discourse recipes to define user's discourse actions through elliptical fragments. In order to use plan inference process. we must represent utterances as actions. e. g .. r e elliptical fragments are represented as surface speech acts. In surface speech act representation. we include the information of 'Josa' (case markers in Korean), because t the information of 'Josa'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analysing speakers' intention in Korean. Finally. by using an object and discourse focus theory, the system can recognize the intention that a user is trying to compare between two plans by uttering elliptical fragments

  • PDF

A Fusion of the Period Characterized and Hierarchical Bayesian Techniques for Efficient Cluster Analysis of Time Series Data (시계열자료의 효율적 군집분석을 위한 구간특징화와 계층적 베이지안 기법의 융합)

  • Jung, Young-Ae;Jeon, Jin-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7
    • /
    • pp.169-175
    • /
    • 2015
  • An effective way to understand the dynamic and time series that follows the passage of time, as valuation is to establish a model to analyze the phenomena of the system. Model of the decision process is efficient clustering information of the total mass of the time series data of the relevant population been collected in a particular number of sub-groups than to look at all a time to an understand of the overall data through each community-specific model determination. In this study, a sub-grouping of the group and the first of the two process model of each cluster by determining, in the following in sub-population characterized by a fusion with heuristic Bayesian clustering techniques proposed a process which can reduce calculation time and cost was confirmed by experiments using actual effectiveness valuation.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s - with Reference to BTO (Build-Transfer-Operate) Road Projects - (민간투자사업 성과평가 모델 개발 및 적용 - 도로 부문 사업을 중심으로 -)

  • Park, Hyeon;Park, Inseok;Lee, Shi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9 no.2
    • /
    • pp.83-95
    • /
    • 2018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s that appropriately reflects the important traits that are unique to PPP projects. To this end, 1) it defines a set of distinct perspectives involved in the PPP projects and their associated success factors that might differ amongst the perspectives; 2) it identifies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s and suggests the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indicator; and 3) it builds a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by matching the success factors from each perspective with performance measure criteria as well as applies the model to the two selected BTO road projects in Korea. The process of model construction and its application confirm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in stakeholder perspectives typically involved in PPP projects, which highlights the need for an evaluation model tailored for PPP projects by taking into account the distinct perspectives. The results from the PPP evaluation model developed in the study is compared against the results from the existing ex-post evaluation model for construction projects in general. The former shows a closer match with the results from the user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This new evaluation framework and the performance indicators entailed in it permits a balanced evaluation of PPP projects as it takes into account different perspectives involved in PPP projects as well as an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PPP projects. While the construction of the model is based on transport projects, it is applicable to different types of PPP projects through variation with the weight allocation amongst different success factors and/or additions or other adjustments 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as required.

A Systematic Approach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Geum River Estuary in Korea (하구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적 접근: 금강하구해역 사례)

  • Lee, Chang-Hee;Kim, Tae In;Cho, Honglae;Ryu, Jong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8-18
    • /
    • 2020
  • 금강하구와 같이 막힌 대형 하구는 근본적으로 복잡한 물리화학적 프로세스와 다양한 이해당사자간의 갈등 때문에 단편적인 접근으로는 관리의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더욱이 하굿둑의 갑문을 열어 하구순환을 복원하는 해수유통 사업은 그 자체가 가지는 환경적 효용성의 확인과 기존 용수이용 체계의 전면적 변화와 관련된 상당한 비용이 요구된다는 면에서 특별한 논란이 되어왔다. 본 연구는 해수유통으로 인한 금강 하구해역의 수리, 수질, 퇴적 및 생태 등 다양한 환경적 변화를 집중적인 현장 조사 및 통합 모델링을 통해 정량적으로 예측하고 이를 지역 이해당사자 논의 체계인 금강하구해역정책협의회에 제공함으로써 해수유통과 연관된 이해당사자 간 갈등을 완화하고 과학적 자료에 근거한 정책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과학-정책의 통합). 조사연구는 하굿둑 갑문 개방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별로 해수유통으로 인한 영향을 하구해역(하굿둑의 바다 쪽 해역)과 하구호(하굿둑의 하천 쪽 담수역)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하천-하구호-연안해역의 공간적 통합). 시나리오는 하구해역정책협의회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개발되었고, 시나리오별 영향파악은 수리(조석 및 파랑 포함), 퇴적물 이동 및 수질은 Delft3D모델을, 유역으로부터의 유량 및 오염물질 부하량은 분포형 비점모델인 STREAM을, 김양식과 이매패류 생산량을 추정하는 생태모델은 통계기반의 포인트 모델을 통해 이루어졌다(수리-퇴적-수질-생태계 모델의 통합). 시나리오 분석결과, 상시 해수유통을 제외한 대부분의 하굿둑 부분 개방 시나리오에서는 하구해역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하굿둑 부분 개방에 따른 담수방류량 및 이에 대응하는 해수의 유동패턴이 현재와 크게 달라지지 않음을 반영한다. 반면 하구호에 대한 영향은 하구해역에 비해 하굿둑 갑문 운영시나리오에 따라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변화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갑문의 부분 개방을 통해 하구호의 수위를 현재 대비 5cm~50cm 변화시켰을 때 1psu 염분의 저층에서의 침투거리는 하굿둑 상류 6km~18km 정도로 예측되었고 갑문 개방에 의해 염분 침투 거리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단, 사용된 통합모델은 수년간의 검보정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예측의 정확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였지만, 모델운영 자체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실제 해수유통을 위해서는 시범개방을 통해 모델 예측의 결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 PDF

A Survey on Deep Learning-based Pre-Trained Language Models (딥러닝 기반 사전학습 언어모델에 대한 이해와 현황)

  • Sangun Park
    • The Journal of Bigdata
    • /
    • v.7 no.2
    • /
    • pp.11-29
    • /
    • 2022
  • Pre-trained language models are the most important and widely used tool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asks. Since those have been pre-trained for a large amount of corpus, high performance can be expected even with fine-tuning learning using a small number of data. Since the elements necessary for implementation, such as a pre-trained tokenizer and a deep learning model including pre-trained weights, are distributed together, the cost and period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has been greatly reduced. Transformer variants are the most representative pre-trained language models that provide these advantages. Those are being actively used in other fields such as computer vision and audio applications. In order to make it easier for researchers to understand the pre-trained language model and apply it to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asks, this paper describes the definition of the language model and the pre-learning language model, and discuss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pre-trained language model and especially representative Transformer variants.

Representing the views of product data using extended Topic Maps (확장된 토픽맵을 이용한 제품 데이터에서의 관점의 표현)

  • 채희권;최영환;김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157-1164
    • /
    • 2003
  • 제품개발과정에서 생성된 제품정보모델은 시간에 따라 계속 변하고 미확정적인 정보가 포함된 UDM(Under Defined Model)이다. 정보모델에서 관점(viewpoint)은 UDM을 표현하고 관리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토픽맵(Topic Map) 이용한 정보모델은 관점의 표현이 용이하며, 관점에 따라 인간이 정보를 이해하고 조작하는 것을 돕는다. 그러나 토픽맵은 제품개발과정의 정보모델과 같은 UDM의 표현은 가능하나, 적합하지는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토픽맵이 UDM에 적합하도록 토픽맵의 문법을 확장하였다. 그리고 UDM으로부터 전자상거래에 적용 가능만 FDM(Fully Defined Model)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대하여 논하였다. 관점이 적용된 UDM으로는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 중에 생성되는 제품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대량생산이 된 이후의 제품 모델이나 제품개발단계에서 결정이 이루어진 후의 제품모델을 FDM 또는 UDM보다 모델의 의미가 보다 확정적인 확정적UDM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세탁기의 제품정보모델을 구현 예로 사용하여, UDM이 FDM 또는 확정적UDM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 PDF

대공간 건축물의 온도 및 기류분포 예측 기술

  • 손장열;안병욱;박종수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0 no.4
    • /
    • pp.12-19
    • /
    • 2001
  • 대공간의 건축물의 합리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온도 및 기류분포의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예측 방법으로 정밀해석 모델(CFD)만을 최선의 방법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지만, 비용과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설계 단계별로 보다 적합한 예측 방법을 적용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다양한 예측 모델들의 장·단점 및 실용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전제될 때 가능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열환경·설비 설계시, 설계 단계에 따른 적합한 예측 모델들을 소개한다. 더불어, 적절하고 타당한 예측 기술이 설계에 반영되어 대공간 건축물의 실내 열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약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