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면역 조직화학법

Search Result 20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Lung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alpha$ and Interleukin 6, in Early Periods of Endotoxemia (내독소혈증 유발 급성폐손상에서 폐장내 Proinflammatory Cytokines 발현에 관한 고찰)

  • Moon, Seung-Hyug;Kim, Yong-Hoon;Park, Choon-Sik;Lee, Shin-Je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45 no.3
    • /
    • pp.553-564
    • /
    • 1998
  • Background: The immediate hoot response to LPS is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hat act as intercellular mediators in inflammatory reactions, including acute lung injury. These "early response" cytokines transmit signals from recognition cells to target or effector cells. This host response is further amplified by the expression of leukocyte chemoattractants, growth factors, and adhesion molecules, resulting in an array of proinflammatory events.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define the lung origi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alpha$, IL 6 in early periods of endotoxin induced acute lung injury (ALI). Method: The healthy male Sprague-Dawley, weighted 150 - 250g, were divided into saline control (NC) and endotoxemia-induced ALI (ETX-), and leukopenic endotoxemia-induced ALI (CPA-ETX-Group) which was induced by cyclophosphamide, 70 mg/kg i.p. injection. Acute lung injury was evoked by LPS, 5 mg/kg, intravenously administered. Bronchoalveolar lavage was performed at 0, 3, 6 h after LPS-treated to estimate the influx of phagocytes and concentration of total protein, and cytokines as TNF-$\alpha$ and IL 6 by a bioassy using MIT method. We also examined the localization of TNF-$\alpha$ and IL 6 protein in endotoxemia-challenged lung tissue by immunohistochemical stain (IH). Results: The total cell, macrophage and PMN count in BALF were elavated in ETX group compared to NC(p<0.05). In CPA-ETX group, total cell and macrophage count in BALF were not changed compared to NC. but PMN count was markedly reduced and it took part in less than 0.1 % of total BAL cells (p<0.01). The protein concentration in BALF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ETX and CPA-ETX group Compared to NC (p<0.05),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TX- and CPA-ETX group only at 6 h (p<0.05). This observation suggested that even if PMNs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acute lung injury, their role cannot be viewed as essential The concentration of TNF-$\alpha$ and IL 6 in BALF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TX- and CPA-ETX group compared to NC.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ETX- and CPA-ETX group. In IH, anti-TNF-$\alpha$- and anti-IL 6 antibody was strongly localized at interstitial monocytes and alveolar macrophages in endotoxemia-challenged lung tissue. From above point of view, activated alveolar macrophage/monocyte considered as a prominent sourc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endotoxemia-challenged lung injury. Conclusion: The prominent sourc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early periods of endotoxemia-induced lung injury will be the activated resident macrophages like an alveolar macrophage and interstitial monocytes. The pulmonary macrophage/monocyte will impact the initiation and continuance of lung injury without PMNs's certain inflammatory role, particularly in endotoxemia-induced acute lung injury.

  • PDF

Alteration of Growth Factor Expression after Acute Ischemic Renal Injury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여러 성장인자 발현의 변화)

  • Koe, Yang Sim;Lee, Soo Yeon;Kim, Won;Cho, Soo Chul;Hwang, Pyoung Han;Kim, Jung Soo;Lee, Dae-Yeo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6 no.7
    • /
    • pp.687-694
    • /
    • 2003
  • Purpose : Regeneration and repair after ischemic renal injury appears to be modulated by circulating or locally produced growth factors.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serum insulin like growth factor(IGF-I) and renal expression of IGF-I and II,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TGF-{\beta}$), and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CTGF) during the active regeneration period after acute ischemic injury. Methods : Sera and kidney tissue samples(whole kidney, cortex, outer medullae and inner medullae) were obtained before and after one, three, five and seven days of 40 minutes bilateral renal pedicle clamping. Acute renal failure was assessed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serum creatinine. Serum IGF-I level was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The mRNA expression in kidney was measured by RT-PCR. The distribution of IGF-I and CTGF was detected by immunohistochemistry. Resuts : Serum IGF-I concentration after one day following acute ischemic renal injur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preischemic value. The mRNA levels of IGF-I, IGF-II, $TGF-{\beta}1$ and VEGF in whole kidney were temporally decreased on day one of ischemic injury. IGF-I and IGF-II expressions in outer medulla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on day one after ischemic injury. $TGF-{\beta}1$, CTGF and VEGF expressions were markedly decreased in medullae after one day of ischemic injury compared to other kidney sections. IGF-I was markedly decreased in cortical tubules on day one of uremic rat. CTGF was markedly increased on tubule within three days of ischemic injury.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GFs, $TGF-{\beta}1$ and CTGF may involve in the pathogenesis or the recovery from acute ischemic renal injury.

The Effect of Samul-tanggahyangbuja on Anti-Depressive Behavior and Immunity (사물탕가향부자가 항우울행동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 Jang, Yoon-Jeong;Kim, Song-Baek;Choi, Chang-Min;Seo, Yun-Jung;Cho, Han-Baek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 v.26 no.4
    • /
    • pp.14-29
    • /
    • 2013
  • Objectives: Samul-tang and Rhizome of Cyperus rotundus L. have been frequently used in gynecologic disea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he behavioral and neurobiological effects of Samul-tanggahyangbuja (SGH) on ovariectomized rats and to form a basis for clinical treatment. Methods: Ovariectomized rats were repeatedly stressed for over 2 weeks. After orally medicated with SGH (200 or 400 mg/kg/day), the anxiety response was tested using the Elevated Plus Maze (EPM) in rats. The serum levels of estradiol and IL-4, and immunohistochemical changes of IL-4 in the Locus coeruleus (LC) and Paraventricular Nucleus (PVN) were measured. Results: 1. In the EPM, SGH 400 mg significantly increased time spent on the open arms and decreased time spent on the closed arm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2. SGH tended to increase numbers of crossings in the open and closed arms in the EPM. However, it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3. SGH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erum levels of estradiol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4. SGH 400 mg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erum levels of IL-4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5. IL-4 immunoreactivity was reduced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p<0.05). However, SGH groups (200 and 400 mg) did not produce any significant effects on levels of IL-4 in the LC and PV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GH possesses the anti-depressant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n ovariectomized rats.

암의 발생기작

  • 임영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1997.06b
    • /
    • pp.8-10
    • /
    • 1997
  • 종양은 아직 그 발생 원인과 기작이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므로 정확한 정의를 내리는 것은 어려우나 일반적으로 종양이란 정상 세포가 갖고 있는 세포 분열의 특이성을 상실하여 일어나는 조직의 자율적인 과잉 성장을 말한다. 이와 같은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에 의한 종양을 임상 및 병리 형태학적으로 양서 종양과 악성종양으로 분류한다. 양성 종양을 일으키는 종양 세포는 정상 세포와 비슷할 뿐 아니라 그 주변 세포들과 확실한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증식도 느리며 다른 부위로의 전이가 없다. 이에 반해 악성종양은 일반적으로 증식도 빠르고 이형의 세포로서 주변의 조직으로 확산, 전이될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숙주인 개체를 사망시킨다. 악성종양은 다시 상피 조직에서 유례한 암, 비상피 조직에서 유래된 육종, 백혈구에서 유래된 백혈병 등으로 구별하지만 그의 본질은 거의 같으며 모든 악성종양은 통속적으로 암이라고 불리운다. 종양의 발생원인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화학물질, 바이러스 및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초의 발암물질로 알려진 benzopyrene에 의한 발암 등 연구에 의해 화학적 발암원들은 직접 발암 물질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체내에서 대사된 후 이들 대사 산물일 DNA 등에 작용함으로써 발암이 유도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화학적 변화를 거친 후에야 DNA에 영향을 미치는 것외에 다른 화학물질들은 또 다른 기작을 통해 암을 유발하는데 쥐의 피부에 benzopyrene을 한 번 처리하면 암을 유발하지 않으나 여기에 phorbol ester를 처리하면 높은 빈도로 암이 형성된다. 여기서 benzopyrene과 같이 세포의 DNA에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작용을 하는 발암물질을 발암개시제라 하고 phorbol ester처럼 그 자체로는 발암능이 없으나 발암개시제에 노출된 세포에 영향을 미쳐 발암능을 크게 강화시켜 주는 것을 발암촉진제라고 한다. 암은 세포증식 제어계에 DNA가 이상을 일으킨 현상을 말하는 데 이와 같은 DNA의 변형된 유전정보에 의해 암과 관련된 단백질을 합성하므로 이 DNA를 암유전자라 부르며 바이러스에서 유래된 것을 V-one 그리고 세포에서 유래된 것을 c-one이라 한다. 암유전자는 본래 암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증식제어 유전자로서 변이나 비정상으로 활성화 됨으로써 암을 유발시키므로 proto-oncogene이라 부른다. 또한 고등동물의 유전자 중에는 세포성장을 억제하는 유전자들이 있으며 이들은 세포의 성장 생존 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유전자는 세포의 암변형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들 유전자의 이상으로 세포성장 억제기능이 상실되면 세포의 과잉 성장이 초래되면 결과적으로 암으로 유발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암세포에서 암억제 유전자의 이상과 암유전자의 활성화가 함께 발견 되면서 정상세포가 암으로 변형되는 과정에는 암억제 유전자의 이상과 암유전자의 활성화가 동시에 관여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 세포가 암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발암의 다단계설에서와 같이 여러 단계의 변과가 필요한데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정상세포의 염색체가 변화되어 정상세포들이 가지고 있는 세포분열의 특이성을 상실하고 증식이 빠르고 저항력이 강한 세포가 선택 되어지고 비정상 서ㅔ포으 과잉 분여러에 의해 종양이 형성되며 이어서 혈관의 신생을 촉진하는 맥관형성, 전이 등이 과정을 거쳐 신체의 다른 부위로 전이된다. 20세기 초까지는 암은 노화와 함께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나는 피할 수 없는 질병으로 여겨졌으며 그 치료도 조기에 발견된 암환자에게 외과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 이었다. 그러나 현재에는 암환자의 80% 이상이 환경적 요인에 의해 암이 발생 된다고 믿어지고 있다. 과거 치료에 중점을 둔 것에서 점차 예방의 가능성과 그 방법의 모색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치료적인 면에서도 외과적 수술 이외에 방사선 치료, 항암제의 투여 등 약물요법, 면역요법의 이용 이외에 더 나아가 gene theraph 및 tumor vaccines 개발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국제암연구협회에서는 인간에게 발암이 가능한 물질의 종류를 정기적으로 발표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발암 가능성이 높다고 널리 알려진 위험요인을 크게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흡연, 음주, 식이요인, 호르몬 및 기타 요인으로 약물, 자외선 등을 들 수 있는데 현재까지 이들 요인에 의한 발암 기작이 완전히 규명된 것은 아니지만 이들에 의한 발암의 확률이 높다는 것은 사실이므로 이 위험요인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암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암발생의 예방법으로는 암발생 자체를 예방하는 것과 이미 발생한 암환자를 조기 발견하고 치료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현재까지의 여러 연구 결과들을 보면 유전적인 요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발암 위험인자들은 개개인의 생활습관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1992년 대한 암협회에서는 '암 예방 14개 권장 사항'을 발표하여 국민 홍보활동을 하고 있는데 그 내용의 반 이상이 식생활 습관과 관련되어 있을 정도이므로 암예방에 있어서의 식품의 역할이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전한 생활습관과 더불어 적절한 식품의 섭취는 암예방을 위한 기본이 될 것이다.

  • PDF

Application of Immunohistochemical Technique in the Cytologic Diagnosis of Herpes Simplex Virus Infection (단순포진 Virus 감염의 세포학적 진단시 면역조직 화학법의 적용)

  • Park, Hye-Rim;Lee, Kap-No;Paik, Seung-Yong
    • The Korean Journal of Cytopathology
    • /
    • v.1 no.1
    • /
    • pp.74-84
    • /
    • 1990
  • Herpes simplex virus type 1 and 2(HSV-1, HSV-2) are the ubiquitous human pathogens responsible for a variety of afflictions. HSV-2 is one of the viruses that were suspected of promoting carcinogenesis in the uterine cervix. Certainly, there is a need for the more sensitive and accurate laboratory techniques for HSV detection. We examined total 80 cases of smears including 17 Tzanck smears of skin and 63 cases of Papanicolaou smears from total 77 patients with clinical impression of herpetic infections, from September, 1985 through August, 1989. Immunohistochemical typings for HSV-1 and HSV-2 were performed together with routine cytologic findings and comp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Patients were 9 males and 33 females, and age distribution was between 5 and 71 years. 2) Subjective symptoms such as ulceration, vesicle, vaginal discharge, pruritus, and pain were complained in 36 patients and 38 cases were genital herpes. Recurrence was noted in 11 cases. 3) Positive results were obtained in 42 among 80 cases. 4) Both routine cytology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ere positive in 13 cases and in 24 cases onl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ere positive. 5 cases were positive only in routine cytologic smears. 5) The cases that immunocytochemical stain had been performed were 37 cases, which were all positive in type 2. Among the above 37 cases, type 1 also were positive in 5 ca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immunoperoxidase technique is one of the rapid and reliable method to confirm the herpetic infection when suspected and that it is particularly useful when the Papanicolaou smear findings are equivocal.

  • PDF

Anti-inflammatory Effect of Bee Venom Acupuncture at Sinsu($BL_{23}$) in a MPTP Mouse Model of Parkinson Disease (MPTP 유발 파킨슨 병 동물 모델에서의 신수혈($BL_{23}$) 봉독약침의 항염증 효과)

  • Kim, Chan-Young;Lee, Jae-Dong;Lee, Sang-Hoon;Koh, Hyung-Kyun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6 no.4
    • /
    • pp.49-58
    • /
    • 2009
  • 목적 : 파킨슨 병은 기저핵 흑질의 치밀부에서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퇴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질병으로 신경 염증이 주요 병인으로 밝혀져 있다. 이 연구는 MPTP 유발 파킨슨 병 동물 모델에서 신수혈($BL_{23}$)에 대한 봉독 약침의 항염증 효과 및 그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 $C57_{BL}$/6쥐를 무처치군, MPTP+saline군, MPTP+BVA(0.06mg/kg)군, MPTP+BVA(0.6mg/kg)군의 4군으로 나눈 뒤 무처치군을 제외한 모든 그룹에 총 8시간 동안 2시간 간격으로 MPTP-HCl(20mg/kg per dose$\times$4)을 복강내로 주입하였다. MPTP+BVA 군에서 봉독약침은 마지막 MPTP 주입 2시간 후부터 48시간 간격으로 신수혈($BL_{23}$)에 양측으로 각 20${\mu}\ell$씩 주입하였고 MPTP+saline군에서는 봉독약침 대신 Saline을 주입하였다. 마지막 MPTP 주입 후 7일째에 쥐의 뇌를 적출한 후 면역조직화학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 MPTP 유발 파킨슨 병 동물 모델에서 신수혈에 대한 봉독약침은 농도 의존적으로 TH-Immunoreactivity neuron의 감소와 microglial activation을 억제하였다. HSP70-IR neuron은 모든 군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봉독약침이 용량의존적으로 microglial activation을 억제하는 효과를 통해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파괴를 억제함으로써 항염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봉독약침이 microglial activation 억제를 통해 임상적으로 파킨슨 병과 같은 신경 퇴행성 질병에 있어 유용한 치료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Effect of bee venom on cell proliferation and cyclooxygenase 2 expression in the dentate gyrus of mice with acetic acid induced hyperalgesia (세포 증식과 COX 2 발현에 미치는 봉독의 효과)

  • Lyoo, Eun-kyoung;Choi, Do-young;Lee, Jae-do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0 no.2
    • /
    • pp.112-122
    • /
    • 2003
  • 연구 배경 및 목적 : 봉독은 항염증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세포 증식과 관련된 봉독의 효과에 대한 고찰을 위해 본 연구(硏究)에서는, 봉독(蜂毒) 약침(藥鍼) 자극(刺戟)이 아세트산 유발(誘發) 통각(痛覺) 과민증(過敏症)을 가진 쥐의 치상회(齒狀回)에서의 세포(細胞) 증식(增植)과 COX2 발현(發現)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방법 : 대조군, 아세트산 처치군, 아세트산 0.1mg/kg 봉독 처치군, 아세트산 1mg/kg 봉독처치군(n=5 in each group)의 네 군으로 나누고 해당 군에 일벌 봉독(蜂毒)(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을 양측 족삼리 경혈(ST36)에 주입시키고 30분 후 아세트산(100% acetic acid 1% 용액의 0.5ml)을 복강내로 주입하여 복부 긴장 회수를 세었으며, BrdU 양성, COX 2 양성 세포수를 면역 화학 조직법을 수행하여 세어 보았다. 결과 : 아세트산 처치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5 bromo 2' deoxyuridine 양성 세포의 수는 감소(減少)되며, 치상회(齒狀回)에서의 COX 2의 발현(發現)은 증강(增强)되는 것으로 보여졌다. 봉독(蜂毒) 주입(注入)은 아세트산 유발(誘發) 복부(腹部) 긴장(緊張) 횟수와 치상회(齒狀回)에서의 COX2 발현(發現)을 억제(抑制)하여, 치상회(齒狀回)에서의 세포(細胞) 증식(增植)을 증가(增加)시켰다. 결론 : 이번 결과(結果)에서 보면, 치상회(齒狀回)에서의 COX 2의 발현(發現)은 세포(細胞) 증식(增植) 억제(抑制)와 관련(關聯)되며 봉독(蜂毒)은 COX 2 발현(發現) 억제(抑制)를 통해 치상회(齒狀回)에서의 새로운 세포(細胞) 형성(形成)을 증가(增加)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Neuroanatomical studies on the mechanism of scalp acupuncture therapy using the pseudorabies virus (Pseudorabies virus(PRV)를 이용한 두침(頭針) 치료(治療) 기전(機轉)에 대한 신경해부학(神經解剖學的) 연구(硏究))

  • Lee, Tae-Young;Lee, Chang-Hyun;Lee, Sang-Ryoung;Yuk, Sang-Won;Lee, Kwang-Gyu;Yuk, Tae-Han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17 no.2
    • /
    • pp.261-276
    • /
    • 2000
  • 본 실험은 pseudorabies 바이러스 (PRV) 의 Bartha strain 을 안면신경의 측두지, 하지를 지배하는 신경 (좌골신경) 및 상지를 지배하는 신경 (요골, 척골, 정중신경) 에 주입한 후 4 일간의 생존시간이 경과한 후 척수와 뇌를 적출하여 동결절편을 제작한 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기법과 X-gal 조직화학 염색법을 시행하여 염색된 신경세포체를 척수와 뇌에 투사된 공통영역을 관찰하고 두침의 영역중 하나인 운동구와 사지와의 관계에 대한 실험적 증거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위의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안면신경의 측두지, 하지를 지배하는 신경 (좌골신경) 및 상지를 지배하는 신경 (요골, 측골, 정중신경) 에서 투사된 공통된 영역은 척수에서 경수의 층판 1-IV, 흉수의 intermediolateral nucleus(IML), dorsal nucleus(D) 및 층판 X, 요수의 층판 IV, V, 천수의 층판 IV, V, IX, X 등의 영역에서 관찰되었고, 뇌줄기에서는 caudoventrolateral reticular nucleus(CVL), nucleus solitary tract(Sol), rostroventrolateral nucleus(RVL), area postrema(AP), raphe nuclei(raphe pallidus, raphe obscurus, raphe magnus), inferior olivary nucleus 의 등쪽부분 (gigantocellular reticular nucleus, Gi), Kolliker-Fuse nucleus(KF), central gray(CG), dorsal raphe nucleus (DR) and A5 영역에 표지된다. 또한 paraventricular hypothalamic nucleus(PRV) 와 lateral hypothalamic reticular nucleus(LH)에서도 관찰되고 locus coeruleus(LC) 와 subcoeruleus nuc!eus(SubCA) 에서도 관찰된다.

  • PDF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Fas-associated Death Domain Protein Expression in Stomach Cancers (위암의 Fas-associated Death Domain Protein 단백질의 발현)

  • Lee, Sug-Hyung;Lee, Jong-Woo;Park, Won-Sang;Lee, Jung-Young;Yoo, Nam-Jin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v.3 no.2
    • /
    • pp.80-83
    • /
    • 2003
  • Purpose: Evidence exists that dysregulation of apoptosis is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cancer development. Fasassociated death domain (FADD) protein, an adaptor protein of death receptors, is a critical regulatory component of the extrinsic cell- death pathway that exerts its pro-apoptotic effect upon binding with death receptors. Expression of the FADD protein has not been reported in stomach canc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ression status of the FADD protein in stomach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In the current study, we analyzed the expression of the FADD protein in 60 advanced stomach cancer by using immunohistochemistry and a tissue microarray approach. Results: Immunopositivity (defined as $\geq\30\%$) was observed for the FADD protein in 23 ($38\%$) of the 60 cancers. Normal gastric mucosal cells showed expression of the FADD protein. Conclus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creased expression of the FADD protein is a frequent event in stomach cancers and suggest that to avoid apoptosis, stomach cancer cells in vivo may need loss of FADD expression, which might contribute to tumor development.

  • PDF

Prognostic Significance of Fascin Expression in 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 (수술 절제를 시행받은 제1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의 Fascin 발현과 예후)

  • Roh, Mee-Sook;Um, Su-Jung;Choi, Youngmin;Kim, Ki-Nam;Choi, Pil Jo;Lee, Soo-Keol;Son, Choonhee;Yang, Dookyu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65 no.2
    • /
    • pp.105-109
    • /
    • 2008
  • Background: Fascin is an actin-bundling protein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cellular motility. Fascin is normally expressed in the neuronal and mesenchymal cells and its expression is low or absent in the epithelia. However, an overexpression of fascin has been linked to the invasive behavior of some neoplasms such as breast, stomach and ovarian tumor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xpression of fascin and its prognostic significance in 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Method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fascin was performed on the paraffin-embeded tissue sections of 81 cases of resected NSCLC. Staining of more than 5% of the tumor cells was recorded as positive immunoreactivity. Results: Fascin expression was seen in 73% (59/81) of the cases and this was more frequently seen in squamous cell carcinoma than in adenocarcinoma (93% vs 42%).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of fascin immunoreactivity with tumor recurrence and overall survival. Conclusion: The expression rate of fascin was relatively high in NSCLC, but this was without prognostic significance. The exact clinical role of fascin should be defined through further investig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