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면단위 행정구역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Regional Transformation in 'Myeon' Administrative District adjacent to Urban Area (도시주변 면단위 행정구역의 지역 변화 -전라북도 조촌면을 사례로-)

  • Cho, Su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2 no.1
    • /
    • pp.59-7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regional transformation in the lowest level administration district(Myeon). The major factor of regional transformation is the change of geographical range, identity of place name, the formation and change of regional center. Jo-Chon Myeon as a sample study region is located in near Jeon-Ju city. The large and dynamic city in neighbor is strong influenced to the change of geographical range. But the place name has Identity in spite of the regional change. The formation of new regional center is influenced by new road, rail road and station, japanese large farm, administration office in this district.

  • PDF

A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New Town (신도시지역 행정구역개편에 대한 연구)

  • Lee, Hyangsoo;Lee, Seong-H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9
    • /
    • pp.21-27
    • /
    • 2018
  •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case of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centered on the case of specific region C and try to clarify implications for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 in Korea. The target city for the study is composed of two surface units and one town area. Is it right to integrate these areas into a single administrative district with a huge megapolis, a new city? Or is it right to separate it? This study has begun with these question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n the theories related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 reform and examined related issues in the new city area. The policy implica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promoting administrative district reform are as follows. First, cooperation and understanding of various stakeholders is needed. Second, the goals and vision of integration should be presented. Third, sufficient review is needed before integration. Fourth, it is important to respect community. Fifth, concession and coordination of interest groups are necessary. Sixth, the administrative reform process must be absolutely democratic and fair.

Prioritization of Flood Restoration Projects by Administrative Districts (행정구역별 치수사업의 우선순위 결정)

  • Kang, Seongkyu;Choi, Si Jung;Lee, Dong 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70-470
    • /
    • 2018
  • 본 연구는 2014년 부산지역에서 발생한 집중호우에 따른 피해상황을 읍 면 동 단위의 행정구역에 대해 조사하고, 각 행정구역별 수해복구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피해현황은 인명피해(사망, 이재민 수), 건물 및 선박, 농경지 침수에 의한 피해, 공공시설물에 대한 피해를 조사하였다. 또한 피해 요인별 피해액을 집계하여 수해복구사업의 평가기준으로 이용하였다. 사업의 경제성은 B/C분석 결과를 통해 반영하였다. 각 행정구역에 대한 우선순위는 다기준분석 중 PROMETHEE, ELECTRE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표준화 방식은 T-Score방식을, 가중치는 엔트로피 방식으로 결정하여 분석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발생한 호우에 대한 피해복구사업에 적용하여 검증을 시도하였으나, 향후 치수사업의 다양한 대안을 선정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실제 도시개발 및 정비 사업 등으로 분야를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stablishment of Optimal Management Plans on Agricultural Groundwater Resources of the Yeosu County (여수시 농어촌지역 지하수자원 적정 관리방안)

  • Seo, Hyo Kyoung;Shin, Hyung Jin;Lee, Byung Sun;Lee, Gyu 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82-282
    • /
    • 2020
  • 본 연구는 여수시 농어촌지역에 대하여 지하수 함양특성, 개발가능량 산정 및 오염부하량 등의 조사를 통해서 체계적인 지하수자원의 보전관리(안)을 수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여수시 화양면, 소라면 2개 면을 포함하는 농어촌 용수구역(여소지구)으로, 여소지구의 총면적은 130.68 ㎢이며, 이 중 임야면적은 81.57 ㎢, 경지면적은 32.98 ㎢ 이고, 경지면적은 논 15.37 ㎢, 밭 17.42 ㎢, 시설재배 0.19 ㎢로 구성되어 있다. 여소지구의 30년 강수평균은 1,454.08 mm/년이며, 지하수 함양량은 국가지하수관리 기본계획(국토교통부, 2019) 및 전라남도 지하수관리계획(전라남도, 2009) 보고서를 참고하여 평균값인 11.28%로 산정한 결과, 21,279 천㎥/년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하수연보(국토교통부, 2018)의 세부용도별 이용량을 활용하여 지하수 이용량을 산정한 결과, 2,638.35 천㎥/년이었으며, 강수량, 함양률 및 면적 값을 고려하여 지하수 개발가능량을 산정한 결과, 16,387.57 천㎥/년, 개발가능량 대비 이용량은 16.11%로 확인되었다. 여소지구의 질산성질소 항목은 총 181개소(경지면적 0.2 ㎢당 1점)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값은 6.67 mg/L이었으며, 농업용수 수질기준(20 mg/L)을 초과한 관정은 8개소(6%)로 확인되었다. DRASTIC을 이용한 오염취약성 지수는 평균값이 119.57점으로 나타나 오염취약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고·허가된 축사 시설을 기준으로 점오염원 조사결과, 단위면적당 시설수(오염원밀도)는 3.12 개소/㎢로 조사되었으며, 인구, 가축 및 토지이용 등 인자별을 고려하여 오염부하량을 산출한 결과,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은 75.30 kg/day/㎢로 확인되었다. 행정구역별로 7가지 지표를 반영하여 관심, 주의, 경계 및 심각 4단계로 기준을 설정하여 지하수관리 필요지역을 선정하였다. 수량 측면은 개발가능량 대비 이용량, 단위면적당 이용량 및 관정밀 3가지 지표를 적용하였고, 수질 측면은 질산성질소 평균, 오염취약성 지수, 오염원밀도 및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 4가지 지표를 적용하여 선정하였다. 지하수관리 필요지역을 분석한 결과, 전체 18개 리 중에서 14개 리에서 수량관리 12개리에서 수질관리 필요지역이 나타났다. 수량관리 필요지역은 지하수 취수량 조정 및 관리 확충 등의 대책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수질관리 필요지역은 주변 오염원관리 및 수질검사 강화 등의 대책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aquifer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seawater intrusion in coastal area of the West sea (서해의 연안지역 대수층의 해수침투 취약성 평가 기법 개발)

  • Kim, Il Hwan;Kim, Min-Gyu;Chung, Il-Moon;Chang, Sun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64-264
    • /
    • 2021
  • 해수면 상승 및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해수 침투 영향 반경의 예측 및 모의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해수 침투 피해를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대응 방안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해수 침투 피해 대응 방안 등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수 침투 피해가 가장 활발히 일어나는 지역을 선정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대응 방안을 선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기존의 해수침투 취약성 평가의 방법은 대수층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자료의 결측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평가 인자에 대한 자료 수집이 어렵고, 대수층에 대한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으로 직관적인 평가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의 도서지역을 제외한 연안지역을 대상으로 해수침투 취약성 평가 기법을 개발하였다. 해수침투에 대한 직관적인 해석을 위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수문 성분 중 해수면, 지하수위, 함양량, 지하수 이용량을 지표로 선정하고, 행정구역 단위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각각의 자료에 대한 평균, 기울기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인자에 대해서 객관적 가중치 산정 방법인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결정하였다. Technique for Order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TOPSIS)를 이용하여 가장 취약한 지역을 선정하였다. 객관적 가중치 산정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통해 직접적인 평가 가능하며, 추세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해수침투 취약성에 대한 전망도 가능하다.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해안의 지하수자원의 지속가능한 운영 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Small area estimations for disease mapping by using spatial model (질병지도 작성을 위해 공간모형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

  • An, Daeseong;Han, Junhee;Yoon, Taeho;Kim, Changhoon;Noh, Mae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6 no.1
    • /
    • pp.101-109
    • /
    • 2015
  • SMRs (standardized mortality rates) for major diseases, accidents, cancer are considered in small areas of administrative units such as Eup/Myeon/Dong from years 2005 to 2008. Due to small sample issue in small areas, the precision of directly estimated crude SMR for each area can be low.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HGLM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 with MRF (Markov random field) to account for the spatial correlations among the small areas. The effects of covariates for cause of mortality by Dongs in Seoul and disease maps based on the estimated SMR are presented. The results suggest how we analyze and interpret the difference in mortalities by small areas such as Dongs by revealing the spatial patterns.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Administrative Boundary (행정경계 구축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Choi Yun-Soo;Kwon Jay-Hyoun;Lee Im-Pyeong;Park Ji-Hy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4 no.2
    • /
    • pp.201-208
    • /
    • 2006
  • Currently, 1/5,000 Digital Topographic Map covers the whole country with administrative boundary of Gu, while some region has already been constructed with 1/1,000 digital topographic map has legal boundary of Dong. Here, Dong in 1/1,000 scale represents the legal boundary which is used in the address most of time. Therefore, there is no administrative-Dong yet although it is very useful in various fields.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method to construct the administrative boundary extending to the level of Dong empirically. In additio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administrative boundary in GIS is discussed. Two methods are applied to construct the administrative boundary to the level of administration-Dong; using the edited cadastral map and the digital topographic map. When the edited cadastral map is used, some problems such as boundary discordance to superordinate administrative area is appeared. On the other hand, using digital topographic map showed simple construction processes and easy connection with other framework data.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digital topographic map should be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administrative boundary. It would be useful as framework data in various industries and public operations.

Vehicle Loss Assessment in Inundation Area using Raster GIS Operation (Raster GIS 연산을 활용한 침수구역 내 차량피해 적용 방안)

  • Kim, Gil Ho;Choi, Cheon Kyu;Hong, Seung Jin;Kim, Kyung 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53-453
    • /
    • 2018
  • 2017년 12월 기준 우리나라에 등록된 자동차는 약 2,200만 이상으로, 그 증가율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최근 차량대수 및 고자산인 외산차 보유율 증가는 자연재난에서 노출과 관련한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주요인이 되며, 홍수발생 시 상당한 규모의 경제적 피해를 야기한다. 현재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진행 중인 행정안전부(2017) 연구는 위험지역 내 차량의 공간적 분포와 차량유형별 침수심에 따른 취약성을 고려하여 어떠한 홍수사상으로부터 예상되는 차량 피해액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여기서는 어떠한 집계구 내에서 동일한 침수심 구간을 가지는 면(polygon)을 분석단위로 하고 있는 데, 이를 편의성 차원에서 벡터자료에 기반 한 연산과정을 수행할 경우 정의된 침수구역도(재해정보)의 고유 정보가 훼손되거나, 세분화된 침수심 구간에 따른 손상률 관계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격자 기반의 침수구역도와 인벤토리 지도로부터 Raster GIS 공간연산을 활용한 차량피해 산정절차를 제시하였고, 이를 신천수계 하천기본계획(경기도, 2011)에서 계획된 치수사업에 적용하여 홍수빈도별 사업시행 전후 상황에 적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침수구역도는 인벤토리 상의 집계구 면적을 고려하여 $5m{\times}5m$ 크기로 제작하였고, 동일한 격자크기로 변환된 인벤토리는 변환 전후 면적을 기준으로 할 때 거의 오차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Raster 공간연산으로부터 침수편입률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집계구 넘버 및 침수심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자료별 전처리 과정을 제시하였고, 여기서 집계구 넘버는 인벤토리 정보와 침수심 정보는 손상함수와 연계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는 향후 실무에서 직접 적용하는 데 활용하기 위하여 방법론과 함께 가이드라인 문서로 정리할 계획이다.

  • PDF

A Study on Measurement and Application of the Public Library Service Population (공공도서관의 봉사대상인구 산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Song, Kyeong-Ji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1 no.1
    • /
    • pp.193-212
    • /
    • 2020
  • In Korea, the term 'public library service population' is applied in various situations without academic discourse. This study analyzed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the term with literary reviews and case studies in United States, Australia, Japan, and Korea. And also this study redefined concepts and suggested new measurements of 'design population' and 'service population.' The former is the population who lives in area where public library can serve, and on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an be identified. It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popul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 In case of urban areas with a population of more than 100,000, it can be calculated the population within a radius of 2km from library. In areas with a population of less than 100,000 it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population of Eup, Myeon, and Dong. In both cases the estimated population up to the library's opening year is added. Service population is used for the planning, evaluating, and promoting library services, and it can be defined as the actual users or estimated population determined by the input resources of the public libraries. It can be calculated by the number of enrolled members, or service participants, or target populations according to the size of input resources. The advantages of the proposal in this study are enabling efficient facility placement or resource inputs in public libraries and enhancing reliability of measuring output versus input.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to delete for paragraph 1 of Article 3 of the Library Act to avoid confusion.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Vision-sharing, Communication, Management Competences and Performance of Agricultural Product Unit in Rural Village Level (마을단위 농업경영체의 비전공유, 의사결정과정, 실무경영역량과 경영성과와의 관계)

  • Park, Un Sun;Park, Joo Sub;Jo, Hyung Rae;Lee, Sang Young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0 no.1
    • /
    • pp.105-141
    • /
    • 2013
  • This study focuses on the vision-sharing practices, actual management capabilities and marketing competence for management which are supposed to be associated with the performance of village-based agricultural production sector. For this, vast literatures related to this issu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and which were used to establishment of research model. And then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along the research model, survey were implemented using the questionnaire. In survey both of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ere used to obtain proper opinion. Total of 51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and used to empirical analysis. The correlation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of agricultural production unit and performanc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in overall, factors related to the vision-sharing or communication are not so important or even negative effects on the performance (2) in overall, factors of management competences are relatively associated with the performances positively (3) in overall, general management capabilities like planning or analyzing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4)significant factors which were related to the positive effects on the performances were alternatives considering risk of depreciation, securing stable customers, retention of professional personn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