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매립시설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31초

Experimental study on the pulse jet cleaning for bag-filter (여과 집진기에서 충격 기류식 역세척 효과에 대한 연구)

  • 박병현;조영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5-416
    • /
    • 2002
  •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라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생활양식도 많이 변화되고 있으며 가정이나 생산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발생량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해마다 누적되어 가는 폐기물 매립량의 증가로 인하여 기존 폐기물 매립지는 현재 거의 포화 상태에 달해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폐기물 처리 방법은 기존의 매립위주에서 소각처리로 점차 확대되어 나가고 있는 실정이지만 소각시설 인근 지역의 환경 질 저하에 대한 문제점 및 주민민원 발생 또한 빈번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중략)

  • PDF

The Study on the Estimation of Emission from Sewage Treatment Plant and Manure Treatment Plant (하수 및 분뇨처리시설에서 악취물질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 전의찬;사재환;김기현;이성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7-88
    • /
    • 2003
  • 최근 민원의 약 20%를 차지하며, 대기질 관리 대상 중의 하나인 악취는 호흡기장애, 순환기장애, 소화기능장애, 수면장애 둥을 유발시켜는 등 인체에 다양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다양한 성분이 극히 낮은 농도로 존재할 경우에도 인간의 감각기관을 가즉하게 된다. 또한, 쓰레기매립시설, 소각시설, 하수처리시설, 분뇨처리시설,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 등의 환경기초시설과 기타 생활악취 배출원들은 주로 주민의 생활주변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시설이다. (중략)

  • PDF

관리형 매립시설 침출수 중 $SCN^-$제거를 위한 SBR 공정

  • Seong, Se-Hyeon;Hwang, Seok-Hwan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74-277
    • /
    • 2001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a part of continuous development of a bioprocess to treat thiocyanate($SCN^-$) in the leachate from an industrial landfill sit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leachate, physical and chemical, was analyzed in this study. Time to reach equilibrium in $SCN^-$ degradation at different temperature, similar to the annual variation. was investigated for posssible adaptation of the bioprocess in the treatment site. Complete mineralization of $SCN^-$ to ammonia. bicarbonate and sulfate at all temperature range with except $5^{\circ}C$ trial was observed with different time elapsed to reach equilibrium. which shortened as the process of Fill-Draw proceeded. The final metabolites were mainly nitrate and sulfate. No fouling odor was detected and the settling characteristic of the biomass after the treatment was good(i.e., sludge volume index(SVI) ${\le}$80). Using MWT sludge as an inoculum showed better performance with respect to the elapsed time for treatment and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than those of using 2BET sludge.

  • PDF

Study on Hydrate Kinetic of $CH_4+CO_2$ and $CH_4+CO_2+N_2$ System ($CH_4+CO_2$ System과 $CH_4+CO_2+N_2$ System의 Hydrate Kinetic 비교 연구)

  • Shin, Hyungjoon;Moon, Donghyun;Han, Kyuwon;Lee, Jaejung;Lee, Juho;Yoon, Jiho;Lee, Gangw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19.1-219.1
    • /
    • 2010
  • 매립지에서 유기물의 분해로 발생되는 매립가스는 악취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뿐만 아니라 온난화지수가 21인 메탄이 약 50vol% 포함되어 있어 지구온난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매립가스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면 대기오염저감, 지구온난화 감소, 대체에너지원 확보뿐만 아니라 CDM사업 등과 연계하여 부가수익창출이 가능하다. 현재 국내에는 약 242개의 폐기물매립지가 있는데, 이중 매립가스를 활용하는 곳은 단지 14개소로 개별 경제성이 있는 대형매립지에서만 자원화시설을 설치하여 운영 중이며 그 외 매립지에서는 매립가스를 소각 또는 단순 대기 방출하여 대기오염유발과 동시에 대체에너지원 미활용으로 국가차원에서 큰 손실이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중심적환장으로 이송하여 경제성을 가지는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목표로 하이드레이트 기술을 접목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매립지에서 매립가스가 생성되는 과정에 표층부의 균열 및 차수막의 손상과 포집하는 공정에서 블로워 등의 사용으로 질소가 다량 포함되며 질소의 경우 상당히 높은 압력과 낮은 온도에서 하이드레이트를 형성하므로, 매립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시 질소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CH_4+CO_2$ System과 $CH_4+O_2+N$ System에 대하여 각각의 실험조건에서 Kinetic을 측정하였으며, 실험전후의 가스 조성을 Gas Chromatography로 정성, 정량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매립가스에 공기가 유입될 경우, 질소의 영향으로 하이드레이트 생성조건이 가압되었고 하이드레이트 내 메탄의 함량비율이 줄어들었다.

  • PDF

Review of Waste Acceptance Criteria in USA for Establishing Very Low Level Radioactive Waste Acceptance Criteria in the 3rd Step Landfill Disposal Site (국내 극저준위방폐물 처분시설 인수기준 마련을 위한 미국 처분시설의 인수기준 분석)

  • Park, Kihyun;Chung, Sewon;Lee, Unjang;Lee, Kyungho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제18권1호
    • /
    • pp.91-102
    • /
    • 2020
  • According to the Korea Radioactive Waste Agency's (KORAD's) medium and low level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implementation plan, the Domestic 3rd Step Landfill Disposal Facility has planned to accept a total of 104,000 drums (2 trenches) of very low level radioactive waste (VLLW), from the decommissioning site from April 2019 - February 2026 (total budget: 224.6 billion Won). Subsequently, 260,000 drums (5 trenches) will be disposed in a 34,076 ㎡. Accordingly, KORAD is preparing a waste acceptance criteria (WAC) for this facility. Every disposal facility for VLLW in other countries such as France and Spain, operate their WAC for each VLLW facility with a reasonable application approach,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WAC conditions in VLLW sites in the USA and discusses whether these can be met in domestic VLLW WAC. It also helps in the preparation of WAC for the 3rd Step Landfill Disposal Site in Gyeongju, since the USA has prior experience on decommissioning nuclear waste.

A Feasibility Study on GMC (Geo-Multicell-Composite) of the Leachate Collection System in Landfill (폐기물 매립시설의 배수층 및 보호층으로서의 Geo-Multicell-Composite(GMC)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 Jung, Sung-Hoon;Oh, Seungjin;Oh, Minah;Kim, Joonha;Lee, Ja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제12권4호
    • /
    • pp.67-76
    • /
    • 2013
  • Landfill require special care due to the dangers of nearby surface water and underground water pollution caused by leakage of leachate. The leachate does not leak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geomembrane but sharp wastes or landfill equipment can damage the geomembrane and therefore a means of protecting the geomembrane is required. In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waste control act being modified in 1999, protecting the geosynthetics liner on top of the slope of landfill and installing a drainage layer to fluently drain leachate became mandatory, and technologies are being researched to both protect the geomembrane and quickly drain leachate simultaneously. Therefore, this research has its purpose in studying the drainage functions of leachate and protection functions of the geomembrane in order to examine the application possibilities of Geo-Multicell-Composite (GMC) as a Leachate Collection Removal and Protection System (LCRPs) at the slope on top of the geomembrane of landfill by observing methods of inserting filler with high-quality water permeability at the drainage net. GMC's horizontal permeability coefficient is $8.0{\times}10^{-4}m^2/s$ to legal standards satisfeid. Also crash gravel used as filler respected by vertical permeability is 5.0 cm/s, embroidering puncture strength 140.2 kgf. A result of storm drain using artificial rain in GMC model facility, maxinum flow rate of 1,120 L/hr even spray without surface runoff was about 92~97% penetration. Further study, instead of crash gravel used as a filler, such as using recycled aggregate utilization increases and the resulting construction cost is expected to savings.

Methodology for Odor Emissions estimate from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하수처리장의 악취배출량 산정 방법 연구)

  • 전의찬;김덕현;김선태;김전희;박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1-272
    • /
    • 2002
  • 국내에서 악취와 관련된 연구는 대부분 표본채취 분석 등 실태 파악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악취원의 주변지역 기여도 분석 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특히, 악취물질의 배출계수 개발 부분과 배출원 inventory와 관련된 내용은 거의 없거나 매우 초기단계이다. 생활악취시설 중 쓰레기 매립장, 소각장, 하수종말처리장, 위생처리장, 음식물쓰레기처리공장(퇴비화, 사료화 등) 등의 환경기초시설은 주로 주민의 생활주변에 산재되어 있는 시설로서, 이들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물질은 관리상태(기기의 실태 및 관리), 기상조건(온도, 습도, 바람장 등), 발생원의 특성(매립장의 형식, 규모, 사용기간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중략)

  • PDF

Analysis of Waste Incinerator and Its Selection (폐기물 소각시설분석과 소각로 선정)

  • 임계규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1권2호
    • /
    • pp.107-117
    • /
    • 1995
  • 최근 몇년전 부터 폐기물 처리와 관련하여 소각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부쩍 늘어나고 있다. 이는 인구의 증가, 산업의 발전, 경제활동의 팽창 및 다양화 등에 의하여 폐기물의 질적 변화가 적정처리에도 영향을 미쳐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또한 폐기물의 단순 매립처리가 사후 관리에 여러가지의 어려움과 매립지 선정 자체에도 어려움이 따르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소각기술이 아직도 보완되어야 할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현재 가동중인 소각시설에도 많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들의 문제해결이 시급한 것이 현재의 현실이다. 심한 경우에는 폐기물 처리목적으로 많은 투자를 하여도 폐기물의 특성에 따른 적정 처리시설을 선정하지 않아 소각로 가동 시운전 단계에서도 중지하여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반면 적은 투자로도 만족할 만한 처리효과를 내며 가동하는 경우도 있어 당초 계획단계 부터 신중을 기해야할 것이다. 소각로는 외부로 보기에는 거의 비슷하나 상세히 검토하면 소각로에 대한 선택적 기술이 필요하며 특히 소각로를 사용하는 목적이 무엇인지에 따라서 소각로의 선택이 달라질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에 초점을 두어 현재의 소각기술을 분석하고 선정과정을 검토해 나가기로 한다.

  • PDF

Cost-Benefit Analysis by Resource Recovery Facility for Municipal Waste -Focus on Gangwon Province- (생활폐기물 자원화시설의 편익분석 -강원도 중심으로-)

  • Han, Young-Han;Lee, Hae-Se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제13권6호
    • /
    • pp.2833-2845
    • /
    • 2012
  • In this study, the amount of waste resource that could be recovered was analyzed.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costs of waste resource recovery for both single- and multi-regional facility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costs of landfill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hem. RDF(Refuse Derived Fuel) process and resource recovery by incineration process were considered as waste resource recovery facility. And, the multi-regions for cost analysis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proper generation rate of municipal waste with the consideration of combustible ratio.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ingle region facility for both RDF and incineration process has no economic benefit, compared with the landfill method. For the multi-regional facility, RDF process could save a large cost than the landfill method, but the incineration facility couldn't. Separate from the economic benefits, the waste resource recovery should be importantly considered when considering the depletion of fossil fuel, global warming, environmental toxicity, and the enormous expenses due to social conflict and confuse. When the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is vitalized in the near future, the additional economic benefits by CERs(Certified Emission Reductions) could be expected. CERs for RDF facility is corresponding to about 256.5 billion won, and CERs for incineration facility is corresponding to about 54 and 77.4 billion won for single- and multi-regional facility, respectively.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ble Airborne Microorganisms in Composting Facility and Landfill (퇴비화 시설과 매립장에서 배양 가능한 공기중 미생물의 분포 및 특성)

  • Lee, Bo-Ra;Cha, Min-Ju;Jeong, Choon-Soo;Kim, Jong-Seol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8권1호
    • /
    • pp.8-15
    • /
    • 2012
  • Bioaerosols generated from composting facilities and landfills may create health risks for workers and nearby residents. To determine the levels of culturable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bioaerosols, samples were seasonally collected at a composting facility and a landfill in Ulsan, Korea with an impaction-type sampler. Concentrations of heterotrophic bacteria averaged (in $MPN/m^3$) $6.5{\times}10^3$ (range $1.5{\times}10^2-1.5{\times}10^4$) in the composting facility and $3.9{\times}10^3$ (range $6.0{\times}10^1-9.3{\times}10^3$) at the entrance of the facility. These concentrations were 460 and 280 times higher than those of reference sites. Coliform bacteria were detected both inside and entrance of the facility. On the landfill, heterotrophic bacterial concentrations averaged (in $MPN/m^3$) $4.9{\times}10^2$ (range $1.7{\times}10^2-1.0{\times}10^3$), while they averaged $3.7{\times}10^2$ (range $4.8{\times}10^1-1.3{\times}10^3$) at the parking lot of the landfill. These concentrations were 35 and 26 times higher than those of reference sites. When we isolated and tentatively identified heterotrophic bacteria, Pseudomonas luteola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bioaerosols from the composting facility, whereas the most abundant one in reference samples was Micrococcus sp. Average concentrations of airborne fungi were measured between $4.8{\times}10^2$ and $7.9{\times}10^2\;MPN/m^3$ depending on sites, which were 2.1-3.4 times higher compared to those of reference sites. While Cladosporium, Alternaria, and Penicillium were commonly identified fungal genera, genus Aspergillus was identified only in bioaerosols from the composting facility.