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명명 유연성

Search Result 2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Catalogue of the Pyralidae of Korea (Lepidoptera) I. Evergestiinae and Pyraustinae (한국산 명나방과 목록 I. 새들명나방아과(신칭), 들명나방아과)

  • Park K.T.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18 no.2 s.39
    • /
    • pp.89-100
    • /
    • 1979
  • [ $\lceil$ ]한국산 명나방과(Pyralidae)에 관하여는 이미 필자(1976)에 의하여 언급된바와 같이 1889년 영국인 곤충학자 J.H. Leech가 처음으로 9종의 신종을 발표한데 이어 현재까지 300여종이 기록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의 기록이 여러종류의 발표문에 산재해 있는 상태로 체계적인 정리가 이루어진바 없으며 학명뿐아니라 우리말 이름조차 갖가지로 쓰여지고 있어 곤충명 사용에 혼란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필자는 현재까지 발표되었던 종들을 조사하여 최근의 분류체계에 따라 학명 및 그들의 동의어(Synonym)를 정리함과 아울러 우리말 이름도 먼저 명명된 이름이나 또는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름을 택하여 통일화하고 ( )안에 그 이명을 표시하였다. Evergestiinae(새들명나방아과, 신칭)은 현재까지는 주로 Pyraustinae(들명나방아과)에 포함되는 족(Tribe)으로 취급되어 왔으나 최근의 분류체계에 따라 독립된 아과로 취급하였다. 이들에 대해서는 Leech에 이어 일본인 Shibuya(1927년에 의하여 13종, 박세욱등 (1958, 1969)에 의하여 27종이 새로 기록되는등 1968년에 출판된 한국 동물명집 곤충편에는 94종이 수록되었다. 최근 필자(1976)에 의하여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발표된 24종과 기타 국내외의 문헌을 통한 기록의 근거를 기초로 작성된 이 목록에는 Evergestiinae에 1속 3종, Pyraustinae에 53속 123종이 포함되었으며 학명이 불분명하거나 채집의 근거가 불확실한 4종은 후미에 별도로 기재하였다. 분포란의 괄호안에 명시된 채집지는 필자에 의하여 채집 확인된 종들로서 그들의 표본은 농업기술연구소 곤충연구담당관실 표본실에 소장되어 있다. 다른 아과에 관하여는 정리가 완료되는대로 추후 발표할 예정이다.nemella hengsungica, Aphelenchoides besseyi 등으로 2아목 7과 11종이었다.는 내연가공한 옷생산에 사용되지 않는 것이 타당하겠다. 주아의 즙액에 의해서도 C. amaranticolor에 기계적 전염이 되었다. 7. C. amaranticolor 상에 계통분리된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내열성은 $65^{\circ}-70^{\circ}C$, 희석한계는 $10^{-}2-10^{-3}$, 그리고 보존한계는 2 일이었다. 8.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순화는 2회의 분획원심과 Sephadex gel filtration에 의해서 가능했다. 9. 전자현미경하에서 관찰한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길이 1200-1225mu 폭 10-12mu의 사상이었다. 10. 혈청학적 미량침강 반응법에 의해 마늘잎에서뿐만 아니라 인편과 주아에서도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검정이 가능했다. 11. 우리나라 5개 지방에서 수집한 마늘 종구 150개와 주아 30개에 대해 혈청학적방법으로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감염률을 조사한 결과 $100\%$의 감염률을 보였다. 12.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와 크기가 근사한 Potato Virus X. Potato virus Y, Potato virus S, Potato virus M 등과의 혈청학적 유연관계를 조사한 바,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이들과 구별되는 다른 바이러스라고 생각된다. 13. 마늘의 모자이크 감염주에서 단일계통으로 분리하여 본 실험에 사용한 바이러스는 마늘의 바이러스 무감염주를 얻을 수가 없기 때문에 직접 마늘잎에 접종해서 모자이크톤의 병원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검정식물상의 반응, 혈청학적반응, 전자현미경적 관찰등의 간접적인 조사 결과로 미루어 미인록의 마늘모자이크 바이러스라고 생각된다

  • PDF

First Report of Die-Back on Rose (Rosa hybrida) Caused by Lasiodiplodia pseudotheobromae in Korea (Lasiodiplodia pseudotheobromae에 의한 장미 가지썩음병의 발생 보고)

  • Wee, Jung-In;Back, Chang-Gi;Park, Mi-Jeong;Chang, Taehyun;Park, Jong-Han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23 no.4
    • /
    • pp.367-371
    • /
    • 2017
  • In 2015, symptoms of die-back on Rosa hybrida were observed in Taean, Korea.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cause of die-back on Rosa hybrida and characterize the pathogen. The fungal isolates were obtained and used for pathogenicity test,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The pathogenicity test on healthy branches of Rosa hybrida produced die-back, as the original symptoms. For the morphological study, the isolates were inoculated onto potato dextrose agar and incubated for 7 days at $25^{\circ}C$. The colonies grew up quickly and turned white to gray in color. Conidia were observed under an optical microscope. The features of conidia were ellipsoidal, grayish brown in color, $20-31{\times}11-17{\mu}m$ in size and had one septum. Molecular analyses of the ITS region, TEF and TUB gene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pathogen. The phylogenetic tree of the multi-gene sequences indicated that the causal agent was Lasiodiplodia pseudotheobromae. This study is the first report of die-back caused by Lasiodiplodia pseudotheobromae on Rose (Rosa hybrida).

First Report of Apricot pseudo-chlorotic leaf spot virus Infecting Peach Trees in South Korea (복숭아나무에서 검출된 Apricot pseudo-chlorotic leaf spot virus의 국내 첫 보고)

  • Bak, Sangmin;Seo, Euncheol;Kim, San Yeong;Park, Won Heum;Lee, Su-Heon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23 no.1
    • /
    • pp.75-81
    • /
    • 2017
  • In May 2016, 24 peach samples showing abnormal and virus like symptoms were collected in one of major peach producing area, Yeongcheon-si, Gyeongsangbuk-do, Korea. We performed RT-PCR diagnosis for confirmation of viral infection. The diagnostic targets are 17 species of viruses and viroids that quarantine and high risk pathogens when it occur. As a results, seven species of viruses and viroids, including an unreported (Apricot pseudo-chlorotic leaf spot virus, APCLSV) and a quarantine (Peach latent mosaic viroid, PLMVd) species in Korea, were detected. For the sequence analysis of unreported virus, APCLSV, the sequence of coat protein gene were amplified and cloned. The sequence showed 97% nucleotide identity with other APCLSV isolates and compared with other seven species of reported Trichoviruses. This virus was classified as APCLSV based on the sequence and phylogenetic analysis. This isolate was named Yeongcheon. As patterns of APCLSV occurrence, all samples that APCLSV detected were co-infected with Apple chlorotic leaf spot virus (ACLSV). As properties of ACLSV, APCLSV has high possibility of wide spread disease in fruit tree farms in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o related researches, such as infection route and influence of disease in commercial orchards.

Identification of Alga-lytic Bacterium AK-07 and Its Enzyme Activities Associated with Degradability of Cyanobacterium Anabaena cylindrica (Anabaena cylindrica 분해세균 AK-07의 동정과 분해 관련 효소활성 조사)

  • Kim, Jeong-Dong;Han, Myung-Soo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6 no.2 s.103
    • /
    • pp.108-116
    • /
    • 2003
  • To investigate bacteria with algal Iytic activities against Anabaena cylindrica when water blooming occurs and to study enzyme profiles of alga-Iytic bacteria, various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surface waters and sediments in eutrophic lakes or reservoirs in Korea. Abacterial strain AK-07 was characterized and identified as Acinetobacter johnsonii based on its16S rDNA base sequence. When AK-07 was co-cultivated with A. cylindrica, bacterial cells propagated to $8\;{\times}\;10^8$ cfu $ml^{-1}$ and Iyses algal cells. However, culture filtrates of AK-07 did not exhibit algal Iytic activities. That suggesting the enzymes on the surfaces of the bacterium might be effective algal Iytic agents to cause Iyses of cells. Acinetobacter johnsonii AK-07 exhibited high degradation activities against A. cylindrica, and formed alginase, caseinase, lipase, fucodian hydrolase, and laminarinase. Moreover, glycosidases for example ${\beta}$-galatosidase, ${\beta}$-glucosidase, ${\beta}$-glucosaminidase, and ${\beta}$-xylosidase, which hydrolyzed ${\beta}$-0-glycosidic bonds, were found in cell-free extracts of A. johnsonii AK-07. Other glycosidase such as ${\alpha}$-galctosidases, ${\alpha}$-N-Ac-galctosidases, ${\alpha}$-mannosidases, and ${\alpha}$- L-fuco-sidases, which cleavage ${\alpha}$-0-glycosidic bondsare not detected. In the results, enzyme systemsof A. johnsonii AK-07 were very complex to do-grade cell walls of cyanobacteria. The polysaccharides or peptidoglycans of A. cylindrica maybe hydrolyzed and metabolized to a range of easily utilizable monosaccharides or other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substances by strain AK-07 of A. johnsonii.

Implementation of a DB-Based Virtual File System for Lightweight IoT Clouds (경량 사물 인터넷 클라우드를 위한 DB 기반 가상 파일 시스템 구현)

  • Lee, Hyung-Bong;Kwon, Ki-Hyeon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3 no.10
    • /
    • pp.311-322
    • /
    • 2014
  • IoT(Internet of Things) is a concept of connected internet pursuing direct access to devices or sensors in fused environment of personal, industrial and public area. In IoT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access realtime data, and the data format and topology of devices are diverse. Also, there are bidirectional communications between users and devices to control actuators in IoT. In this point, IoT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internet in which data are produced by human desktops and gathered in server systems by way of one-sided simple internet communications. For the cloud or portal service of IoT, there should be a file management framework supporting systematic naming service and unified data access interface encompassing the variety of IoT things. This paper implements a DB-based virtual file system maintaining attributes of IoT things in a UNIX-styled file system view. Users who logged in the virtual shell are able to explore IoT things by navigating the virtual file system, and able to access IoT things directly via UNIX-styled file I O APIs. The implemented virtual file system is lightweight and flexible because it maintains only directory structure and descriptors for the distributed IoT things. The result of a test for the virtual shell primitives such as mkdir() or chdir() shows the smooth functionality of the virtual file system, Also, the exploring performance of the file system is better than that of Window file system in case of adopting a simple directory cache mechanism.

Characterization of Three Korean Isolates of Malva Vein Clearing Virus from Curled Mallow (Malva verticillata) (아욱에서 분리한 Malva Vein Clearing Virus 분리주의 특성)

  • Kwak, Hae-Ryun;Kim, Ji-Gwang;Kim, Jeong-Eun;Choi, Hyeon-Yong;Choi, Hong-Soo;Kim, Mikyeong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26 no.4
    • /
    • pp.283-288
    • /
    • 2020
  • In September 2017, vein clearing and yellowing symptoms resembling those caused by viruses were observed on leaves of Malva verticillata in Chungnam, Korea. Nucleic acids were extracted from leaves of five symptomatic plants and tested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four virus specific primer pairs including malva vein clearing virus (MVCV). Amplicons of the expected size (600 bp) were obtained from total RNA of all samples using the MVCV-specific primers. To confirm the presence of MVCV in symptomatic plants, the DNA fragments from three samples were purified, and directly sequenced. BLAST analysis revealed that it shared the highest nucleotide identity (99%) with a MVCV isolate from tomato (Mexico). The virus isolates obtained from the third re-inoculated Chenopodium was designated as Cm1-5. Tissue from Cm1, Cm3, and Cm5 isolates was mechanically sap inoculated into 23 indicator plants. Cm3 isolate induced chlorotic local and mosaic symptoms in Althaea rosea.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coat protein gene of 19 MVCV isolates from 6 different countries and plant species, did not correlated with either the geographical origin of the isolates, or pathogenicity. To our knowledge, this study first reports the natural occurrence of MVCV on M. verticillata in Korea and characterization of three Korean isolates of MVCV.

황금배 동녹 방지용 및 갈색배 방균.방충처리용 봉지 개발

  • 류정용;여성국;신종호;송봉근;한점화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48-149
    • /
    • 2000
  • 황금배는 1967년에 신고에 이십세기를 교배하여 1977년 1차선발과 1982년 2차선발을 거 쳐 1984년 최종선발, 명명한 품종으로, 당도가 높고 육질이 부드러워서 최근 몇년 사이에 캐 나다, 미국, 호주, 그리고 유럽 지역에서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수출전망이 매우 밝은 품 종 중의 하나이다(92년 재배면적 lOha 수출량 5. 8M/T, 95년 재배면적 150ha 수출량 2 200.6M/T), 황금배는 비교적 대과이고 과형은 원형에 가까운 편원형으로서 사과 골든처럼 과피가 황금색이고 과육은 연황백색으로 투명하며 보기에 극히 미려한 특징이 있다. 아울러 육질이 유연치밀하고 과즙이 극히 많으며 당도가 높아 13$^{\circ}$ Bx이상, 15도 Bx까지 측정되는 둥 감산이 적화되어 맛이 극히 우수하다. 그러나 이러한 황금배는 동녹, 흑반병 등 병충해로 인한 상품가치의 하락으로 현재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1 16세기부터 씌워진 과실봉지는 초기 병해충을 방지할 목적만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현 재는 방균과 방충의 효과와 함께 자연현상의 최적화를 위한 차광성, 발수성, 투기성을 조절 하며 과실의 외관까지 영향을 미치는 바, 과실봉지의 기능성 부여를 위해서는 고도의 기술 력이 요구되고 있다 하겠다. 상기한 배에 방균방충처리된 과설봉지를 씌워서 재배하면 농 약 살포횟수를 줄이고 배에 농약이 직접 묻지 않아 배의 농약오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봉 지 안으로의 해충이나 균의 침투를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황금배용 봉 지는 비록 기타 병충해 피해를 방지하는 효과는 있었으나, 동녹을 억제하는 효력이 다소 미 흡하였다. 과피의 비정상적인 코르크화로 인해 발생하는 동녹은 과피의 물리적 할렬과 생리적 장 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永澤 1940). 과실이 비대해짐에 따라 과피의 기공 (과점)이 할렬하면서 코르크화가 진행되는데 그 발생정도나 시기는 배의 품종에 따라 다르 나 일반적으로 코르크화는 기상조건, 특히 습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황금 배의 재배에 봉지를 적용하면 일반적으로 과피의 코르크화가 억제되는데 그러한 이유는 다 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과실은 하루를 주기로 하여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면서 비대화하 는데 이러한 현상은 과실 내의 수분 조건에 따르는 것으로, 봉지재배의 경우 무대재배보다 단기간에 변화되는 습도의 범위가 좁아 급변을 방지하기에 과점의 할렬이 완화될 수 있다. 즉, 봉지를 씌웅으로서 봉지 내의 대기 환경이 외기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직사광선이나 농약 및 마찰로부터 과실을 보호해 주기에 동녹이 어느 정도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황금배봉지는 동녹의 정도를 완화시킬 뿐 완전히 방지할 수 없었으며, 봉지를 적 용한 재배조건에서의 동녹발생 기구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었기에 효과적으로 봉지의 기능 을 개선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과설의 미려도는 과실의 맛과 함께 그 가치를 결정짓는 중요한 물성으로서 우리나라 황 금배 재배환경과 특성에 알맞은 배봉지의 제작이 선결될 때, 배 품질의 향상, 안정된 공급이 가능하게 될 것이며 아울러 농가의 수업증대와 수출 경쟁력 강화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황금배 재배농가가 당면한 동녹발생의 문제점을 신속한 해결 을 위한 새로운 기능성 국산 황금배 봉지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과실봉지의 종류간에 동녹발생 정도 가 상이한 점에 예의 주시하여 다양한 봉지의 적용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황금배의 동녹 발생 정도는 배봉지의 발수성과 투기 및 투습도에 의해 크게 영향받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과점의 코르크화로 인해 동녹이 발생된다고 할 때, 봉지 내의 습기 및 웅결수의 양은 황금배의 동녹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태양광이 내려찍는 낮 시간동안 황 금배는 증산작용을 하며 습기를 배출하는데 봉지 내의 온도가 높은 낮 시간 동안 수분이 습기로 존재하지만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일몰 이후에는 상대습도가 높아짐에 따라 결로 현상으로 인해 응결수가 된다. 이때 응결수와 접촉한 과피는 건조한 상태보다 세균의 침입 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공(과점)의 호홉에 지장이 초래됨에 따라 과점의 할렬이 더욱 조 장되어 코르크화를 유발하고 결과적으로 동녹이 발생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만일에 봉지 의 투기, 투습도가 양호하여 봉지 내의 과다한 수분이 충분히 배출될 수 있었다면, 수분의 응결을 피하고 동녹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 PDF

Breeding of Middle Season Pear Cultivar 'Shinil' with Attractive Appearance for Chuseok Season (외관(外觀)이 수려한 추석(秋夕) 출하용 중생종 배 '신일(新一)' 육성(育成))

  • Kim, Whee-Cheon;Hwang, Hae-Sung;Shin, Yong-Uk;Shin, Il-Sheob;Lee, Don-Kyun;Kang, Sang-Jo;Cheon, Byung-Deok;Moon, Jong-Youl;Kim, Jung-Ho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19 no.1
    • /
    • pp.60-65
    • /
    • 2001
  • 'Shinil' pear cultivar (Pyrus pyrifolia Nakai) which was originated in a cross between 'Shinko' (non-patented, released in 1941) and 'Hosui' (non-patented, released in 1972) in 1978 was released as a middle season harvest variety. Its usual picking time coincided with 'Chuseok' season which is one of the most famous national holiday in Korea. The fruit showed high soluble solids content and good appearance. The cultivar was preliminarily selected in 1991, and its regional adaptability was evaluated in the name of 'Wonkyo Na-13' at 9 sites for four years from 1992, and finally selected and named in 1995. 'Shinil' is medium in tree vigor like 'Hosui' and spreading in tree habit as 'Niitaka', a leading cultivar in Korea, and consistently very productive. It has high resistance to black rot caused by Alternaria kikuchiana and pear necrotic spot caused by pear necrotic spot virus. Its full bloom is one day earlier than that of 'Niitaka' cultivar and harvest time is September 25 at Suwon area which is 3 days later than that of 'Hosui'. Fruit is round in shape with a deep medium stalk cavity and medium calyx basin and has attractive light yellow brown skin color. The fruit weight ranges between 300 and 400 g, which is similar to 'Chojuro', 'Shinko', and 'Hosui'. Soluble solid content is approximately at the level of 13-14 Brix,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Chojuro'. The flesh is cream-white, very juicy, and light grit with soft and fine tex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