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면역조절제

Search Result 18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Multiple low-dose Streptozotocin 유도 Type I 당뇨병 상태의 면역 기능에 미치는 Brazilin의 영향

  • 문창규;양경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321-321
    • /
    • 1994
  • 다양하고 복잡한 기전에 의하여 정교히 조절되고 있는 면역 체계의 비정상적인 기능에 비롯된 자가 면역 질환을 개선, 치료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많은 면역 조절제가 개발되어 온 바 있으며, 이들의 면역 조절 기전은 약물에 따라 그 효능에 있어 차이가 크고 독성등의 부작용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현저히 제한되고있는 경우가 많아 보다 안전하고 효능있는 새로운 면역 조절제의 개발은 아직도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실에서는 천연물로부터의 새로운 면역 조절제의 검색을 수행하여 온 바 있으며, 그중 Brazilin이 Low-dose Streptozotocin의 반복 투여에 의해 유도되는 당뇨병 상태의 면역 조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검색하고자 하였다.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여보면, Brazilin은 외부항원 (SRBC)의 유입시 정상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저하되어 있는 T cell의 기능을 정상 대조군 혹은 그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B cell의 기능 역시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Brazilin은 Streptozotocin 유도 당뇨병 상태의 면역기능을 정상화시키는 면역 조절활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세포성장 조절물질 탐색

  • 최인성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9 no.1
    • /
    • pp.33-36
    • /
    • 1993
  • 세포성장 조절물질 탐색기술 개발 분야의 연구는 학문적으로는 세포성장 조절물질의 작용기작 규명에 의한 유전병의 병리기전, 암의 병리학적인 원인규명과 면역현상의 이해를 통한 생명과학의 기초연구 증진을 이룩할 것이며 세포성장 조절인자의 유전자를 분리하여 유전자 치료법(gene therapy)에 이용하거나 이들 유전자를 발현벡타를 이용해 과발현시켜 난치성 유전병의 치료에 이용하는 등의 임상실험에 활용할 수 있다. 산업적으로는 이들 연구결과를 활용한 신규 항암제 및 면역 조절제 개발기술의 수준 향상에 따른 생물 신의약 개발 분야에서 국제경재력을 제고시키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utaneous Aging and Immunity (피부노화와 면역)

  • 최진규
    • Proceedings of the SCSK Conference
    • /
    • 1994.07a
    • /
    • pp.54-66
    • /
    • 1994
  • 외부 환경에 대한 장벽으로서 피부기능의 고전적인 개념은 중요한 신진대사와 면역학적 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인식함으로써 확장 되었다. 피부의 면역학적 역할은 면역적 상해의 단순한 표적 이라는 것에서 피부와 연관된 피부와 면역반응의 개시와 조절에서 활발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본 총설은 면역계의 토대가 되는 중요한 기작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Langerhans cells와 keratinocytes 뿐만아니라 항산화제, 자와선, 지방산 등이 피부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면역 조절제

  • Korea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
    • 발명특허
    • /
    • v.30 no.4 s.346
    • /
    • pp.56-58
    • /
    • 2005
  • PDF

Immunoregulatory Mechanism of Polysaccharides from Natural Plant Resources (신기술 신소재/해외기술 - 천연소재 유래 다당체의 면역조절 기작)

  • Cho, Chang-Won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26 no.3
    • /
    • pp.178-187
    • /
    • 2013
  • 분자단계에서 천연소재 유래 다당체는 면역 세포 표면(예, 대식세포)에 있는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 수용체(${\beta}$-glucan 수용체, mannose 수용체, complement 수용체 3, Toll-like 수용체, scavenger 수용체)와 면역 반응을 시작하기 위하여 결합할 수 있고, 그 후에 신호전달을 위하여 cytokine과 second messenger($Ca^{2+}$, cAMP, cGMP, NO 등등)들을 생성한다. 그 결과로 선천면역과 적응면역을 유도하여 다양한 질환에 영향을 미친다. 추가적으로 다당체들의 면역조절은 신경내분비 체계의 조절과도 연관되어 있다. 최근 수많은 천연소재유래 다당체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정확한 약효, 낮은 독성과 부작용을 가진 일단의 다당체가 발견되어 현재 임상에서 암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면역증진 다당체들이 항 종양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제로서 큰 시장을 개척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현재 다당체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취약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다당체의 생리활성에 대한 정해진 비교기준이 없다. 특별히 임상 환경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이 중국, 일본, 한국과 일부 다른 동양국가들에 국한되어 있어 유럽이나 미국에서의 연구 자료가 결여되어있다. 둘째 현재 연구에 사용되고 있는 대다수의 천연소재 유래 다당체는 순수한 다당체가 아닌 천연 그대로의 것을 사용하고 있어 소재로부터 유래하는 다른 활성성분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순수 다당체가 면역체계에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 진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셋째 면역조절 경로에서 다당체의 정확한 신호전달 경로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고, 또한 동물과 임상실험에서 다당체가 작용하는 수용체 및 신호전달 경로에 대한 상반되는 결과가 발표되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다당체의 면역조절활성에 대한 연구에 있어 다음과 같은 점들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첫째 다당체의 구조와 활성간의 상관관계를 밝혀야 할 것이다. 특히 다당체의 세부 구조 및 활성 부위를 밝혀낸다면 분자수준의 면역조절 기작을 명확히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면 다당체의 구조를 변형시켜 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활성이 증가된 다당체를 합성하는 일도 가능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beta}$-glucan과 lentinan과 같은 정제된 다당체의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효과적인 동물실험 및 임상실험 protocol을 확보하고 연구결과들에 대한 database를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들이 성공적으로 수행된다면 천연소재유래 다당체들이 가까운 장래에 암 치료를 포함한 다양한 질병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면역조절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New Technology - Immunoregulatory Actions of Polysaccharides from Natural Plant Resources (해외 기술 - 천연소재 유래 다당체의 면역력 증진 기능)

  • Hong, Hee-Do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24 no.3
    • /
    • pp.390-409
    • /
    • 2011
  • 기능성 다당체는 자연계에 두루 존재하며 특히 많은 천연소재 유래 다당체의 경우 거의 부작용없이 광범위한 면역조절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들 다당체의 면역증진 기능성은 다양한 경로와 타켓을 대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각 다당체의 기능성 차이는 그들에 구조적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BRM의 일종으로 천연소재 유래 다당체는 면역기관이나 T와 B 림프구, 대식세포, NK cell, LAK 세포 및 수지상 세포 등 면역세포의 활성화, 사이토카인 및 항체의 생성, 적혈구의 면역기능에 영향을 미쳐 생체방어 기능, 즉 면역기능을 증진시켜 주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또한 lentinan, PSK, PSP, PUPS 등과 같이 이미 잘 알려진 다당체의 경우, 이들 다당체가 지닌 품질 안정성, 정확한 효능, 낮은 독성 및 부작용 등을 근간으로 다양한 항암치료제의 보조제로서 활용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반면 다당체를 이용한 기능성 구명 연구에서는 몇 가지 제한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첫째로 비교가능한 적절한 기능성 다당체의 비교 표준이 부재하다는 것이며 두 번째로는 대부분의 다당체 관련 연구가 보다 철저한 구조적, 정성적 연구결과 없이 주로 추출물을 이용한 연구로 진행되어 정확한 분자수준에서의 면역조절 기전을 구명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정확한 기능 구명을 위한 신호전달경로 관련 연구, 수용체 관련연구 및 임상연구 등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다당체를 이용한 면역력 증진 등 기능성 구명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기능성 다당 분획의 구조분석 및 동정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분자 수준의 기능성을 이해하는데 주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Involvement of TLR4-JNK/NF-κB signaling pathway in RAW264.7 cell activation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extracts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RAW264.7 세포 활성화에서 TLR4-JNK/NF-κB 신호전달 경로의 관여)

  • Ju-Hwi Park;Jongbeom Chae;Joon Ha Lee;Dongyup Hahn;Ju-Ock Nam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66
    • /
    • pp.447-454
    • /
    • 2023
  • In the environment in which humans live, there are various antigens that invade the human body and interfere with humans leading a healthy life, so the immune system recognizes the antigen then removes them through a complex mechanism. Macrophages are widely distributed immune cells involved in the innate immune system, and produce various immune modulators such a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duced nitric oxide, cyclooxygenase-2 induced prostaglandin E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alpha. On the other hand,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are a type of edible insect that have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the future food supply problem. The immuno-modulatory effect through the activation of murine macrophage RAW264.7 cell via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nuclear factor-kappa B (NF-κB) signaling pathways has been reported. Based on this report, in this study, we confirmed how the expression of immune modulators induced by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extracts in RAW264.7 cells was changed by treatment with pharmacological inhibitors of toll-like receptor 4 (TLR4), MAPKs and NF-κB signaling pathways. As a result, reduction of immune modulators was confirmed in the c-Jun N-terminal kinase (JNK) inhibitor treatment group and NF-κB inhibitor treatment group among the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e-treated RAW264.7 cell. Furthermore, in the TLR4 inhibitor-treated group, decreases in phosphorylation of JNK and NF-κB factors were confirmed in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e-treated RAW264.7 cell, as well as decreases in immune modulators. This results suggest that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activates RAW264.7 cells by the engagement of TLR4-JNK/NF-κB signaling pathway.

자원식물을 이용한 아토피 치료제 개발

  • Jeong, Yong-Jun;Park, Jong-Pil;Gang, Se-Cha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10a
    • /
    • pp.22-22
    • /
    • 2010
  • 식생활의 변화, 공해 등의 환경변화 등으로 인하여 아토피 환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소에서는 자원식물로부터 아토피 치료제 개발을 위하여 면역세포의 탈과립화억제를 통하여 수종의 식물 자원을 탐색한 바 있다. 애기땅빈대, 여뀌, 고들빼기 등으로부터 유효성분 분리하여 산업화 단계에 있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한약자원인 지모로부터 분리된 성분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지모는 현재 수많은 보고를 통하여 항암성분, 여성호르몬조절성분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nyasol을 비롯하여 4개의 유도체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성분에 대한 면역세포 탈과립화억제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들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MeOH추출물에서 systemic 및 passive anaphylaxis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들 성분에 대한 유도체 합성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면역세포 탈과립화 억제를 통한 항아토피 및 항알러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이들의 성분과 합성 유도체들은 항아토피에 활용될 수 있으며, 지모추출물자체로도 화장품, 식품, 의약품에 적용이 가능할 정도로 우수한 효능이 확인되었으며, 앞으로 이들 유도체에 대한 의약품 개발연구가 기대된다.

  • PDF

Immunomodulatory Effects of Polysaccharides Derived from Persimmon Leaves on Cyclophosphamide-induced Immunosuppressed Mice (감잎 유래 다당체가 면역억제 마우스의 면역조절에 미치는 영향)

  • Cho, Chang-Won;Rhee, Young Kyoung;Kim, Young-Chan;Han, Chun-Ji;Shin, Kwang-Soon;Hong, Hee-Do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5 no.5
    • /
    • pp.636-641
    • /
    • 2013
  • We prepared 2 different crude polysaccharides from persimmon leaves, by hot water (PLW-0) and pectinase digestion (PLE-0), respectively. PLW-0 and PLE-0 showed similar sugar compositions and contained 11 different sugars, including rarely observed sugars such as 2-methyl-fucose, 2-methyl-xylose, apiose, and aceric acid. However, the uronic acid content of PLE-0 was lower than that of PLW-0, because of pectinase treatment. In normal mice, administration of PLW-0 and PLE-0 increased the spleen index and splenocyte proliferation. The effect of PLE-0 on the spleen index and splenocyte proliferation was greater than that of PLW-0. We subsequently assessed the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PLW-0 and PLE-0 on cyclophosphamide (CY)-induced immunosuppressed mice. We revealed that mice treated with PLW- 0 or PLE-0 showed increased splenocyte proliferation, NK cell activity, and white blood cell numbers.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PLW-0 and PLE-0 can enhance immune function in normal mice and modulate CY-induced immune suppression.

Anti-tumor Activity of Saponin Fraction of Platycodon gradiflourm through Immunomodulatory Effects associated with NO production in RAW264.7 cells (길경 사포닌 분획의 NO생성과 관련된 면역조절작용을 통한 대식세포의 항암활성에 미치는 효과)

  • Choung, Myoung-Gun;Sohn, Eun-Hwa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4 no.5
    • /
    • pp.557-563
    • /
    • 2011
  • Platycodon grandiflorum (Korean name, Doraji) has been widely used i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s an expectorant for pulmonary disease and a remedy for respiratory disorders in Asia.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tOH extract saponin fraction of P. gradiflourm (PGS) on phagocytosis and anti-tumor activity with related cytokine productions in RAW264.7 macrophage cells. The results showed that PGS increased phagocytosis, anti-tumor activity, TNF-${\alpha}$ and nitric oxide (NO) production without direct tumor cell cytotoxicity. To further investigate whether NO is involved in anti-tumor and phagocytic activities of PGS, cells were co-treated with specific iNOS inhibitors, L-NIL (N6-(1-iminoethyl)-L-lysine, dihydrochloride), to block NO production. PGS decreased anti-tumor activity in L-NIL-treated cells, whereas phagocytic activity was not inhibi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indicating that the anti-tumor activity by PGS appears to be conducted by NO.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 grandiflorum could be used a potential nutrition therapeutic agent for cancer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