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면염색

Search Result 30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마우스 성숙난자의 유리화동결법에 따른 동결 융해후의 염색체와 방추사의 분석

  • 박성은;신태은;김승범;차수경;임정묵;정형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75-75
    • /
    • 2001
  • 유리화 동결법은 동결중 ice crystal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난자의 동결보존을 위한 유용한 동결방법이다. 이전의 연구에서 마우스의 난자를 ethylene glycol과 electron microscope grid를 이용한 유리화 동결법으로 동결 융해한 결과 기존의 slow freezing 방법에서보다 높은 생존율과 배발달율이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동물과 인간 난자를 이용한 연구를 통하여 난자의 경우 동결 융해후 염색체에 부착되어 있는 미세소관인 방추사가 온도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여 염색체 이상성이 증가되는 것이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숙난자를 유리화동결법에 의해 동결 융해후 난자의 염색체와 방추사의 이상성이 증가되는지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ICR mouse의 성숙란을 채취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fresh한 대조군과 동결음해 시킨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동결방법은 난자를 1.5 M ethylene glycol (EG)에 2분 30초간 노출 시킨후 5.5 M EG와 1M sucrose가 첨가된 동결액에 20초간 노출시킨 후 Grid에 난자를 부착시킨 후 직접 액체질소에 침지하여 동결하였다. 동결후 난자는 5단계로 융해를 실시한 후 생존된 난자는 tubulin 항체를 이용한 immunostaining 방법으로 방추사의 이상성을 관찰하였고, 염색체는 난자를 고정 후 10% Giemza로 염색 후 염색체의 수적인 이상성을 관찰하였다. 염색체 분석결과 염색체 이상 빈도는 대조군의 경우 19.6%, 동결융해군은 32.8%로 관찰되었다. 또 방추사의 이상빈도는 대조군의 경우 20.2%, 동결 융해군은 32.3%로 관찰되어 동결 융해후의 난자에서 염색체와 방추사의 이상 빈도가 증가됨이 관찰되었다.찰되었다. 배아이식후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2 마리가 임신이되어 정상적인 산자를 분만하였다. 따라서 항동해제에 taxol의 첨가는 동결 융해후의 난자의 배발달율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8%로 나타나 난할율 및 배반포 발생율에 있어서 융합조건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으나 1.9㎸/cm, 30$\mu\textrm{s}$ 2회의 조건이 다른 조건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체세포와 수핵란 세포질간의 융합율과 배반포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전압보다는 시간에 더 크게 받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에서 융합시 시간을 오래 주는 것보다 전압을 높이는 것이 수핵난자의 세포질에 상해를 줄이고 이후 배반포 발생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면에서도 더욱 더 활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란후 72시간째에 초음파진단기를 이용하여 난소의 난포발달을 조사한 결과 , 대조구와 bFF처리구에 비해 AI처리구에서 발달난포가 유의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Anti-inhibin serum은 한우 자체에서 분비하는 Inhibin을 특이하게 억제하여 Inhibin에 의해 억제되는 FSH분비가 촉진됨으로써 난포발달과 estrogen의 농도가 촉진되는 것으로 사료되어 anti-inhibin serum이 한우의 과배란유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 PDF

Estimation of Application of Artificially Deteriorated Silk by Ultraviolets for Conservation of Paintings on the Silk (견본 회화보존처리에 자외선 인공열화견의 적용성 평가)

  • Oh, Joon-Suk;Chun, Ji-Youn;Lim, In-Kyung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27 no.2
    • /
    • pp.191-199
    • /
    • 2011
  • A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properties of artificially deteriorated silk with ultraviolets for reinforcing of loss area of paintings on silk. Deteriorated surface of raw silk irradiated by long-wavelength ultraviolet(UV-A) than short-wavelength ultraviolet(UV-C) was similar to naturally aged raw silk. UV-A irradiation raw silk was slowly decreased in tensile tenacity and elongation and lowered in yellowness index than that of UV-C. Water content of UV-A irradiation raw silk than that of UV-C was higher. UV-A irradiation raw silk had no problem in dyeing and inpainting for conservation because of low yellowness index. UV-C irradiation raw silk was brittle, but UV-A irradiation raw silk was seemed to tough and similar to naturally aged raw silk. Korean painting conservator estimated that UV-A irradiation raw silk was more proper for reinforcing of loss area of paintings on silk than that of UV-C.

POLYMERIZATION SHRINKAGE, HYGROSCOPIC EXPANSION AND MICROLEAKAGE OF RESIN-BASED TEMPORARY FILLING MATERIALS (레진계 임시수복재의 중합수축, 수화팽창과 미세누출)

  • Cho, Nak-Yeon;Lee, In-Bog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3 no.2
    • /
    • pp.115-12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polymerization shrinkage and hygroscopic expansion of resin-based temporary filling materials and to evaluate microleakag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materials and cavity wall. Five resin-based temporary filing materials were investigated: Fermit (Vivadent), Quicks (Dentkist), Provifil (Promedica), Spacer (Vericom), Clip (Voco). Caviton (GC) was also included for comparison. Polymerization shrinkage of five resin-based temporary filling materials was measured using the bonded disc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hygroscopic expansion, the discs of six cured temporary filling materials were immersed in saline and a LVDT displacement sensor was used to measure the expansion for 7 days. For estimating of microleakage, Class I cavities were prepared on 120 extracted human molars and randomly assigned to 6 groups of 20 each. The cavities in each group were filled with six temporary filling materials. All specimens were submitted to 1000 thermocycles, with temperature varying from $5^{\circ}C/55^{\circ}C$. Microleakage was determined using a dye penetration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ermit had significantly less polymerization shrinkage than the other resin-based temporary fill ing materials. Fermit (0.22%) < Spacer (0.38%) < Quicks (0.64%), Provifil (0.67%), Clip (0.67%) 2. Resin-based temporary filling materials showed 0.43-1.1% expansion in 7 days. 3. Fermit showed the greatest leakage, while Quicks exhibited the least leakage. 4. There are no correlation between polymerization shrinkage or hygroscopic expansion and microleakage of resin-based temporary filling materials.

Biological Effects of Fibronectin Type III 10 domain on Human Osteoblast-like cells (Fibronectin type III 10 도메인이 조골양 세포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

  • Lee, Chang-Seok;Jang, Jun-Hyeog;Kim, Tae-Il;Lee, Yong-Moo;Rhyu, In-Chul;Chung, Chong-Pyoung;Han, Soo-Boo;Ku, 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4 no.2
    • /
    • pp.293-301
    • /
    • 2004
  • 1. 연구 목적 Fibronectin은 세포외기질의 주요성분인 거대 당단백질로서, 조골세포의 부착과 증식 및 이동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fibronectin의 조골세포에 대한 영향을 실제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 전체 fibronectin 단백질을 사용하는 것은 면역학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많은 단점을 안고 있어서, 유효한 반응단위만을 추출하여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세포부착에 주로 관여하는 fibronectin type III분절 중 10번 도메인이 조골양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전체 fibronectin단백질과 fibronectin type III 7-10 도메인 분절과 비교, 관찰하는 것이다. 2. 연구 방법 사람의 fibronectin을 기초로 한 적절한 primer로서, 유전자 재조합법을 이용하여 fibronectin type III 10 도메인과 fibronectin type III 7-10 도메인 분절을 얻었으며, 전체 fibronectin분자는 상용으로 준비하여 24-well 세포배양 용기에 도포하였다. 배양된 조골양세포(HOS cell)를 $1x10^5$ cells/well의 농도로 각 well에 분주하여 $37^{\circ}C$에서 1시간 배양을 하였다. Cell adhesion assay를 실시하기 위해 10% formaldehyde로 고정시키고 1% Crystal Violet으로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을 관찰 후 2% SDS를 처리하여 microplate reader기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혼탁정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RPMI 용액을 사용하였다.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준비된 $35mm^2배양접시에 HOS cell을 $37^{\circ}C$에서 4일간 배양 후, MTS assay를 이용하여 세포 증식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6일째 405nm에서 활성화된 세포에서 분비된 p-nitrophenol을 이용한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를 측정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Fibronectin type III 10 도메인은 HOS cell에 대한 생물학적인 효과면에서, 전체 fibronectin 분자 및 fibronectin type III 7-10 분절과 통계적으로 유사한 세포부착도를 보여주었으며, 세포증식도와 alkaline phosphatse 활성도면에서도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fibronectin type III 10 도메인이 조골세포의 증식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생체재료의 표면개질 부착물질로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하겠다.

Studies on the Root Formation in Hypocotyl Cuttings of Maples (단풍나무류(類)의 배축삽수(胚軸揷穗) 발근(發根)에 관(關)한 연구(硏究))

  • Choi, Man B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42 no.1
    • /
    • pp.67-73
    • /
    • 1979
  • In order to observe the anatomical phenomena of root formation in the hypocotyl cuttings of maples, the hypocotyls of Acer palmatum. Acer micro-sieboldianum, and Acer saccharinum were used as the materials. The rooted portions were sectioned by a microtom and doubly stained by safranin and fast gree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 cross section structure of hypocotyl cuttings of Acer sp. is consist of epidermis, cortex, vascular bundle and pith from the outside. The vascular bundle makes circular shape forming polyarch in A. saccharinum and tetrarch in both A. palmatum and A. micro-sieboldianum. 2. An adventitious root of A. saccharinum originated in phloem parenchyma, while that of A. palmatum and A. micro-sieboldianum originated in interfascicular parenchyma related with phloem cells. 3. The hypocotyl cuttings of Acer sp. is commonly composed of parenchyma tissue having vigorous differentiation capability. Therefore, the originated root grow easily through the cortex and epidermis breaking their tissues.

  • PDF

EFFECTS OF COLLAGENASE AND ESTERASE ON DENTIN BOND STRENGTH AND NANOLEAKAGE (Collagenase와 esterase가 상아질 접착강도와 nanoleakage에 미치는 영향)

  • Jung, Young-Jung;Hahn, Se-Hyun;Kim, Chong-Chul;Lee, Sang-Hoon;Kim, Jung-Wook;Kim, Young-Jae;Jang, Ki-Tae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5 no.3
    • /
    • pp.389-39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llagenase and esterase on dentin bond strength and nanoleakage. Resin composites were bonded to occlusal dentin of premolars with Single Bond 2(SB) and Clearfil SE Bond(SE). After the microtensile specimens were prepared and stored in PBS for 24 hours(I) or, PBS(II), collagenase(III), esterase(IV) solution for 4 weeks, the specimens were stained with silver nitrate solution. Microtensile bond strength(${\mu}TBS$) and silver penetration area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group II, III, and IV, the bond strengths of SB were lower than those of SB(p<0.05). The bond strengths of SB II, III, and IV were lower than that of SB I(p<0.05).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bond strengths of SE $I{\sim}IV$ groups(p>0.05). 2. Silver penetration areas of SB were higher than those of SE for all storage groups(p<0.05). In SB and S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ilver penetration area among $I{\sim}IV$ groups(p>0.05). 3. SE I, II, and III showed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bond strengths and the silver penetration areas(p<0.05).

  • PDF

A Study on the Folk Knowledge Industrial Excavation in Gimpo (김포지역 산업화 유망 향토자원 발굴 조사)

  • Kim, Mi-Heui;Lee, Gi-Man;Lee, Yo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103-103
    • /
    • 2009
  • 한국 최초의 벼 재배지이고 농경문화의 근원지인 김포시는 경기도 북서부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북쪽과 동쪽으로 한강을 사이에 두고 있고 강화만 및 한강 하구부 염하 등이 3면을 둘러싸여 있어 김포반도라 한다. 서쪽에 문수산(376m), 장릉산(150m), 수안산(147m) 등의 낮은 산들이 소구릉지를 이루고 있으며 한강에 의한 토사의 운반 퇴적으로 이루어져 농경에 적합한 김포평야를 이룬다. 이런 특징을 갖고 있는 김포지역 향토자원 조사를 위하여 고문헌, 군지, 학술지 등의 자료를 통해 총 563종의 향토자원 목록을 정리하였다. 향토자원의 유형분류를 해보면 인물 193종(34.3%), 자연생태환경 140종(24.9%), 유물유적 136종(24.2%), 민속풍속 79종(14.0%), 전통식품 특산품 15종(2.7%)의 비율로 나타났다. 이 중 활용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자원을 지역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1차 선발 평가하여 기본조사를 실시하였고, 향토자원의 가치, 산업화 가능성 평가를 통해 2차 심층조사 대상을 선정하였다. 김포시 향토자원 목록 총 563종 중, 179종이 기본조사 자원으로 선정되어 기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설화 전설자원이 34종(19.0%), 전통제전 자원이 19종(10.6%), 유적사적지와 건축자원이 각 18종(10.1%), 수변 및 해양자원 자원이 15종(8.4%), 조각 자원이 15종(8.4%), 마을자원이 10종(5.6%) 등으로 나타났다. 각 자원의 명칭을 보면 설화 전설은 선돌이 전설, 김삿갓의 일화, 형제투금, 애기봉전설 등이었고, 전통제전은 김포통진두레놀이, 손돌공 진혼제, 대명리 풍어제 등의 자원이, 유적사적지는 덕포진(사적 제292호), 수안산성(지방기념물 제159호), 장릉(사적 제202호) 등으로 조사되었는데, 특히 지석묘의 분포가 많았다. 기본조사 자원을 대상으로 지역전문가 2차 협의회를 통해 향토자원의 가치, 산업화 가능성 등을 평가하여 53종을 선정하였고, 유물유적 24종(45.3%), 민속풍속 12종(22.6%), 자연 생태환경 10종(18.9%), 전통식품 특산품 4종(7.5%), 인물 3종(5.7%) 비율로 나타났다. 향토자원 산업화는 생산물 품질고급화나 농산물 가공분야가 점차 감소하고 천연염색 공예, 관광, 문화상품 등으로 다각화되고 있으므로 김포시의 농촌문화와 전통지식기술자원이 지자체와 지역주민들에 의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PDF

Comparison of mycorrhizal fungi associated with Pinus species in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rtificial mycorrhizal synthesis on Pinus thunbergii seedlings (소나무류 균근균의 배양적 특성비교 및 인공접종에 의한 해송묘목에의 균근협성)

  • Lee, Jong Kyu;Lee, Hoon Yong;Lee, Sang Yong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v.15 no.1
    • /
    • pp.77-88
    • /
    • 1999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ycorrizal fungi associated with Pinus species, and to form mycorrhizal association with Pinus thunbergii by artificial inoculation of these fungi. Mycorrhizal fungi tested showed great variations in cultural characteristics. Most fungal isolates was best grown on MP medium, except PDA for Lepista sp.(Ln73/92). Hagem for Rhizopogon rubescens(FRI91017), and FDA for Paxillus sp.(Pa60/92). Optimum temperature for these fungi was $25^{\circ}C$, except $30^{\circ}C$ for Pisolithus tinctorius(FRI91004 and Pt1). The range of pH conditions favorable for these fungal isolates were also variable from weak acidic(pH5) to weak alkalic(pH8). Utilization of the carbon sources for these mycorrhizal fungi was different. Fructose, glucose, and maltose were all utilized well, while xylose was not utilized generally. Mycelial growth on the media supplemented with potassium nitrate was better than those on other media with urea, asparagine, or peptone as a nitrogen source, and the poor growth was observed on the media with urea. Pisolithus tinctorius(Pt1) among 7 mycorrhizal fungi artificially inoculated for the mycorrhizal synthesis on pinus thunbergii seedlings in the test tube containing a mixture of peat moss-vermiculite(2:1, v/v) formed mycorrhizae successfully after 3 months. P. tinctorius formed branched and unbranched roots covered with thick fungal mantle and radiating extemal hyphae. Mycorrhizal root cross-sectioned by hand, stained, and observed by Nomarski interference microscope showed typical characteristics of ectomycorrhizae: fungal mantle on epidermal cells and thick Hartig net hyphae around cortex cells.

  • PDF

MCC 입자의 표면화학적 특성에 따른 부유부상 효과

  • 이학래;이진희;허용성;한신호;조중연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0.11a
    • /
    • pp.41-41
    • /
    • 2000
  • 부유부상 공정은 현재 신문고지와 사무용 고지의 탈묵을 통한 신문용지 및 화장지 제조 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지재활용을 위한 핵심공정이다. 하지만 이들 공정은 갈수록 열악 해지는 국내 고지원료의 품질변화에 따라서 잉크 및 토너의 분리효율이 저하되고 있어 생산 되는 탈묵 펄프의 품질저하, 리젝트 발생량의 증대, 폐수 처리공정의 부하 증가 등 다양한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의 수립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현재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잉크 및 인쇄방식으로 인쇄된 많은 종류의 재활용지가 원료 로 투입되고 있는 경우 탈묵공정의 효율 향상을 위해서는 부유부상 공정에 대한 좀 더 체계 적이고 논리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먼저 고지 재활용 공정 의 핵심 단위공정인 부유부상 공정에 관련된 복잡한 문제점을 단순화하여 고상 및 액상의 표면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부유부상 공정의 효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유부상 공정을 기초과학적 측면에서 구명하기 위해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를 모델 물질로 사용하였고, 친수성 의 표면 특 성을 나타내는 MCC의 표면 특성을 바꾸기 위하여 AKD(alkyl ketene dimer)로 처리비율을 달리하여 사이징 처리하였다. 부유부상 실험에 사용된 MCC는 친수성을 띠는 것과 소수성 을 부여한 것을 구별하고 그 비율을 백색도를 통해 측정하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친수성을 가지는 MCC는 세척 견뢰도가 높은 검은색 염료로 염색하였다. 준비된 친수성과 소수성 M MCC의 혼합비율 별로 패드를 작성하여 백색도를 측정함으로써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또한 부유부상 시간에 따른 제거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유부상 시간별로 각각의 리젝트율과 수율올 측정하고, 리젝트 시료로부터 패드를 제조하여 백색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소수성 MCC의 소수화 정도에 따라서 리젝트율이 증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표 면에 소수성을 띠는 입자는 소수성이 강할수록 부유부상공정에서 제거율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유부상 처리한 MCC로 패드를 제조한 뒤 백색도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이를 확인하였다. 한편 리젝트로 함께 제거된 MCC 내에 존재하는 친수성 MCC의 양은 극히 미 세하였다. 또한 부유부상를 실시하는 초기에 상당량의 리젝트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는데, 이 는 전체 부유부상을 통해 제거되는 양의 45-68%였다. 한편 부유부상이 진행됨에 따라서 리젝트 양의 증가폭이 둔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경향은 MCC의 소수성이 강할 수록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계 내로부터 소수성인 물질이 급속하게 제거됨을 알 수 있었으며 필요 이상의 부유부상 처리는 잉크제거 효율을 높일 수는 있으나 소모되는 시간에 비하여 비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Differences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lorant Level in Two Breeding Lines of Persicaria tinctoria H. Gross (쪽 선발계통의 생육특성 및 색소함량 차이)

  • Kim, Seong-Ju;Heo, Buk-Gu;Kim, Kwan-Su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57 no.3
    • /
    • pp.209-214
    • /
    • 2012
  • Indigo crop, Persicaria tinctoria H. Gross is an annual plant containing natural colorant, the blue dye indigo, and local cultivars had been cultivated to produce natural indigo for textile dyeing in Korea since ancient times. Naju No. 2 is a new mass-selected line from the mother population, Naju Local cultivar. In this study, two breeding lines of Naju Local and Naju No. 2, have been cultivated in four different locations, the South regions of Korea, to compare plant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between two lines. Naju No. 2 was higher in plant height, and Naju Local has more 1st branches. Naju No. 2 has larger leaf area and higher width/length ratio of leaf, showing the round leaf type as morphological stable character without regional differences. Though there was considerable regional variation in fresh and dry top weight of harvested plant,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plant weight between two lines were not shown. The ratio of leaf to total shoot of dry weight of Naju No. 2 was higher than one of Naju Local, indicating that Naju No. 2 has better yielding of colorant which is synthesized mostly in leaf. Naju No. 2 contained more Niram (crude indigo extract) and indigo, and showed much blueness at dyeing of silk using fresh leaves than Naju Local. We concluded that a new line, Naju No. 2 could be a superior cultivar due to having higher leaf yield and better quality of natural colorant than Naju local cultiv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