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먼지(황사)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ffects of Artificial Asian Dust on Photosynthesis, Respiration, Growth and Stoma in Five Tree Species (인공황사 처리가 몇 수목의 광합성, 호흡, 생장 및 기공에 미치는 영향)

  • Bae, Ki Kang;Lee, Don Koo;Park, Yeong D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8 no.4
    • /
    • pp.392-398
    • /
    • 2009
  • Artificial Asian dust was treated in this study to compare and determine its effect on growth, photosynthesis, respiration and stomata of 5 species trees. Sophora japonica's growth and respiration using artificial Asian dust treatment which is 10 times of average contents of Asian dust: $5,000{\mu}g{\cdot}m^{-2}$ decreases after 3 week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species. The maximum photosynthesis of Sophora japonica and Betula pendula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3 weeks and 6 weeks, respectively, using artificial Asian dust treatment which is average contents of Asian dust: $500{\mu}g{\cdot}m^{-2}$. At $5,000{\mu}g{\cdot}m^{-2}$ treatment, photosynthesis of both species decreased just after treatment of artificial Asian dust. Quercus acutissima, Quercus mongolica and Acer triflorum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s. Dust was found inside the Sophora japonica's stomatas under heavy dust treatment when viewed under the light electron microscope.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higher rate of stomatal opening of Sophora japonica and Betula pendula was recognized and the size of both stomatas was bigger than other species. This result means that Asian dust has an influence in decreasing the photosynthesis, respiration and growth of some species especially if the stomatas are large.

2008년 황해지역의 광역적 대기오염 이동에 대한 에어로졸 크기 분포 특성

  • Kim, ak-Seong;Jeong, Yong-Seung;Son, Jeong-J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37-37
    • /
    • 2010
  • 2008년 동아시아 대륙에서 발생기원이 다른 황사와 인위적 오염입자의 광역적 이동 사례를 NOAA위성 RGB 합성영상과 지상 TSP, PM10, PM2.5 질량농도 관측으로 구별하였다. 또한 Terra/Aqua 위성MODIS (MODerate Imaging Spectroradiometer) 센서의AOD (Aerosol Optical Depth)와 FW (Fine aerosol Weighting)를 통해 동아시아 지역에서 발생기원이 다른 대기 에어로졸의 분포와 입자 크기 특성을 분석하였다. 중국 북부와 몽골, 그리고 중국 황토고원에서 모래폭풍이 발생하여 광역적으로 이동하여 청원에 먼지입자(황사)로 영향을 주는 6 사례를 분석했다. 질량농도 TSP중 PM10 은 70%, PM2.5 는 16% 로 조대입자 (> $2.5{\mu}m$)의 비율이 큰 것은 사막과 반사막의 자연적 발생원에서 생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래 폭풍이 이동 과정에서 중국 동부의 산업 지역을 거쳐 유입 되는 사례에서는 TSP 중 PM2.5 가 23% 까지 증가하기도 했다. 중국 동부로부터 황해를 거쳐 한반도로 유입하고 있는 다른5사례는 TSP 중 PM10, PM2.5가 각각 82%, 65% 로 PM2.5 의 비율이 높았는데 인위적 오염입자의 영향 때문이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인위적 오염입자의 광역적 이동 사례에 대한 평균 AOD는 $0.42{\pm}0.17$로 황사에 의한 AOD ($0.36{\pm}0.13$)와 비교하여 대기 에어로졸에 대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중국 동부에서 황해, 한반도, 동해에 이르는 광역적 지역에 높은 AOD값이 분포했다. 인위적 오염입자의 사례는 FW가 평균 $0.63{\pm}0.16$로 모래폭풍의 이동 사례의 $0.52{\pm}0.13$ 보다 높은 값을 보이고 있어, 대기 에어로졸에 대한 인위적 미세 오염입자의 기여가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 PDF

The Behaviour of Dust Concentrations During Sand Storm in Seoul Area (황사기간 중 PM2.5, PM10, TSP 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Min-Young;Kim, Kwang-Rae;Lee, Min-Hwan;Cho, Seog-Ju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4 no.4
    • /
    • pp.315-324
    • /
    • 2003
  •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were evaluated through the measurement data of PM$_{2.5}$, PM$_{10}$ and TSP instruments located in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installed and operated by Seoul Metropolitan city. The data of particulate mass on the filter was collected bv a high volume air sampler during the sand storm period. The number of days of sand storm in Seoul showed a different pattern from 1990 to November 2002, We can see a trend of increased occurrence and duration of sand storms. The ratio of PM$_{10}$ to TSP was shown as 52.9% and 59.4% during the sand storm period in 2000 and 2001. respectively. It was indicated that the particles larger than 10${\mu}$m increased by approximately 10% in sand storm periods compared to no sand storm period. While PM$_{10}$ size fraction reached 71.4% in 2002, the contribution of sand storm to total particulate concentration was estimated to be 11.9% for PM$_{2.5}$, 23.1% for PM$_{10}$, 19% for TSP in 2002, respectively and sand storms highly correlated with annual total particulate concentration.

Correlation Analysis About the Effect of Asian Dust Storm and Related Forecasts on Asthma Disease (황사 및 관련예보 정확도가 천식질환 발생빈도에 미치는 상관관계 분석)

  • Lee, Ki-Kw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35 no.3
    • /
    • pp.234-239
    • /
    • 2012
  • 황사(Asian dust storm, ADS)란 중국이나 몽골 등 중앙아시아 지역의 사막 지대의 작은 모래나 황토 또는 먼지가 하늘에 떠다니다가 상층풍을 타고 멀리까지 날아가 떨어지는 현상을 말하며, 주로 봄철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 영향을 준다. 이와 같은 황사에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는 거주민들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2005년도에서 2008년도까지 4년간 서울지역 거주민들 사이에서 황사현상이 천식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황사발생일(기준일 또는 index day)과 기준일 대비 7일 전후(비교일 또는 comparison day) 황사가 발생하지 않은 날에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은 천식환자 수를 황사예보의 정확도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24시간 전 제공된 황사예보가 황사발생을 정확히 예측한 경우라 하더라도 비교일 대비 기준일의 천식환자 수가 여전히 더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증가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는 점에서 정확한 황사예보가 최소한 어느 정도는 천식질환 발생을 저감시키는 효과는 분명히 가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24시간 전 황사예보가 황사발생을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한 경우에는 비교일 대비 기준일에서 5~6일 후에 진료 받은 천식환자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할 수준까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기준일 및 기준일 다음 날의 경우에는 오히려 천식환자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황사예보 및 황사발생의 다양한 경우에 따라 천식환자 수의 일정한 변화패턴이 발견되었으며,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황사 관련 의료서비스 체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설계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n the Observation of Sandstorms and Associated Episodes of Airborne Dustfalls in the East Asian Region in 2005 (2005년 동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한 모래폭풍과 먼지침전(황사)의 관측)

  • Kim, Hak-Sung;Chung, Yong-Se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0 no.2
    • /
    • pp.196-209
    • /
    • 2009
  • Occurrences of sandstorms in the deserts and loess of Mongolia and northern China and associated dustfall episodes in the Korean Peninsula were monitored during the period January through December, 2005. False colour images were made by directly receiving the NOAA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AVHRR) data, and the distribution and transport of sandstorms were analyzed. The ground concentrations for PM10, PM2.5 and visibility of the dustfall episodes (PM10 concentration over $190{\mu}g\;m^{-3}$) were analyzed at Cheongwon, located midway in South Korea, and in the leeward direction of the place of origin of the sandstorms. Variations in the concentrations of $O_3,\;NO_2$, CO and $SO_2$ were also compared with dust concentrations in the dustfall episodes. Fewer occurrences of strong sandstorms in the place of origin were observed in 2005, due largely to the accumulation of snow and mild fluctuations of high and low pressure systems in the place of origin, thereby accounting for a low frequency of dustfall episodes in Korea, compared with those during the period 1997-2005. A total of 7 dustfall episodes were monitored in Korea in 2005 that lasted 11 days. In summer, sandstorms occurred less frequently in the source region in 2005 due to high humidity and milder winds, thereby causing no dustfall episodes in Korea. In case the sandstorms occurring at the place of source head directly to Korea without passing through large cities and industrial areas of China, the PM2.5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at 20% or lower than the PM10 concentrations. However, when the sandstorms headed to Korea via the industrial areas of eastern China, where they pick up anthropogenic air pollutants, the PM2.5 concentrations were at least 25% higher of the PM10 concentrations. On the other hand, over 5 cases were observed and analyzed in 2005 where the PM10 concentrations of sand dust originating from the deserts were measured at $190{\mu}g\;m^{-3}$ or lower, falling short of the level of a dustfall episode.

Effect of Transmittance Decrease by Yellow Dust on Cucumber Node in Greengouse (황사 분진에 의한 투광율 감소가 시설오이 절간신장에 미치는 영향)

  • Jeon, Hee;Kim, Hyun-Hwan;Lee, Si-Young;Kim, Kyung-J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2.04a
    • /
    • pp.63-65
    • /
    • 2002
  •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파생된 온실가스의 배출은 건조한 기후를 만들어 사막화를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건조지대가 늘어감에 따라 계절적으로 불어오던 대륙의 먼지바람이 주기를 달리하면서 한반도를 위시한 주변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에 발생하는 극심한 황화현상도 바로 이 때문이다. 특히 대륙으로부터의 황사는 1-10$\mu\textrm{m}$ 정도의 미세먼지가 주종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온실 피복자재에 부착되어 투광율을 떨어뜨리고 있다. (중략)

  • PDF

Composition Variation of Metals and Sulfur in Atmospheric Aerosols during Yellow-Sand : Mea- surements between 1998 and 2001 (황사 시 대기 에어로졸의 금속과 황 조성 변화: 1998-2001년 측정 결과)

  • 현진욱;강창희;김원형;양경희;김기현;김조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86-387
    • /
    • 2003
  • 매년 3~5월에 주로 발생되고 있는 황사는 평상시 10~50$\mu\textrm{g}$/㎥인 먼지농도를 100~500$\mu\textrm{g}$/㎥ 정도로 증가시키고 있으며, 황사의 주성분인 Si, Al, Ca, K, Na 등의 농도를 크게 상승시킨다. 우리나라에서 관측되어지는 봄철 황사 자체는 자연 발생적인 현상이지만, 이 시기에 측정된 여러 대기 오염물질의 농도변화는 중국으로부터 장거리 이동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을 좀 더 가시적이고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PM$_{2.5}$, PM$_{10}$ Concentration at Asian and Non-Asian Dust in Asan Area (아산지역의 황사/비황사시 PM$_{2.5}$, PM$_{10}$ 농도특성에 관한 연구)

  • Chung, Jin-Do;Hwang, Seung-Min;Choi, Hee-Se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0 no.11
    • /
    • pp.1111-1115
    • /
    • 2008
  • The characterization of PM$_{2.5}$ and PM$_{10}$ concentration is considered by analysis of ionic and heavy metal component to measured suspended particle at atmosphere in Hoseo university of Asan area. The variation of concentration is studied at the periods of asian dust occured. In asian dust, the PM$_{2.5}$ ratio is decreased from 79.7% to 40.1%, whereas the size-classified mean concentration of suspended particle is increased largely. It is found that the PM$_{2.5}$ ratio is decreased relatively because the coarse particle is increased large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mass concentration to divide the fine and coarse particle on 2.1 $\mu$m basis. It is observed that the Ca$^{2+}$ion is about 40 magnifications and Na$^+$, SO$_4{^{2-}}$ ion is increased in sequence in coarse particle, whereas the variation of ionic concentration is slightly increased in the fine particle. Furthermore, Mn, Fe, Zn, and Al are increased in sequence as the result of heavy metal component analysis, and Al is shown the most increased as mass concen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