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면역건물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7초

섬유질배합사료 내 조단백질 수준이 임신초기 흑염소의 건물섭취량, 소화율 및 질소출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ude Protein Levels in Total Mixed Rations on Dry Matter Intake,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in Early Pregnant Korean Black Goats)

  • 황보순;최순호;이성훈;김상우;김영근;상병돈;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3-100
    • /
    • 2007
  • 본 연구는 섬유질배합사료의 조단백질 수준이 임신초기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임신흑염소의 적정 조단백질 수준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임신초기흑염소 12두를 4처리구(관행사료구, 조단백질 10, 12 및 15%)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대사케이지에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배치하여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섬유질배합사료의 일반 조성분은 건물 함량이 $89.0{\sim}91.0%$를 나타내었고, ADF와 NDF 함량은 $18.87{\sim}19.85$$53.41{\sim}54.80%$로 나타나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섬유소 함량의 차이는 없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TMR10, TMR12 및 TMR14구가 각각 10.61, 12.15 및 14.97% 이었다. 하지만, NFC 함량은 섬유질배합사료내 단백질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건물섭취량, 영양소 섭취량 및 가소화 영양소 섭취량은 TMR15와 대조구가 TMR10과 TMR12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대사체중당 건물섭취량과 체중에 대한 건물섭취비율에서도 대조구와 TMR15구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건물소화율은 $69.01{\sim}70.33%$ 범위로 나타났다. 에테르 추출물 소화율은 세 수준의 단백질을 함유하는 섬유질배합사료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섬유질배합사료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질소축적량 및 축적율에서는 TMR15구와 대조구가 다른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임신초기 흑염소사료 내 증가하는 수준의 조단백질 함량은 건물섭취량 및 질소 축적을 증가시켰고, 특히 TMR 사양에서 임신초기 흑염소의 조단백질수준은 적어도 15% 이상은 되어야 할 것으로 추정된다.조생 다수성 IRG, 6월 상순으로 벼 이앙시기가 늦을 경우에는 5월 하순 수확이 가능하면서 생산성과 사료가치가 높은 밀이 권장되었다.함량으로 낮아졌다. 비보존성 반응(즉 침전, 흡착, 산화, 용해 등)과 보존성 반응(예: 수리학적 혼합)은 미량원소가 강으로 이동되는 것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자연저감 기작이었다.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으나 정상군에 비해 면역반응 신경세포의 총수는 43.9%(1형: $23.7%\downarrow$, 2형: $17.8%\downarrow$, 3형 : $56.2%\downarrow$) 감소한 상태로 남아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capsaicin 투여에 의해 성숙흰쥐의 근육층 신경얼기에서 칼슘채널 ${\alpha}_{1B}$ subunit의 면역활성도는 투여 후 1주일가지 빠르게 저하되며 그 이후부터는 점차 정상으로 회복되나 완전한 상태로의 회복에는 4주 이상의 시간경과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形態學的) 배양학적(培養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Candida guilliermondii var. guilliermondii 로 동정(同定)되었다. 6. CHS-13 균주(菌株)를 당화액(糖化液)에 배양(培養)시켰을 때 Lowry-protein 함량은 $0.72\;mg/m{\ell}$ 이었으며 , yeast extract 첨가(添加)하여 배양시(培養時)는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였다. 7. CHS-13 균주(菌株)의 RNA 함량(含量)은 $4.92{\times}10^{-2 }\;mg/m{\ell}$이었으며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증가(增加)하다가 농도(濃度) 0.2%에서 최대함량(最大含量)을 나타내고 그후는 감소(減少)

Bradyrhizobium japonicum의 공생효과(共生效果) 우수균주(優秀菌株) 선발(選拔)을 위한 면역혈청학적(免疫血淸學的) 접근(接近) (Serological Approach for Selection of Bradyrhizobium japonicum Strain with Superior Symbiotic Effectiveness)

  • 강위금;하호성;박경배;이상규;임동규;양민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5-172
    • /
    • 1996
  • 콩의 공중질소이용도(空中窒素利用度) 향상에 바람직한 우수근류균(優秀根瘤菌) 선발(選拔)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우리나라 토착(土着) B. japonicum 의 혈청형별(血淸型別) 콩 공생효과(共生效果)와 그 유의성(有意性)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근류균(根瘤菌)의 근류형성정도(根瘤形成程度)는 USDA 123혈청형(血淸型) 균주(菌株)를 접종한 구에서 가장 높고 다음으로 YCK 150혈청형(血淸型) > YCK 117혈청형(血淸型) > YCK 141혈청형(血淸型) > USDA 110 혈청형(血淸型) 순위의 경향이었는데, 콩 품종별(品種別) 혈청형(血淸型)에 따라서 상이하였다. 2. 콩 건물생산(乾物生産)에 있어서 근류균(根瘤菌) 접종효과(接種效果)는 콩 품종별로 상이하였으나 평균적으로 볼 때, USDA 110혈청형(血淸型)과 YCK 141혈청형(血淸型) 균주(菌株)의 접종구에서 우수하였고 USDA 123 혈청형(血淸型) 균주(菌株)의 접종구(接種區)에서는 저조하였다. 그리고 균주접종(菌株接種)에 따른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이 가장 높았던 콩은 방사(放射)콩이었다. 3. 혈청형내(血淸型內) 균주(菌株)들의 공생효과(共生效果) 유사성(類似性)(n=20)은 근류수에서 100%, 질소고정력에서 90%, 콩 건물중에서 80% 수준(水準)이었으며, 균주(菌株)의 공생관계(共生關係) 변이분석(變異分析)에서는 또 각 혈청형간(血淸型間), 콩 품종간(品種間)에 근류수와 근류무게, 질소고정력, 콩 건물중 모두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P{\leq_-}0.01$$)을 보였다. 그러므로 B. japonicum 의 면역혈청학적(免疫血淸學的) 특성은 콩의 공중질소이용도(空中窒素利用度) 개선연구(改善硏究)에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식이지방과 토마토가 BALB/c 마우스의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ats and Tomato on the Immune Functions of BALB/c Mice)

  • 임상동;한찬규;성기승;김기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73-278
    • /
    • 2006
  • 본 연구는 식이지방(우지, 잇꽃유)을 급여한 마우스에게 토마토가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AIN-76 diet에 포화지방(beef tallow)과 불포화지방(safflower oil)을 각각 5%씩 중량비로 혼합한 식이를 대조군으로 하였고, 실험군은 토마토(수분함량, 95%)를 고려하여 건물기준으로 0.5%를 첨가한 실험식이를 제조하여 BALB/c 마우스에게 10주 동안 급여하였다. 지연성 과민반응검사는 4, 7, 10주에, 항체생산 세포수측 정은 7, 10주에 실시하였다. 혈액은 심장천자(heart puncture)로 채취하였으며 저장된 혈청은 양적혈구(SRBC)에 대한 적혈구응집소가측정(AGG test)에 이용하였다. 각각의 장기는 적출하여 칭량하였고, DTH test후 적출한 비장을 대상으로 세포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토마토군은 대조군에 비해 4주와 10주의 비장계수(spleen index)와 흉선계수(thymus index)가 통계적으로 높았다(p<0.05). 양적혈구에 대한 지연성 과민반응검사에서 토마토군은 4주, 7주, 10주 모두 24시간의 반응값이 대조군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토마토군은 3시간은 7주, 24시간은 4주, 48시간은 4주와 10주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5). 항체생산 세포수는 식이급여 7주에 토마토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난 반면 10주는 차이가 없었다. 양적혈구에 대한 응집소가는 식이의 급여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는데, 토마토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특히 10주의 응집소가는 유의성이 있었다. 임파구(Iymphocyte)는 토마토군이 대조군보다 다소 증가하였고, 비장조직 검사결과 토마토군은 백색수(white pulp)가 심하게 증식되어 활발한 면역반응을 보였다.

복합 생균제 첨가가 육성돈의 생산성, 면역관련 혈액학적 지표 및 분내 유해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biotic Complex on Growth Performance, Blood Immunological Parameters and Fecal Malodor Gas Emission in Growing Pigs)

  • 장해동;김해진;조진호;진영걸;유종상;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501-508
    • /
    • 2007
  • 본 연구는 복합 생균제(Lactobacillus acid- ophilus, Bacillus subtilis and Aspergillus oryzae)를 사료에 첨가하였을 경우 육성돈의 생산성, 혈액내 면역 지표 및 분내 유해가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동물은 [(Landrace×Yorkshire)×Duroc] 3원교잡종 육성돈 48두를 공시하여 35일간 실시하였고, 시험 개시체중은 25.31±1.29 kg이었다. 시험 설계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를 기초사료로 하여 대조구(CON)로 설정하였고, 기초사료에 복합 생균제 0.1%을 첨가한 처리구(PC1), 기초사료내 복합 생균제 0.2%을 첨가한 처리구(PC2)로 나타내었다. 성장효율에서 일당사료섭취량은 0~20일 기간 동안에서 PC2 구와 PC1 구가 CON 구보다 높게 나타내었으며(Linear effect, P=0.013), 21~35일 기간 동안에서는 PC1 구가 CON 구보다 높게 나타내었으며(Quadratic effect, P=0.024), 전체기간 동안에서는 PC2 구와 PC1 구가 CON 구보다 높게 나타내었다(Linear effect, P=0.009, Quadratic effect, P=0.004). 전체기간에서 일당증체량은 PC1 구가 CON 구보다 증가하였다(Quadratic effect, P=0.017). 하지만, 사료효율에서는 시험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건물 소화율은 PC2 구가 PC1 구와 CON 구보다 증가하였다(Linear effect, P=0.001). 질소 소화율은 PC1 구와 PC2 구가 CON 구보다 높게 나타냈다(Linear effect, P=0.005). 혈액내 면역 지표에서는 총 단백질, IgG 농도, RBC 및 WBC에서 PC2 구가 PC1 구와 CON 구보다 증가하였다(Linear effect, P<0.001, Quadratic effect, P<0.001). 분내 유해가스 함량에서 암모니아와 초산 함량은 PC2 구가 CON 구보다 낮게 나타내었고(Linear effect, P<0.02), 황화수소의 함량도 PC2 구가 CON 구보다 가장 낮게 나타냈지만(Linear effect, P=0.0002, Quadratic effect, P=0.018), Total Mercaptans에서는 실험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분내 수분함량에서는 시험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0.2% 복합 생균제 첨가시 육성돈에 사료섭취량, 건물 및 질소 소화율, 총 단백질, IgG 농도, RBC, WBC은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냈으며, 암모니아, 초산 및 황화수소를 감소시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항생제 대체제로서 생균제가 이유자돈의 성장능력 및 영양소 이용률, 설사 빈도,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Probiotics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Occurrence of Diarrhea and Immune Response in Weaning Pigs)

  • 장영달;오희경;박용국;최현봉;윤진현;김유용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1호
    • /
    • pp.25-32
    • /
    • 2009
  • 본 실험은 이유자돈 120두를 이용하여 생균제의 첨가가 이유자돈의 성장 능력, 영양소 소화율, 혈중 요소태 질소, 설사 빈도,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유자돈 사료에 항생제 대체제인 생균제의 첨가는 전 사양 기간에 걸쳐 사양 성적이 항생제 첨가구(PC)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항생제 첨가구(PC)를 제외하고 비교하였을 때에는 비록 유의적인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생균제 첨가구가 항생제 무첨가구(NC)에 비해 일당증체량, 사료효율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항생제 첨가 효과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항생제 대체제로서 그 가능성을 보인 것이라고 하겠다. 특히 생균제 A 첨가구는 0~5 주차 사료 효율(P<0.05)에서 항생제 첨가구(PC)와 비슷한 성적을 나타내어, 항생제 대체제로서 이유자돈의 성장을 개선 시킬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하겠다. 본 실험에서는 5주동안 이유자돈의 사료에 생균제를 첨가하여 사양성적을 보았는데, 생균제의 급여기간을 좀 더 늘리면 생균제의 처리효과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날 수도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유자돈 사료에 생균제의 첨가가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소화율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으며(P>0.10), 질소 축적율은 생균제 첨가구에서 항생제 첨가구(PC)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일관된 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혈중 요소태 질소 농도에서는 2주차와 4주차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또한 생균제 B 첨가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혈중 요소태 질소 농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설사 발생 빈도 측정 결과, 항생제 첨가구(PC)에서 설사 발생 빈도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생균제 C 첨가구에서 다음으로 낮게 나타났다(P=0.18). 면역 반응 실험 결과, $CD^{4+}$ T-cell 수의 경우 생균제 C 첨가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P<0.01), $CD^{8+}$ T-cell 수와 $CD^{4+}:CD^{8+}$ 비율의 경우에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P>0.10). 결론적으로 이유자돈사료 내 생균제의 첨가가 이유자돈의 성장 능력, 질소축적율, 혈중 요소태 질소, 설사 빈도, 및 면역 능력에 일정한 개선 효과를 갖고 있지만, 항생제 첨가 효과에는 미치지 못한다고 하겠다. 본 실험을 통해 이유자돈 사료에 생균제의 첨가는 항생제 대체제로서 일정 부분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공공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액체 손세정제의 세균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Bacterial Contamination of Liquid Soaps Used in Public Restroom)

  • 홍승복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14-220
    • /
    • 2020
  • 세정제로 손을 씻는 것은 감염의 가능성이 있는 미생물을 줄이는 중요한 방법이지만 재사용하는 액체 형 세정제는 외부의 오염에 취약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화장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액체 세정제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저자는 6개 건물에 있는 58개의 공공 화장실에서 액체 형 손 세정제를 조사하였다. 균의 동정은 전통적인 생화학적 검사와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였으며 항균제 감수성 검사는 Vitek II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58개의 화장실 중 27개(46.55%)의 화장실에서 세정제를 다시 채워 재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들 중 25개(92.59%) 화장실의 세정제가 세균에 오염되어 있었다. 오염된 균은 1.6×103 to 2.7×105 CFU/mL의 범위였으며, Serratia liquefaciens (12 균주), Achromobacter xylosoxidans (9 균주), Serratia marcescens (4 균주), Staphylococcus pastueri (1 균주), Achrombacter spanius (1 균주) 순으로 분리되었다. A. xylosoxidans 1 균주를 제외하고 같은 건물에서 분리된 같은 균 종은 동일한 감수성 양상이었다. 결론적으로 오염된 손 세정제로 손을 씻는 것은 공공보건 시설에서 세균의 전파가능성이 높일 수 있으므로 면역이 감소한 환자들이 이용하는 병원의 화장실은 손 세정제를 재사용하는 것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콜로이드 은과 희토류 원소의 첨가가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Colloidal Silver and Rare Earth Elements on Growth Performance in Broilers)

  • 조종관;김진수;윤구;김영우;김광현;권일경;채병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8
    • /
    • 2010
  • 본 연구는 사료 중 콜로이드 은(colloidal silver) 또는 희토류 원소(rare earth elements, REE)의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도체성상, 골격 성분 함량 및 강도와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1일령 Ross종 육계 병아리(체중 39~40 g) 3,872수를 공시하여 무첨가 대조구, 콜로이드 은 20 ppb 첨가구, 희토류 원소 500 ppm 첨가구와 콜로이드 은 20 ppb+희토류 원소 500 ppm 혼합 첨가구의 4처리구에 4반복으로 반복당 242수씩 완전 임의 배치 급여하여 5주간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전체 시험 기간(5주)동안의 증체량에서는 희토류 원소를 함유한 두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사료 섭취량과 사료 효율에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건물 소화율과 조단백질 소화율에서는 콜로이드 은 20 ppb+희토류 원소 500 ppm 혼합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조지방과칼슘의소화율에서도콜로이드은20 ppb+희토류 원소 500 ppm 혼합 첨가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인의 소화율에서는 콜로이드 은 첨가구에서 다른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뼈의 강도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뼈의 건물 함량은 콜로이드 은 20 ppb+희토류 원소 500 ppm 혼합 첨가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p<0.05), 인의 함량은 희토류 원소 단독 급여시에 높게 나타났다(p<0.05). 도체성상과 면역 반응 조사에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희토류 원소의 단독 첨가와 콜로이드 은과 희토류 원소의 혼합 첨가는 육계의 생산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성 β-glucan을 함유한 꽃송이버섯 발효액의 제조 (Preparation of fermentation broth of Sparassis latifolia containing soluble β-glucan using four Lactobacillus species)

  • 조한교;최문희;신현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0-5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꽃송이버섯 건물과 powder를 각각 Yeast Extract broth와 MRS broth에서 Lactoballius 4종(L. plantarum, L. acidophilus, L. helveticus, and L. delbrueckii)과 함께 발효시켰다. 발효액의 final pH는 pH $3.9{\pm}0.02$로 유산균의 일반적인 final pH 값과 일치함을 통해 유산균의 발효를 확인하였고, 유산균에 의한 꽃송이버섯 발효의 효과를 ${\beta}$-glucan 함량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Yeast Extract broth 발효액은 YSB-2LP 1.65 g/100 g으로 ${\beta}$-glucan을 거의 함유하고 있지 않았지만 MRS broth 발효액은 Yeast Extract broth 발효액의 10배에 달하는 MPB-1LP 10.84 g/100 g을 함유하고 있었다. MPB-1LP는 꽃송이버섯 powder와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발효액으로 pH stress로 인해 만들어진 L. plantarum의 ${\beta}$-D-glucosidase에 의해 분해된 고분자량의 수용성 ${\beta}$-glucan이라 사료된다. 꽃송이버섯을 powder 상태로 L. plantarum과 함께 발효시켰을 때 꽃송이버섯의 수용성 ${\beta}$-glucan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꽃송이버섯 유산균 발효물의 면역촉진 작용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경합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에 의한 대두 및 대두가공제품 중의 Bowman-Birk Protease Inhibitors의 함량 분석 (Quantification of Bowman-Birk Protease Inhibitors in Soybeans and Soybean Products by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 김성란;손동화;김수일;홍희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310-316
    • /
    • 1999
  • 대두가공제품 중에 존재하는 Bowman-Birk protease inhibitor(BBPI) 함량을 protease 저해활성 측정 및 경합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로 살펴보았다. 항체제조를 위한 BBPI는 ion exchange chromatography와 전기영동 후 gel slicing 방법으로 시판 soybean trypsin-chymotrypsin inhibitor로부터 순수, 분리하였다. 순수분리한 BBPI를 면역원으로 rabbit anti-BBPI antibody를 조제하였으며 단백질 농도별 titration방법으로 BBP에 비교적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이용한 경합 ELISA 방법으로 BBPI를 정량하기 위한 표준 정량곡선을 작성하였으며 시료용액중의 BBPI 함량이 $0.03{\sim}30\;{\mu}g/ml$ 범위일 경우에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하였다. 대두품종별 chymotrypsin 저해활성은 $8,462{\sim}12,428\;U/g$이었으며 BBPI 함량은 $482{\sim}692\;mg%$ 이었다. 시판 대두 가공제품 중에서 5종의 콩나물은 건물량 기준으로 $10,695{\sim}13,249\;U/g$의 chymotrypsin 저해활성과 $529{\sim}803\;mg%$의 BBPI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일부 두부제품에서도 68.9 mg%정도의 BBPI가 검출되었다. 그 밖의 두유, 된장, 고추장 및 간장 등의 대두발효식품, 탈지대두박 등에서는 chymotrypsin 저해활성 및 BBPI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 PDF

영상의 선형 정보를 이용한 GIS 자료의 갱신에 대한 연구 (Updating GIS Data using Linear Features of Imagery)

  • 손홍규;최종현;피문희;이진화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3년도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8-393
    • /
    • 2003
  • 도시화 속도의 증가와 더불어 3차원 자료 획득의 출처가 다양해지연서, 도로 및 건물경계선과 같은 선형 GIS 정보에 대한 신속한 갱신 또한 요구되고 있다. 임의의 출처 자료로부터 대상 자료를 갱신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두 자료간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여야 하며, 특히 영상정보와 같은 출처 자료와 GIS 자료와 같은 대상 자료간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하여 기존에 제시되어온 대부분의 방법들은 두 개 자료간의 관계를 정의 할 수 있는 기준정과 같은 정확한 점 정합 요소(point matching entities)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한 정합 요소들을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영상과 GIS 자료간의 위치 관계를 결정할 수 없을뿐더러 위치 관계 정립의 결과는 정합 요소들의 분포 및 정확도에 매우 의존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점 정합 요소들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경우 수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상 및 GIS 자료의 선형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점 정합 요소들을 모르더라도 영상과 GIS 자료간의 위치 관계를 결정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용된 알고리즘은 개선된 Hough 변환(Modified Hough Transform)을 기반으로 다수의 선형 정보 중에 정합되는 요소들을 자동으로 찾아내고 이들을 최소제곱법으로 풀이함으로써 두 데이터간의 기하학적 변환 관계를 결정하는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접근을 통해 데이터간의 기하학적 변환 관계를 결정한 후, 영상 상에는 존재하지만 GIS 자료에는 존재하지 않는 선형 정보에 대한 갱신 여부를 확인하고 갱신함으로써 3차원 위치 자료의 자동 생성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로 갈수록 퇴적이 우세한 것으로 관측되었다.보체계의 구축사업의 시각이 행정정보화, 생활정보화, 산업정보화 등 다양한 분야와 결합하여 보다 큰 시너지 효과와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개선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을 기대해 본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beta}$-glucan은 고용량일 때 직접적으로 또는 $IFN-{\gamma}$ 존재시에는 저용량에서도 복강 큰 포식세로를 활성화시킬 뿐 아니라, 탐식효율도 높임으로써 면역기능을 증진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효과는 crude ${\beta}$-glucan의 추출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eveloped. Design concepts and control methods of a new crane will be introduced in this paper.and momentum balance was applied to the fluid field of bundle. while the movement of′ individual material was taken into account. The constitutive model relating the surface force and the deformation of bundle was introduced by considering a representative prodedure that stands for the bundle movement. Then a fundamental equations system could be simplified considering a steady state of t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