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델 기준

검색결과 4,602건 처리시간 0.036초

디커플링 조건 및 폴리머 겔 적용에 따른 발파공 발파위력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Study on Blast Effects of Decoupling Condition and Polymer Gel Coupling in Single Blast Hole by Numerical Analysis)

  • 고영훈;정승원;양형식
    • 화약ㆍ발파
    • /
    • 제36권2호
    • /
    • pp.1-9
    • /
    • 2018
  • 폴리머 겔의 발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AUTODYN을 이용한 단일 발파공 모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발파공 내부 에멀젼 폭약과 공벽간의 채움재는 공기와 폴리머 겔을 적용하여 서로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디커플링 지수 1.0인 밀장전과 디커플링 지수 1.25, 1.56에 대해 각각 해석하였다. 폴리머 겔의 발파 효과 평가를 위한 기준은 밀장전 case를 기준으로 하였다. 해석 결과로서 석회석 모델의 파쇄 및 균열 발생에서 공기보다 폴리머 겔 적용의 경우가 높은 파쇄 정도를 나타냈고, 지정 게이지에서의 최고압력 또한 공기의 경우보다 폴리머 겔 적용이 높은 수치를 보였다.

건설신기술 지정제도의 평가프로세스 개선방안 (An Improved Scheme of Evaluation Process in the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y Endorsement System)

  • 태용호;박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363-366
    • /
    • 2002
  • 현행 건설신기술지정제도의 평가는 신규성, 진보성 및 현장적용성의 일률적인 평가기준이 적용되고 정량적 평가가 쉽지 않아, 객관성과 공정성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건설신기술 지정제도의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건설신기술의 기술분야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평가 기준 및 평가방법의 정량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기술 평가의 정량화 방안으로 판별함수식을 이용한 평가 모델을 제시하였다. 평가기관 전문가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여 평가항목변수를 선정하고, t-검정을 실시하여 모델구축의 최종변수를 선정하였으며, 판별분석을 실시하여 판별함수를 도출하였다.

  • PDF

지상사진측량(地上寫眞測量)에 의한 정밀측량기법(精密測量技法)의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recise Surveying Technique by Terrestrial Photogrammetry)

  • 강인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91-98
    • /
    • 1989
  • 지상사진측량에서 단모델의 해석은 구조물이 커지면 적용하기가 어려워지므로 정밀한 좌표해석에서는 불럭조정기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기준점의 배치는 불럭조정결과의 오차특성에 커다란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기준점 배치에 따른 오차분포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블럭조정 기법을 이용한 단위모델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지상사진측량에 있어서 브리징 간격과 오차에 관한 2차다항식의 오차관계식을 개발하였다. 또한 블럭조정기법과 단모델기법의 비교에서 평균제곱근 오차가 0.44mm와 1.06mm로 나타냈다.

  • PDF

Development of Fatigue Performance Model of Asphalt Concrete using Dissipate Energy

  • Kim, Nak-Seok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9-43
    • /
    • 2010
  • 본 연구의 주목적은 아스팔트 혼합물의 피로균열에 대한 예측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아스팔트 혼합물의 피로균열 시험을 위하여 응력제어 간접인장피로 시험이 수행되었다. 피로균열에 대한 예측모델 개발을 위하여 내적손상비 증가 개념이 도입되었다. 내적손상비증가 개념에서는 방출에너지 개념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기준인장변형율 및 변형율 추이 요소 등이 추가로 사용되었다. 피로시험에서 나타난 방출에너지의 원인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료 내부의 손상증가와 재료 자체가 갖고 있는 고유의 점탄성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방출에너지는 하중재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함을 보였다.

정현파 모델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의 심리음향적 분석 및 합성 (Analysis and Synthesis of Audio Signals using a Sinusoidal Model with Psychoacoustic Criteria)

  • 남승현;강경옥;홍진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7-82
    • /
    • 1999
  • 정현파 모델은 음성과 오디오 신호의 분석과 합성에 많이 활용되어 왔으며 최근 고음질 저비트율 오디오 부호화에 효율적인 방법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정현파 모델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의 분석과 합성에서 중요한 단계 중의 하나는 순음의 검출이다. 본 논문은 정현파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의 분석과 합성에 매스킹 효과와 매스킹 인덱스 그리고 JNDf(Just Noticeable Difference in Frequency) 등의 심리음향적 기준들을 활용하는 효율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심리음향적 기준을 사용하면 합성된 음질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합성에 사용되는 정현파의 개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사용자 효용을 고려한 사용성 문제의 우선순위 정의 및 사용성 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 - 카노의 사용자 만족 모델의 활용 중심으로 (A Study of Improving Product Usabilit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Usability Problems Considering Users' Satisfaction -Applying the Kano's Model of Customer Satisfaction)

  • 허정윤;박상현;송치원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179-184
    • /
    • 2006
  •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User-Centered Design)" 은 좋은 사용성을 가진 제품을 만들기 위한 사용되는 보편적인 접근방법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투자대비 최대의 가치 창조라는 경제성 원리와 개발 기간의 제약을 고려하면 개발 중 사용성 평가를 통해 발견된 문제들을 모두 제품에 반영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 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발견된 문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정의한 후 가장 중요한 문제점에 대해 먼저 개선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기존의 사용성 문제에 대한 우선 순위는 주로 문제 자체의 심각도를 고려하여 결정되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인식하는 사용성(Perceived Usability)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효용을 우선적으로 제품에 반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카노의 사용자 만족 모델을 활용한 사용자 효용과 사용성 문제들의 잠재가치를 고려한 사용성 문제 분류를 기구 사용성 평가 가이드라인의 제작에 적용하였다. 제안된 분류에 의해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1) 반드시 만족 시켜야하는 제품 사용성 기준, 2) 경쟁사 대비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비교평가 기준으로 나누어 정의함으로써 단일 제품의 절대적 평가가 아닌 경쟁사 제품과의 비교 평가를 통한 개선 방향의 제시에 Kano 모델을 기반으로 정의된 사용성 문제들의 효용가치분류가 효과적이라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보이고자 한다.

  • PDF

건설 프로젝트 VE업무 기준 수립 모델 (Standard Establishment Model for Value Engineering Work in Construction Projects)

  • 김수용;인치성;양진국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83-486
    • /
    • 2006
  • 건설 프로젝트에서 VE는 예산절감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이며 최근 건설VE 업무의 적용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VE 업무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건설VE 업무 진행과정상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업무 능률을 효율화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 모델은 발주자 및 사용자의 요구항목을 체계적으로 반영하여 초기 VE 업무의 접근 방향 및 기준 설정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후속적으로 진행되는 분석단계의 기능분석 및 아이디어 창출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성공적인 VE 성과를 도출 가능하게 할 것이다.

  • PDF

풍력발전기 블레이드의 표면 거칠기 변화가 하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Blade Surface Roughness on Wind Turbine Extreme Loads)

  • 김수현;신형기;방형준;장문석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33.1-33.1
    • /
    • 2011
  • 풍력발전기가 점차 대형화되어가는 추세에 따라 블레이드 역시 점차 길어지고 무거워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블레이드뿐만 아니라 풍력발전기 시스템 전체의 하중 및 비용의 증가를 불러오게 되므로, 시스템의 성능 및 하중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블레이드의 공력특성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지속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작동 중 오염에 의한 블레이드 표면 거칠기 변화는 블레이드의 공력특성을 변화시켜, 발전기 전체의 성능뿐만 아니라 전체 하중에도 영향을 끼치는 주요 인자이다. 따라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설계 시에 예측된 설계하중과 실제 운용 환경에 의해 변화된 운용하중 간의 차이를 예측할 수 있다면, 블레이드 설계 시에 표면 거칠기 변화에 따른 영향을 고려함으로써 실제 운용 환경에 맞는 최적의 블레이드 및 풍력발전기 시스템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블레이드의 표면 거칠기 변화에 따라 풍력발전기 하중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표면 거칠기 민감도를 고려하지 않고 설계된 기준 블레이드와, 운용 중 표면 거칠기가 변화된 블레이드의 2개 모델에 대한 하중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보다 실제적인 해석을 위해 Multi-MW 급 풍력발전기 시스템 모델을 대상으로 최적 설계된 블레이드를 기준 모델로 삼았다. 하중계산방법은 IEC 및 GL 2010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였으며, 일부 주요 극한하중 상황에 대하여 해석을 수행하여 설계하중상황(design load case, DLC) 별로 하중의 증감 및 경향을 비교하였다.

  • PDF

요구사항 기반 정보시스템 감리의 정량화 분석 모델 설계 (Design on Fixed Quantity Analytical Model for Information System Audit based on Requirements)

  • 김희완;김훈겸;고찬;김동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5호
    • /
    • pp.141-156
    • /
    • 2011
  • 정보시스템 감리에서 발생하는 감리인의 주관적인 판단은 감리 의견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정보시스템 감리에서 요구사항의 중요성과 감리 평가에 대한 객관성의 향상을 위하여 요구사항 우선순위를 통한 감리 정량화 모델을 제시하였다. 요구사항의 가치는 동일한 레벨에 있지 않다는 전제하에 고객 요구사항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요구사항 우선순위 기준에 대한 세부적인 평가 지표를 발주자 측면 요소인 서비스 중요도와 기능 만족도, 사업자 측면 요소인 비용과 일정으로 세분화하여 객관적인 감리 수행 결과의 정량화를 가능하게 하여 감리의 객관성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네트워크 기반에서의 스마트 농업 표준 기준모델 분석 (Standard Reference Model Analysis for Smart Farming based on Networks)

  • 김동일;정희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2703-2709
    • /
    • 2015
  • IT 와 농업분야의 융합은 생산, 유통, 소비 분야에서의 효율과 질적 향상을 기대하게 되었고 특히 IT 영역의 정보 분석 기술과 자동제어 기술은 농산물 생산에 많은 장점을 제공하게 되었다. 네트워크 기반에서의 농업 분야 ICT확대는 기술적,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어려움들을 해결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IT와 접목한 스마트 농업 환경에서의 표준 기능 모델을 제안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스마트 농업에서의 기술적 서비스 요구조건 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