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면역조절제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6초

비점막(鼻粘膜) 섬유모세포에서의 RANTES와 MCP의 발현 조절 (Regulation of RANTES and MCP Expression in Human Nasal Mucosal Fibroblasts)

  • 하용찬;조정제;유영천;양원용
    • IMMUNE NETWORK
    • /
    • 제3권1호
    • /
    • pp.61-68
    • /
    • 2003
  • Background: Fibroblast functions both as a structural element and as a vital immunoregulatory cell. Fibroblasts regulate inflammation through governing of chemokine expression. In order to elucidate the mechanisms by which the expressions of chemokines were regulated, the co-stimulatory effects of Th1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compared using nasal mucosal fibroblasts. Methods: Human nasal mucosa was obtained from surgery for septal deviation and the growth of fibroblasts was established. Fibroblasts from 4th to 6th passage were stimulated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cytokines. To inhibit selected signaling pathways, fibroblasts were pretreated with cyclosporin A, wortmannin, staurosporine, and dexamethasone prior to the stimulation with cytokines. The supernatants were collected and chemokines were detected with a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TNF-{\alpha}/IFN-{\gamma}$-induced production of RANTES was inhibited by all inhibitors used. MCP-1 was produced constitutively and $TNF-{\alpha}$-induced or $TNF-{\alpha}/IFN-{\gamma}$-induced production of MCP-1 was not inhibited by cyclosporin A or wortmannin, but by stauroporine or dexamethasone. All inhibitors used in this experiment inhibited $TNF-{\alpha}/IFN-{\gamma}$-induced or $IL-1{\beta}/IFN-{\gamma}$-induced production of MCP-2 in nasal mucosal fibroblasts. Although staurosporine or dexamethasone showed strong inhibitory effects, cyclosporin A or wortmannin did not inhibit the production of MCP-3 by $IL-1{\beta}/IFN-{\gamma}$ treatment. Conclusion: Chemokines were strongly induced by stimulation of cytokines in combination and showed different pattern of inhibition by the inhibitors.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cytokines acted on multiple pathways or on unknown pathways which converged to gene-specific transcription factors.

새로운 nucleoside계 항암제, ara-CDP-DL-PCA.Na(BR-28702-2)의 약효연구 및 급성독성 시험.

  • 백우현;신원섭;채희상;노정구;강부연;차신우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69-169
    • /
    • 1994
  • 항암 및 면역조절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그 자체가 서방성 prodrug으로서 약효를 나타낼것으로 기대되는 ara-C와 etherphospholipid의 conjugate인 ara-CDP-DL-PCA.2Na, ara-CDP-DL-PBA.2Na, 및 ara-CDP-DL-PMA.2Na 3종의 BR-8702-2의 micellar soultion을 투여시료로 하여 제암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DBA/2J 마우스(평균 체중 25g, 수컷)에 L$_{1210}$임파성 백혈병 세포를 이식한 후, 24시간 후 약물을 복강내에 투여하는 실험계 에서 400mg/kg/day, 단회투여 및 80 혹은 100mg/kg/day, 1~5일간 투여로 ILS%값이 229~543으로 우수한 제암력을 보였다. 또한 BDF$_1$ mice(15~20g)의 axillary region에 3㎣의 Lewis Lung Tumor를 피하로 이식한후 약물투여를 통한 제암효과를 관찰하였다. 100, 200, 300mg/kg/day의 단회 투여계 에서는 수명연장 효과가 없었다. 한편, 20, 40, 60mg/kg/day, 1~5일간의 투여계 에서는 ara-CDP-DL-PCA.2Na만이 효과가 있었는데 농도에 역순하여 저농도인 20mg/kg/day, 1~5일간의 투여계에서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그때의 ILS%는 32.3%였고 투여기간중의 체중변화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한편 NICOM 370 Dynamic Light Scattering을 이용하여 투여시료로한 micellar solution의 입자도를 분석한 결과 ara-CDP-DL-PCA.2Na는 4.2nm size의 것이 99.48%를 차지하고 있었다. ara-CDP-DL-PCA.2Na의 ICR 마우스를 이용한 급성독성 시험에 있어서 경구투여에서의 LD$_{50}$값은 암,수컷 모두 5000mg/kg이상 이었고, 정맥내 투여 에서는 432mg/kg이었다. 실험과정중 생존동물의 일반적 이상소견등은 없었으나 정맥내 투여의 경우에서 체중증가 억제현상이 있었다.

  • PDF

Glyphosate 처리후 토마토 정단부 세포질과 원형 엽록체에서 immature 및 mature EPSP-synthase의 면역학적 검정 (Immunological Detection of Cytosolic Immature and Plastidial Mature EPSP-synthase after Glyphosate Treatment in Tomato(Lycopersicon esculentum) Apical Meristem)

  • 김태완;게오르그 하인리히;김태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4-51
    • /
    • 1997
  • 제초제(除草除) glyphosate는 EPSP-synthase 생합성(生合成) 자체는 억제(抑制)하지 못하며 단지 효소활성(酵素活成)만을 억제한다. 이러한 억제는 뿌리 빛 줄기 정단부에서 현저했다. EPSP-synthase의 전체구(前體區) 단백질(蛋百質)은 54 kDa의 분자량(分子量)을 갖으며, 엽록체(葉綠體)내 성숙(成熟) 단백질(蛋百質)은 45kDa 정도의 분자량(分子量)을 나타낸다. Glyphosate 처리 직후(直後) 인위적 암처리(暗處理)는 EPSP-synthase의 엽록체(葉綠體)내 삽입을 완전히 억제하지 못한다. 이러한 결과는 Glyphosate에 의한 EPSP-synthase 엽록체(葉綠體)내 삽입 기작은 전적으로 광(光)의존적인 것은 아니며 오히려 광의존적 제초활성을 나타내는 glyphosate의 엽록체내 유입후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조절기작에 의해 간접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보였다.

  • PDF

연구소 기업의 기술사업화: 한국원자력연구원의 헤모힘을 중심으로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Research Institute Company: A case of the KAERI's HemoHim)

  • 최종인;홍길표;장승권;배용국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2호
    • /
    • pp.129-140
    • /
    • 2012
  •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기술 출자로 설립한 연구소기업인 (주)선바이오텍은 2006년 3월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의 제1호 연구소기업으로 선정되었다. 이 회사의 대표적 제품인 헤모힘은 항암치료 보조 기능성식품이다. 이 기술은 미국, 유럽, 일본 등에 특허를 획득한 3극 특허(Triad Patent Families)이기도 하다. 본 기술개발사례는 기존 선진기술을 습득하는 대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선진형 기술혁신이며, 소비재 사업화로서 기술개발이 소비자들이 직접 먹고 마시는 건강기능식품과 관련된다. 본 연구는 (주)선바이오텍이 천연 생약복합 조성물로 면역조절기능이 탁월한 '헤모힘'의 사업화 과정을 심층 분석하여 그 과정에서 나타난 성공요인, 문제점, 해결노력 등을 파악해 본다.

  • PDF

Radioiodine Labeling of Insulin Using Dimethylsulfoxide as a Labelling-Aid

  • Kim, Jaerok;Kim, Young-He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203-210
    • /
    • 1977
  • 디메틸썰폭사이드를 표지보조제로 사용하여 방사면역측정용 $^{125}$/I 표지인슈린을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었다. 디메틸썰폭사이드 조금을 통상의 표지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반응시간을 조절하여 보았더니 표지반응속도는 약간 느렸으나 이렇게 하여 얻은 표지인슈린은 항체와의 결합능이 좋았으며 표준곡선을 점시했을 때 큰 구배를 보였다. 표지반응수율도 반응시간을 1분으로 늘림에 따라 약 30%로 늘어났다. 평균 항체결합능(B/F)의 증가는 일정항체 희석비율하에서 표지보조제없이 표지한 인슈린을 쓴 때가 1.5인데 반해 표지보조제를 쓴 경우는 2.5로서 약 70%의 향상을 보였다. 핵자기공명분광법으로 표지혼합물에 첨가한 디메틸썰폭사이드는 클로라민티에 의해 디메틸썰폰으로 산화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Stagg등의 결과와 대략 같은 이 실험결과를 디메틸썰폭사이드와 인슈린분자 중의 유황결합이 클로라민티에 의해 경쟁적 산화를 받는 것으로 보고 이를 토의하였다.

  • PDF

커피박 첨가에 의한 새송이버섯 균사체의 생육 및 생리활성 증가 (Enhancement of Growth and Bioactivity of Pleurotus eryngii Mycelia by Spent Coffee Ground)

  • 최장원;신동일;박희성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157-163
    • /
    • 2012
  • 새송이버섯(Pleurotus eryngii)은 인기 있는 식용버섯 중의 하나로서 항산화, 항암 또는 면역조절 기능 등의 인체에 유익한 생리활성 기능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새송이버섯 균사체 배양 시 커피음료 생산과정으로부터 폐기되는 커피박(spent coffee ground: SCG) 첨가에 의한 균사체의 생장과 기능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SCG(1-10%, w/v) 첨가 시 생장속도가 상당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1% SCG 첨가 시 무첨가에 비해 건조중량이 2.5배 증가함으로써 SCG가 탁월한 새송이버섯 균사체의 생장촉진제 기능이 제시되었다. SCG 첨가에 의하여 균사체의 polysaccharide 함량은 변화가 없었으나 polyphenol량 및 항산화능의 증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

A Case of 1-Month Fever Caused by CMV Infection in a Patient With MIS-C Treated With IVIG, Infliximab, and High-Dose Methylprednisolone

  • Gihun Jeong;Jihye You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1권1호
    • /
    • pp.140-146
    • /
    • 2024
  • 소아 다기관 염증 증후군(multisystem inflammatory syndrome in children, MIS-C)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 19;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의 드문 합병증으로 심장, 폐, 신장, 소화관 및 신경계를 포함한 다기관 손상을 일으킨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MIS-C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MIS-C에 대한 적절한 치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anakinra, infliximab, 스테로이드와 같은 면역 조절제는 MIS-C에 대한 intravenous immunoglobulin (IVIG)의 1차 치료에 대한 추가 요법으로 고려되지만 cytomegalovirus (CMV), Epstein-Barr 바이러스 및 결핵과 같은 2차 감염을 유발할 소지가 있다. 저자들 MIS-C로 IVIG, steroid 및 infliximab을 투여한 환자에서 동반된 CMV 감염으로 인하여 약 한달간 지속되는 발열이 발생한 3세 남아의 증례 1례를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염 농도가 어류 병원체 Edwardsiella tarda의 운동성과 편모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t Concentration on Motility and Expression of Flagellin Genes in the Fish Pathogen Edwardsiella tarda)

  • 유종언;박준모;강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487-1493
    • /
    • 2011
  • 염농도에 따른 E. tarda CK41의 운동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0%와 3.5%의 염농도를 가지는 운동성 측정 배지에서 집락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3.5% 염농도 조건에서 운동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과 3.5% 염농도 조건에서의 생육도를 측정해본 결과 각 염농도 조건에 따른 생균수의 차이는 매우 적은 것으로 보아, 높은 염농도에서의 운동성의 감소는 생육정체가 아닌 실질적인 운동성의 차이에 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염농도에 의한 운동성의 차이가 편모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형태학적 관찰을 해본 결과, 3.5% 염농도에서는 편모의 형성이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E. tarda는 PFAD와 FDP 두개의 편모 유전자를 가지며 이들간의 아미노산 상동률은 93%로 높은 편이다. 편모의 발현양의 확인을 위하여 PFAD 특이적인 다클론성 항체를 제작하기 위하여, PFAD를 과발현시키는 재조합 플라스미드 pBP793을 구축하여 대장균 발현시스템으로 발현시켜 정제한 후, 토끼에서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특이 항체를 제작하였다. PFAD 특이적인 다클론성 항체를 이용한 immunoblot assay 결과, 3.5% 염농도 조건에서 배양한 E. tarda CK41의 경우 1.0% 염농도에서 보다 반응하는 면역 활성 단백질 밴드가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염농도가 높은 해수환경에서의 운동성의 감소는 E. tarda CK41의 편모 단백질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아 기능적인 편모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예증하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 어떠한 메카니즘에 의해 염농도가 flagellin의 발현을 조절하는지를 밝힐 필요가 있다.

국내 자생 갈매나무과 식물의 항산화 및 면역반응조절 효과 탐색 (Antioxidant and immunoregulatory effects of Korean Rhamnaceae)

  • 어현지;김다솜;강연경;김기윤;박영기;박광훈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254-25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하고 있는 갈매나무과 식물 13종(망개나무, 먹넌출, 헛개나무, 갯대추나무, 까마귀베개, 산황나무, 갈매나무, 털갈매나무, 돌갈매나무, 참갈매나무, 짝자래나무, 상동나무, 묏대추나무)에 대한 결실기 부위별(잎, 가지, 열매) 39점 70% ethanol 추출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ABTS 라디칼 소거능과 DPPH 전자 공여능 이용한 항산화 활성 및 NO 생성 억제력을 통한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여 기능성 검토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망개나무, 상동나무, 묏대추나무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망개나무, 갯대추나무, 까마귀베개, 상동나무 추출물에서 높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고, 망개나무, 상동나무 추출물에서 약 80% 이상의 DPPH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또한, 망개나무, 먹넌출, 갯대추나무, 상동나무, 묏대추나무 등에서 50% 이상의 NO 생성 억제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갈매나무과 식물의 이용 부위별 다양한 기능성을 검토하였고, 천연 항산화제 및 NO생성 억제를 통한 과도한 면역반응 완화 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콩팥에서 Erythropoietin 투여로 인한 HSP70의 발현 변화 (Expression of HSP70 Immunoreactivity in EPO Treated Rat Kidney)

  • 정주영;김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3호
    • /
    • pp.167-174
    • /
    • 2007
  • Heat shock protein 70 (HSP70)은 다양한 질병상태와 치명적인 열 손상에서 세포 및 조직을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또한 외부의 stress로부터 세포내 단백질의 파괴와 변화를 감소시키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랜 기간 동안 조혈기관의 치료제로 콩팥에서도 세포보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Erythropoietin(EPO)을 투여하여 콩팥내의 HSP70의 발현변화를 세포수준에서 관찰하고자 하였다. Sprague-Dawley계 흰쥐를 사용하여 전자현미경적 면역조직화학법으로 rHuEPO투여군과 대조군에서 HSP70의 발현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에서 HSP70은 콩팥의 바깥수질과 속수질에서 관찰되었으며, 특히 속수질에서 강하게 발현되었고 그 부위는 속수질집합관세포와 헨레고리의 내림가는 부분이었다. EPO 투여군에서는 속수질과 바깥수질의 내림가는 부분에서는 발현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바깥수질의 집합관 세포에서 발현이 급격히 증가함을 관찰되었다. 특히 대조군에서의 핵주변부위뿐 아니라 세포내 핵상부분을 비롯한 세포막주변부위에도 강한 면역 염색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콩팥의 바깥수질에서 stress성 단백질인 HSP70의 조절기전이 EPO에 의해 매개됨을 보여주면, 세포 stress및 질병상태에서도 이러한 기전이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